-
-
60년대생이 온다 -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김경록 지음 / 비아북 / 2024년 3월
평점 :
1960년대 생은 50년대생과 그 자녀인 70년대생, 즉 베이비붐 세대에 낀 세대다. 하지만 그들은 그 수가 절대적으로 많으며 90년대 후반 외환위기와 2008년 경제위기를 모두 피할 수 있었던 세대다. 이는 그들이 위기의 시기에 직장을 지킬 수 있었단 의미이며, 2000년대와 2015년 이후의 자산 폭등기에 수혜를 누릴 수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1960년대 생은 경제 후진국에서 탄생했다. 하지만 퇴임을 앞둔 지금 35000달러의 국민소득을 자랑하는 선진국에서 퇴임하게 된다. 이들은 1980년대에 대학에 진학했는데 당시 대학 정원이 크게 늘기 시작해 고학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임금이 매년 20%씩 상승하여 고임금도 누릴 수 있었다. 또한 1990년대부터 북방외교로 인해 비즈니스 기회도 확대되었다. 즉, 직장과 사업상 기회가 많아졌다.
이들은 이처럼 한국 사회의 성장으로 많은 수혜를 보았지만 끼인 세대이기도 하다. 이들은 한국에서는 마처세대로 불린다. 마지막으로 부모 봉양을 하면서 처음으로 자녀의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한다는 의미다. 그래서 이들은 양자를 챙기는데 부모를 봉양하면서 자녀를 부양하는 소위 더블케어세대가 되기 때문이다.
60년대생은 퇴임의 대열에 들어섰는데 이들은 대개 퇴임을 예상하지 못한다. 50-60대의 2/3은 직장에서의 자신의 퇴직을 예상하지 못한다. 또한 퇴직 관련 교육을 퇴임전 받은 사람도 겨우 4.3%에 불과하다. 이들의 퇴직 연령의 중간값은 54세이며, 55세 58세 60세에 가장 많은 퇴직을 경험한다. 평균 근속연수는 25.3년 정도다.
이는 심각한 수치다. 왜냐하면 한국의 국민연금은 명목소득 대체율을 40%로 상정하는데 이는 전제조건으로 근속기간 40년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달성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의미이고 이는 노년의 심각한 소득 부족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대부분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후 재취업을 통한 점진적 은퇴기간을 거의 10년 이상 겪에 되며 73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완전한 은퇴에 이르게 된다.
그래서 50-60년대생의 퇴직자 83%가 재취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재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2개 이상의 일자리를 경험한다. 이들은 사실상 일자리 노마드 세대가 된다. 재취업하면 근로조건도 크게 변화한다. 퇴직 전에는 89%가 정규직이지만 퇴직 후 첫 일자리에서는 46%만 상용직이다. 그리고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는 퇴직 전에는 36%만 경험하지만 퇴직후에는 55%가 이곳을 경험하게 된다. 단순 노무직도 퇴직 전에는 경우 4%만 경험하지만 퇴직 후에는 20%가 첫 직장으로 경험하게 되고 3번째 직장으로는 33%가 경험하게 된다.
근로조건도 크게 악화한다. 퇴직전에는 월평균 급여가 426만우너이지만 퇴직 후 첫 직장에서는 63%정도로 줄어들고 세 번째 직장에서는 54%까지 떨어진다. 60년대생은 퇴직하면 더욱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큰 규모의 1차 베이비 부머 세대가 퇴직하여 퇴직 이후의 일자리를 차지해 보렸고, 산업구조가 자본 집약적으로 변화했고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어 일자리의 수가 더욱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향후 10년간 한국은 줄 퇴직이 예정되어 있는데 종신고용으로 일자리는 경직되어 있어 더욱 어려움이 예상된다.
60년대생은 이들이 취업한 80년대 후반 3저 호황으로 수혜를 누렸고 취업이 매우 용이했다. 그리고 1988년 국민연금제도가 도입되어 노후에 대한 어느 정도의 대비를 할 수 있었으며 2000-202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이 3배로 늘어나는 초호황기를 직장의 중역으로 누릴 수있었다. 이들은 대학에 이전 세대보다 정원의 증가와 소득의 증가로 손쉽게 진학할 수 있었고 민주화를 경험하여 문화적 코호트를 갖고 있다.
이들은 1990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경제적으로도 상당히 동질적이었다. 하지만 외환위기와 금융우위기로 소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임금격차가 상당히 커지고, 자산 가격도 폭등하면서 60년대생은 경제적으로 양극화한다. 이들중 수도권 부동산을 소유하고, 금융자산을 갖고, 대기업을 종사한 이들은 소득이 크게 증가하며 특권 중산층으로 분화한다. 이들은 소비를 통해 신분경쟁, 주거지의 분리, 교육경쟁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자식세대에게 이를 물려주려는 세습중산층으로 변모하고 있다. 반면 지방에 거주하며, 중소기업에 다니고 이렇다할 금융자산을 갖지 못한 이들은 중산층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었다.
60년대생은 이런 상황 속에서 부모 세대의 장수와 자녀 세대의 낮은 취업률로 이중고를 겪게 된다. 한국의 50-60세대 중 부모를 부양하는 이들은 62.4%이며 성인 자녀를 부양하는 이들은 53.4%이고 양자를 모두 부양하는 이들은 34.5%에 달한다. 손주세대까지 돌보는 소위 트리플 케어는 5.6%다. 2017년 기준 더블 케어 가구는 성인 자녀 부양에 월78만원 부모 부양에 월 40만원을 쓰고 있다. 양자를 합치면 월 118만원으로 가구 월 평균 소득의 20%에 해당하여 이는 자신들의 노후에 상당한 지장을 끼치고 있다.
한국은 근속 기간이 25년정도로 선진국 대비 매우 짧다. 정년은 60세이지만 실질적으로는 50-55세 정도에 퇴직한다. 이는 임금체계가 연공서열형이라 나이가 들수록 임금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져 기업체에서 퇴직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의 실제 정년은 여타 선진국보다 10년 가까이 적어진다. 또한 한국은 제조업 위주의 국가이기에 고용유발계수가 작아 조기 퇴직이 많고 재취업도 어렵다. 서비스업은 고용유발계수가 9.2명이지만 제조업은 4.7명이고 그 중 반도체는 1.7명에 불과하다.
60-64세 인구의 30%가 그래서 3회 이상 재취업을 한다. 이들의 재취업은 동종취직, 이종취직, 동종창업, 이종창업, 단순노무로 구분한다. 퇴직자의 57%가 취직을 하며 17%가 창업을 하고, 임시직과 일용단순노무는 19.5%이고 상용단순노무직은 8.4%다. 창업의 경우는 소자본창업이 가장 많은데 이는 창업은 쉬우나 경쟁이 심해 성공률이 매우 낮다.
가장 좋지 않은 것이 단순소자본 창업과 단순 노무직 취업인데 이것이 무려 30%다. 그리고 고령 인구의 취업은 재취업이 계속될수록 근무조건이 열악하다.
가장 좋은 것은 동종취업으로 이는 자신의 첫 직장에서의 경력과 생산성을 살릴 수 있기에 그렇다. 동종취직의 경우 재취업에 도움이 된 요소로 현직에서의 경력관리와 인적 네트워크가 꼽힌다. 이종취직은 낮춘 눈높이와 필요한 자격증의 사전 취득이, 단순노무의 경우 더욱 낮춘 눈높이와 지속적 구직 시도가 꼽힌다. 즉, 60년대생의 재취업전략은 퇴직이 예상보다 빨리 닥치기에 사전에 미리 퇴직을 주닙하고 현직에 있을때 전문경력을 확보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잘 관리하는 것이 된다.
한국은 고령층이 많아져 액티브 시니어 시장이 유망할 것으로 생각된다. 액티브 시니어는 글자그대로 활동적 노년층이다. 이들은 독립적이고 경제력이 있으며 적극적이고 젊게 사는 태도와 다양한 취미를 지니고, 여가에 가치를 두고 다양한 금융상품을 보유한다. 한국의 액티브 시니어는 2010년부터 10년간 525만이 증가했다. 그리고 2030년이면 이들이 전 인구의 절반이 된다.
그래서 향후 액티브 시니어 시장이 중요하나 아직까진 예상보다 많이 미약한다. 그 요인으로는 우선 다양한 선호를 가진 고령층에 대한 공략 데이터가 적거, 고령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마지막으로 기존 진출 업계의 성공사례가 딱히 없다는 점이 꼽힌다. 그래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시니어 시장은 아직 규모 추정이 어렵고, 충분히 성장하지 못했으며 고령층이 경제적으로 양극화 되어 있고, 기업이 시니어를 위한 공급을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60년대생은 건강수명과 돈의 수명, 근로수명을 늘려야 한다. 이들은 60세에 은퇴하여 만약85세까지 생존한다면 25년의 시간이 주어진다. 이는 무려 22만 시간이다. 이 중 절반이 필수시간과 와병시간이면 11만 시간이 남는다. 이중 여가에 6, 근로에 4를 쓰게 되는데 노년층은 대부분의 여가시간을 티비 시청에 쓴다. 그러지 말고 이를 전문성과 기술계발에 쓰면 취업조건도 나아지고 사회에 기여하는 부분도 많아 질 것이다.
향후 한국은 1인 가구의 사회가 된다. 2040년까지 20년동안 1인 가구는 240만이 증가한다. 하지만 청년가구는 27만이 감소하며 고령1인 가구는 무려 250만이 증가한다. 1인 가구의 중심이 고령층인 것이다. 그래서 1인 가구의 유형은 월세에서 자가보유로, 가구의 빈공간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그래서 주택의 크기를 줄이고, 주택연금을 활용하고, 빈방을 잘 활용할 필요성이 높아진다.
노년엔 긴 생활을 위해 자금이 필요하다. 30년의 노후에서 월 100만원의 현금을 위해서는 3억 정도의 자산이 필요하다. 저자는 주택 연금을 추천한다. 한국은 노년층이 재산을 대개 부동산으로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부동산의 전망은 어둡다. 인구는 줄고, 저성장이기 때문이다. 주택연금은 역 모기지로 사망시점을 알 수 없어 대출기간이 불확실하다. 그래서 기관은 보험의 개념으로 보증료를 받는다. 가입자는 주택 가격 만큼 월 별 현금을 받고, 사망하게 되면 주택이 넘어가 부채를 모두 상환하는 구조다. 현재 주택연금은 공시지가 9억이하에서 12억으로 상향되었다.
노년에 은퇴하면 사회관계가 모두 끊어진다. 그래서 저자는 부부, 친척, 친구, 사회관계를 모두 중시한다. 특히 은퇴부부관계가 중요하다. 퇴임전 부부는 근로와 육아로 바쁘다. 하지만 은퇴하면 오랜 시간을 서로 대면하며 갈등이 생긴다. 이를 위해 서로를 위한 개별공간을 만들고, 공감하며, 집안일을 잘 분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