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육이 없는 나라 - 서열화된 대학, 경쟁력 없는 교육, 불행한 사회
이승섭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23년 4월
평점 :
한국 교육은 전반적으로 문제가 심각하지만 사람들은 주로 초중등, 특히 중등교육에 문제의 초점을 둔다. 이것 자체가 다소 기형적 행태인데 교육은 유아, 초등, 중등, 고등, 평생 교육이 모두 비슷한 빈도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은 능력주의에 매몰된 입시의 국가이기에 그것과 가장 직결되는 중등교육에 가장 집중하며 문제로 바라본다. 때문에 교육에 대한 주요 비판 여론은 사실상 초중등교육에 집중한다.
하지만 한국은 고등교육에서도 큰 문제를 갖고 있다. 우선 고등교육에 지원하는 예산 자체가 매우 적다. 한국의 교육 예산은 초중등은 비교적 충분한 반면, 고등교육인 대학교육은 예산 자체가 부족하여 그 질이 떨어지게 된다. 대부분의 대학은 교육예산의 상당부분을 학생이 납부하는 등록금에 의지하는데 이는 양질의 교육을 수행하는데 불충분 하다.
또한 대학간 1인당 학생 교육 비용과 환경에도 현저한 차이가 난다. 서울대가 한국에서 최고인 이유는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결점수가 가장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울대는 두세번째 대학으로 취급되는 고려, 연세대학교에 비해서도 상당히 많은 예산을 학생 1인당 교육비에 투여한다. 이는 서울대의 정책이 우수해서라기 보다는 서울대에 사회의 많은 지원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상대적 여력이 있어 교육비도 많이 쓸수 있는 것이다. 서울대의 교육비는 2-3위권 대학의 거의 두 배에 달하며 지방거점 국립대와 비교하면 5배 이상으로 벌어진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서로 비슷한 등록금을 납부함에도 이렇게 교육 수여의 차이가 큰 것은 상당한 불평등 및 수도권 대학으로의 편중을 가속화하며, 지방인재 양성에도 불리하고 작용한다. 또한 무엇보다 불평등하다. 같은 등록금을 내면서 대학의 간판까진 모르겠으나 교육의 수준 자체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은 확실히 문제다.
책 '교육이 없는 나라'가 다소 재밌었던 것은 저자가 카이스트 교수인만큼 고등교육의 문제에 초점을 둔다는 점이었다. 저자는 우리나라 인재의 역량 배양과 대학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대학을 대학원 중심으로 재편해야 한다고 본다. 서울대나 포항공대, 카이스트, 연세대, 고려대 같은 우리 나라의 주요 대학들은 메이저 대학임에도 대학원 진학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데 주요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이례적이다. 그들은 주요 대학에 진학한 영재와 수재들이 대학원에 진학해 학문에서 성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을 대학원 중심의 연구대학, 학부중심의 교육대학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그는 입학처장으로 근무하며 대학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했는데 저자는 중2와 고3, 대학교 2학년 중 가장 중요한 학년이 언제냐고 반문한다. 대부분의 한국인은 고3을 택할 것인데 저자의 선택은 대학교 2년생이다. 이 시기는 본격적으로 자기 전공의 학문적 기초 개념을 접하여 학문에 빠져들고 향후 사회와 기업에서 사용할 지식, 기능을 익힐 시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학생은 중고시절 거의 모든 힘을 쏟고 대학2년에 전공을 즐기고 앞으로 나아갈 동력을 상실하고 있다. 때문에 저자는 입시경쟁을 없애고 학생이 중고를 다니면서 다양한 경험과 취미활동을 즐기며 창의적 인재로 자라나서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학문을 즐길 수 있는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지극히 옳은 말이다.
대학원 중심으로의 전환은 교수들에게도 중요한듯 하다. 교수들은 학부와 대학원에서 많은 강의를 맡고 있는데 이로 인해 연구로 전환할 역량이 불충분해진다는 점을 지적했다. 연구대학을 중심으로 교수들에게 대학원에 전념할 기회를 준다면 연구 성과가 발전할 것이란게 저자의 주장이다.책은 빠르고 가볍게 볼 수 있지만 그리 가볍지만은 않다. 인구감소기를 맞아 양적으로 과도하게 팽창한 대학을 크게 정리하고, 지방의 거점 국립대를 중심으로 그 연구역량을 크게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