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 - 다산과 연암 라이벌평전 1탄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에게 조선은 애증의 나라가 아닐까 한다. 시기 상 가장 대한민국과 가장 인접한 나라라 정서적 공감과 이해가 상대적으로 강하고, 많은 기록이 있어 무수한 이야기 거리를 주기도 하며, 세종대왕인 이순신처럼 뛰어난 인물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100년 전 거의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치욕적 망국을 기록했고, 성리학에 경도되어 실리보단 명분과 형식에 치우쳐 자주적인 면에서 아쉬움을 보인 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망국과 관련하면 항상 세도정치 이전의 영정조 르네상스 시기가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많은 사람들은 개화시기에 국왕이 영정조였거나, 그 당시의 실학이 주류로 자리잡아 조선을 변화시켰다면 망국으로 이어지진 않았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정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아직까지도 무척 강하며, 정조와 함게 했던 대표적인 실학자 정약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당시의 이야기는 드라마나 영화로 꾸준히 만들어져 사람들은 정조와 정약용 하면 매우 근대적이고 개방적이며, 상당히 지적으로 훌륭한 인물이란 이미지가 많이 생성되어 있다. 

 하지만 책 두개의 별 두개의 지도를 보면 그렇지만은 않았던 것 같다. 책을 보며 처음 알았는데 정조는 재위시절 문체반정이란 사건을 일으켰다. 당시는 청의 전성기로 청을 통해 조선에 많은 문물이 들어오고 있었는데 명말 청초의 양명학이나 서학 등이 그런 것들이었다. 정조는 놀랍게도 이런 것들의 영향을 받은 선비들의 문체가 정도를 벗어나 경박하고, 좋지 못한 것이라 여겼다. 그래서 정조는 기존의 이미지와는 다르게 정승들을 중심으로 경고하고, 몇몇 선비들은 심지어 실제 벌을 내리기도 했다. 꼰대도 이런 꼰대가 없지 않은가. 

 보수적인 측면에서는 다산도 마찬가지다. 다산의 대표적 저서는 목민 심서인데 여기서 다산은 상당히 엄격한 조건을 수령에게 강조한다. 소위 수령은 성리학에 밝으면서도 이호예병형공의 모든 지식에 통달하며, 윤리적으로 자신에게 엄격하고 청빈해야 한다. 상당히 많은 메뉴얼을 수령에게 요구한는데 정말 옴짝달싹 못하게 하는 형국이다.

 실학자 중 박지원은 정조 그리고 다산 정약용에 비해 주목도가 크게 적다. 정약용이 등장하는 소설이나 영화, 드라마는 많지만 박지원을 다룬 것은 단 하나도 보지 못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인은 박지원을 알고 있는데 바로 역사 교과서에 그가 남긴 열하일기가 나오기 때문이다. 사실 제목만 알고 열하일기의 열하가 어딘지도 몰랐는데 열하는 북경 동북부에 있는 곳으로 청황제의 피서지였다. 박지원은 청황제의 팔순잔치를 축하하는 조선 사신단에 합류하여 북경을 갔다가 연경까지 들르게 되고 당시 경험한 문물을 남긴 것이 열하일기다. 당시 열하는 유목민의 문명과 청황제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온 여러 나라의 사신단과 선물들이 얽혀 매우 국제적이고 이질적인 분위기를 풍기고 있었다. 박지원은 이런 모든 것들이 흥미롭고 재미를 느낄만큼 개방적이고 국제적인 인물이었다.

 박지원과 정약용은 같은 실학자로 분류되나 매우 다르다. 일단 둘은 나이차가 상당하다. 연암 박지원이 거의 30이 되어서야 정약용이 태어난다. 한참 병아리인 셈이다. 다른 것은 나이 뿐만이 나이다. 박지원은 의외로 집안이 노론 정파 계열이다. 당시 집권 세력의 주류였던 셈이다. 반면 다산 정약용은 남인 출신이다. 이들은 정조 시절 등용되어 영수격인 체제공이 정승이 되며 전성기를 맞미나 정조의 죽음과 동시에 천주교로 인해 공격 받아 몰락한다. 이런 배경과 타고난 성향 때문인지 성공에 대한 두 사람의 접근도 다르다. 연암은 나그네 혹은 유목민 같은 성격으로 평생을 변방을 떠돌았다. 벼슬에 대한 생각이 도통 없었다. 명성이 높아 정조가 은연 중 몇번 관심을 보이긴 했으나 그 때마다 겉돌았다. 나이 50이 되어서야 생활고에 시달려 어쩔수 없이 음서로 관직에 들어서게 되는데 이 때도 정조가 크게 쓰기 위해 과거를 보게 하려 했다. 그의 높은 학문적 경지와 노론의 중심이었던 집안 형편으로 보았을 때 필시 과거만 봐서 입격했다면 고속 승진은 따놓은 당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그는 그 모든 걸 거부하고 적당히 외관직을 떠돈다. 반면 다산은 중앙 정계로의 진출을 항상 꿈꿨다. 다산은 일찍 성균관 태생이 되었으나 이후 대과에 붙는데는 무려 6년이 걸렸다. 정조의 총애를 받아 중앙정계에 진출했고 관직도 높이 오를 수 있었다.

 둘은 인간 관계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연암은 그 특유의 수평적 성향으로 인해 관계도 그렇게 맺는다. 연암은 같이 풍류를 즐기는 친구들이 많았고, 여인이나 중인등 하층 계급과도 적극저긍로 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다산은 다르다. 다산의 인간 관계는 주로 형제 집단이 많다. 둘은 다른 사람의 묘지명도 많이 썼는데 그것도 다르다. 연암은 여인이나 친구들의 묘지명을 주로 썼고, 묘지명은 하나 같이 짧지만 그들과 함께 했던 시간과 감정이 묻어난다. 반면 다산이 남긴 묘지명은 상당히 긴 편이다. 특히, 천주교로 인해 희생당한 가족이나 친구들에 대해서는 그들의 무죄를 증명하기 위한 기록을 상당히 남겼다. 

 학풍도 달랐다. 연암은 사상이 자유롭고 서학에 관심이 없었지만 다양한 문물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관료로 근무할때도 형식이나 겉치레를 중시하지 않았고 본질에 집중했다. 그래서인지 저작을 많이 남기지도 않았지만 하나같이 짧고 핵심을 찌른다. 그리고 열하일기 같은 글에는 해학과 유머가 넘쳐난다. 열하를 방문했을 때, 청 사신이 티베트 승려를 만나는 것을 권장했는데 유학자입장인 사신단에겐 쉽지 않은 일이었다. 연암은 조선 사신이 이를 거부해 황제의 진로를 사게 되어 저먼 강남으로 유배되면 같이 온 마당에 본인도 동행하여 낯선 문물을 경험할 생각에 오히려 기뻐한다. 그는 이런 식이다. 하지만 다산은 다르다. 다산은 보수적이지만 성리학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고 천주교에 빠져든다. 그는 중심과 질서를 향한 갈망이 있는데 천주교는 이런 그의 성향에 안성맞춤이었다. 하지만 정조와의 만남으로 서학을 정리한다. 그는 과거의 선진고경의 드높은 이상을 체득하고 그것을 경세치용에 쓰는 것을 이상적으로 삼았다. 다산은 백과사전적 인물이고 관직을 통해 현실정치를 오래 경험했기에 이상적 학문을 중심으로 경세치용을 위한 글을 매우 길고 많이 썼다. 그래서 다산은 연암과 다르게 무척 저술이 많다.

 이런 둘에게도 공통점이 있다. 우선 정조에 대한 애정이다. 물론 정조에 대한 애정은 그의 죽음과 운명을 거의 같이 한 다산이 훨씬 더 크다. 하지만 연암도 호학 군주였던 정조에 대한 상당한 호감을 품고 있었다. 문체반정의 용의자로 의심 받았음에도 말이다. 또한 학문적으로 큰 업적을 남긴 것도 같은 점이다. 연암은 항상 주변인이었기에 학문적으로 힘쓸 시기가 많았다. 하지만 현직에서 꾸준히 일한 다산은 정조가 죽어서 고초를 당하고 집안이 몰락하고 나서야 학문적으로 꽃을 피운다. 다산은 전남 강진으로 유배되었는데 거기서 다산초당을 만들고 목민심서를 비롯한 그의 주요 저작들을 저술한다. 다산은 강진에서 거의 18년만에 유배가 해제되고 이후에는 비슷한 시기를 더 살았으나 묘하게도 유배 이후엔 거의 저술이 없다. 거칠고 모진 유배와 세상과의 단절이 오히려 그에게 학문적 원동력이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책을 읽어보니 진보적이고 개방적이라고 생각했었던 다산과 정조는 보수적이었고, 별 관심이 없었던 연암이 보다 진보적이었다. 이 둘을 삶과 학문, 성격적인 측면에서 비교한 이 책은 무척 재미있었다. 다만 책이 다소 두꺼운 편이었는데 비슷한 내용이 다소 다른 맥락에서 변주되는 느낌이어서 좀 아쉬운 면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