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지대 - 매킨더의 지정학과 지리의 결정력 현대의 고전 15
해퍼드 존 매킨더 지음, 임정관.최용환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영국인 존 매킨더가 쓴 책으로 1차 대전이 막 끝난 1919년에 나왔다. 1919년은 한국에도 의미가 있는 해인데 암울한 일제강점기의 상황에서 3.1운동이 있었던 해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앨프리더 머핸의 해양세력, 니컬러스 스파이크먼의 림랜드 이론과 더불어 대표적인 고전 지정학 이론으로 꼽힌다. 매킨더는 이 책에서 심장지대의 중요성을 지적했는데 19세기 대륙을 지배한 러시아와 해양을 지배한 영국이 그레이트 게임을 벌인 것을 생각하면 일맥상통하는 부분도 있는 것 같다.

 매킨더가 말하는 심장지대는 유라시아 대륙의 한복판으로 북쪽으로는 북극해, 매킨더가 레나랜드라고 명명한 예니셰이강 뒤편의 광활한 황야, 고비, 티베트, 이란사막과 알타이 산맥에서 힌두쿠시 산맥으로 이루어지는 자연방벽으로 둘러싸인 지대다. 이 지역은 인구는 희박하나 드넓고, 자원이 풍부하며 무엇보다도 상당히 넓음에도 자연방벽으로 둘러싸여 방어가 용이하다. 다만 열린 부분이 한 곳 있는데 바로 동유럽으로의 통로다. 오랫동안 아시아의 유목민족은 이 방면을 통해 유럽을 침공하여 그들의 역사를 뒤흔들어 놓았으며 반대로 유럽쪽에서 이 방면으로의 진출도 이뤄졌다. 통로는 무척 넓고 저지대라 역사적으로 방어가 불가능했는데 세계 1차 2차대전에서 러시아가 처음으로 방어에 성공하며 그 의미를 뒤집어 놓았다. 

 매킨더는 제2의 심장지대를 책에서 지목했는데 이는 바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다. 이 지역은 드넓고 역시 자원이 많으며 양 대양과 사하라 사막이라는 자연방벽에 둘러싸였고, 인구가 광대하다. 때문에 매킨더는 여기가 잘만하면 제2의 심장지대로 세계 역사를 뒤흔들만한 세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본 것 같다. 물론 이는 아직까지도 좀 요원한 이야기다. 

 세계 1차 대전은 유럽에 파멸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는 오래도록 전략적 관점에서 힘을 키운 프로이센과 이들의 목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이를 방치한 유럽 국가들을 비판한다. 유럽은 1차대전에서 간신히 승리를 거둘 수 있었는데 매킨더는 이를 3가지 요인으로 파악한다. 우선 대영제국의 함대가 실제로 움직이고 해안을 장악하여 병력과 물자를 수송한 것, 둘째는 마른 전투에서 보여준 한 프랑스 전략가의 전술적 성공, 마지막은 영국 직업 군인들의 용기와 희생정신이다. 매킨더는 끔찍한 전쟁에 젊은이들을 휘말리게 한 정치가들을 비난한다. 그들은 책임이 있다.

 매킨더가 보기에 1차 대전은 동유럽을 향한 게르만 민족의 욕심과 그곳에서 살고 있는 슬라브 민족간의 갈등의 표출이다. 즉, 심장지대를 장악할 수 있는 그 입구를 향한 게르만 민족과 슬라브 민족의 대결이 표면화 한 것이다. 동유럽은 서유럽과 여러가지 면에서 다르다. 서유럽은 한 쪽이 대양에 막혀있고 주요 민족국가를 형성한 영국, 스페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은 자신들을 고립시킬만한 상당한 자연방벽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은 심장지대와 자신들 사이에 동유럽이라는 완충망을 갖고 있다. 때문에 오랜 기간 고립되어 지리적 방벽을 방패삼아 세력을 키워 국가를 형성할 수 있었다. 반면 동유럽은 심장지대쪽으로 뚫려있고 서유럽, 아시아 유목민 세력, 해양세력까지 진출하여 오랜 기간 혼란을 겪었다. 때문에 강한 민족국가가 성립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매킨더가 보기에 유럽의 역사는 심장지대에서 발원한 이민족에 대한 반응에 가깝다. 훈족의 침입에 앵글로 색슨 족은 브리튼 섬으로 피신해 영국을, 프랑크와 고트족은 로마속주와 협력하여 약탈에 대항해 연합하여 프랑스를, 베네치아는 아킬데이아와 파도바 사람들이 수상으로 도망쳐 세웠다. 로마교황 역시 훈족 이후 침입한 아틸라와의 협상이 잘 진행되어 권위를 되찾았고, 아바르인이 침입하자 샤를마뉴가 이를 막아내어 오스트리아가 기틀을 잡고, 빈의 요새가 강화되었다. 

 하여튼 심장지대를 유럽으로 향하는 입구이자 그 자체가 방대한 자급적인 곳이기에 공략이 어렵다. 때문에 심장지대를 차지하는 세력을 어떻게든 막아내는 것이 매킨더가 보기엔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번엔 독일의 시도가 있었으며 현재를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다. 다만 러시아는 이시기만 해도 강국이라기 보다는 약했기에 매킨더는 러시아에 대한 경계는 많이 드러내지 않았다. 

 매킨더는 전쟁은 결국 국가간 불균형 성장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보았다. 나라간 자원과 인적 자원이 불균등하고 이로 인한 갈등이 세계대전으로 벌어진 것이다. 실제 독일은 전쟁전까지 매년 인구가 100만명씩 증가하며 폭발했고, 꾸준히 생산력은 증가하는 반면 식민지의 부족으로 시장이 부족했다. 이를 타계하기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동유럽으로 뻗어나간 것이다. 만약 그들이 서유럽이 아닌 동유럽을 먼저 공략하고 이후 서유럽을 공략했다면 영국과 미국은 유럽으로의 진출로인 프랑스를 상실해 큰 곤경에 처했을 것이란게 그의 생각이다. 

 매킨더는 평화를 위해선 국제 연맹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세계 정치는 결국 힘의 싸움이기에 어떤 한 나라가 강대한 힘을 가져 국제 연맹의 힘을 넘어선다면 이는 국제 연맹이 무력화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때문에 국가 간 균형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고 견제를 통해 강력한 나라가 등장하는 것, 특히 심장지대를 차지하는 국가의 발원을 막고자했다. 그는 전후처리도 중시했다. 현재 전후의 처리가 독일에 지나치게 가혹한 방향으로 간다면 다시금 곤란한 상황이 일어날 것이라고 보았다. 이점은 매우 탁월했다. 실제 역사는 독일에 가혹했고 그 가혹함이 더한 전쟁을 불러왔기 때문이다. 

 매킨더는 국가 간 계급간의 연대 등도 이야기 했지만 지금이나 그 때나 어려운 이야기이고, 자신이 영국이라는 해양 세력 출신임에도 역사적 근거를 들어 결국 육지의 패권 세력이 해양 세력을 제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도 그럴 것이 해양 세력은 영원히 바다를 떠도는 것이 아니고 자신을 지원할 육상세력과 기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육상세력을 막아내지 못하면 해양 세력은 힘을 다할 것이란게 그의 생각이었다. 실제 임진왜란 당시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세력을 유지한 것도 진주성과 이치, 웅치에서 일본의 육상 세력이 패배하여 전라도 지역이 수호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그의 의견은 그럴듯하지만 해양 세력의 발전 상을 내려본 듯한 느낌이 있고 지금도 역시 해상세력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견해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 

 이 책은 100년 전에 나온 책으로 지금 보면 많은 부분에서 한계가 있다. 하지만 당대에 세계를 지배한 세력의 시각을 엿볼 수 있고, 전쟁 후 세계를 재편하는 과정에서 그간의 문제점과 과오를 짚어내고 이를 반복하지 않고자 하는 시각이 재밌다. 당대만 해도 그에게 아시아는 중국과 인도, 일본 뿐이었지만 강력한 세력으로 떠오른 동아시아 국가들과 자원으로 무장한 중동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들지도 궁금하다. 또한 그는 공군 세력을 중요하지 않게 생각했는데 현재 전쟁을 지배하는 공군력에 대해서도 색다르게 느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