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중심 수업을 위한 협력적 수업 설계 가이드 - 교사 공동체의 역량 기반 융합수업 만들기
이은상 지음, 김현진 감수 / 푸른칠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에서 선생님들끼리의 생각은 생각보다 어렵고 좀 처럼 잘 일어나지 않는다. 초등이라면 전교과를 다 가르치고 하루종일 아이들과 함께 하기에 개별교실에 철저히 갇혀있는 편이다. 공간적으로 서로 간의 격리가 있고 간섭하지 않는게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한다는 분위기이다 보니 간섭하는 물론 딱히 협력이 일어날 일도 없다. 중등은 교과의 벽이 두텁게 쳐있다. 교무실에 서로 붙어 있긴 하지만 서로간의 교과의 벽이 높고 서로의 수업에 간섭하는 것은 상당히 주제넘은 일이 된다. 역시 수업설계상 협력이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다. 

 하지만 앞으로, 아니 지금의 세상은 교사의 협력을 요구한다. 시대는 역량중심교육을 요구하고 있으며 학생중심학습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해야한다. 이는 혼자서도 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함께하였을때 더욱 제대로 할 수 있다. 모든 교과를 혼자 가르치는 초등은 사실 혼자서도 역량중심교육을 실천하는 프로젝트학습이나 문제중심학습 등의 교과통합수업이 가능하다. 하지만 중등은 교과의 벽이 쳐져있기에 위와 같은 실천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별교과를 넘어서는 교사들간의 협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 책은 그 협력을 어떻게 하느냐에 대한 것이다.

 책에 의하면 교사의 협력 유형은 크게 네 가지이다. 우선 단순 협력으로 일상 이야기나, 단편적 아이디어의 교환, 수업 자료와 방법의 공유다. 현장에서 쉽게 많이 일어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긴밀한 렵력으로 특정 책임을 공유하는 교사들의 상호 의존적 협력이다. 자율성과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목표를 공유하는데 현장에서 진정성 있게 운영되는 혁신학교를 제외한다면 거의 관찰할 수 없는 유형이다. 세 번째는 완전한 협력으로 자율성을 기반으로 주도권을 갖고 협력하는 것으로 역시 드물다. 네 번재는 인위적 협력으로 타인(주로 교육청 또는 교장교감)에 의해 강제, 강요, 명령에 의한 것으로 특정시간과 장소에서 일어난다. 주로 학교 행사나 공문을 해결하기 위한 협력으로 가장 교육적 의미가 적으면서도 가장 많이 일어나는 유형이다.

 교사가 제대로 협력하면 여러 긍정적 효과가 일어나는데 학생의 학업 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도움이 되고, 교사의 업무 방식과 상호작용을 바꾸어 학교의 문화적 수준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를 처리할 수 있는 학교의 변혁적 역량을 향상시키게 된다. 

 책은 교사의 협력을 통한 협력적 수업 설계를 강조한다. 협력적 수업 설계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들이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자율적으로 의사소통함으로써 공통 수업 혹은 개별 수업을 협력적으로 분석, 설계, 개발, 설정, 평가하는 과정이다.

 협력적 수업 설계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팀 준비

 수업 설계전 팀의 목적과 환경등을 마련하는 것이다. 학교의 비전이나 지역, 학생특성을 토대로 올해 학년의 목표 등을 정하는 것이며, 가용가능한 자원 및 서로 간의 역할, 앞으로의 규칙이 정해진다.

2. 분석하기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제를 선정한다. 주제는 빅아이디어나 핵심개념등 큰 것으로 자유나, 평화, 의사소통, 환경 같은 것들이다. 이 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교과나 성취기준 등을 정하며, 구체적인 평가상황도 지정한다. 주제가 환경이라면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우리 지역이나 학교 등에서 해결방안 마련하기 정도가 되겠다.

3. 설계하기

 설계에선 분석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평가 내용 및 방법, 문제상황, 학생활동, 도구, 지원방안등을 결정한다.

4. 개발, 실행하기

 구체적인 자료를 탐색 및 개발하고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이다.

5. 성찰, 평가하기

 모든 설계 단계마다 수행하는 형성평가와 수업과 설계활동을 모두 종료한 뒤 그 성과를 평가하는 총괄평가 같은 역할을 한다. 


책에는 위 협력적 수업 설계단계가 매우 상세히 나와있다. 사실 다섯 단계마다 하위의 단계들이 있으며 해야할 일들이 구체적으로 명시된다. 그리고 이를 적용한 실제 사례도 나온다. 중등의 예인데 여러 교과가 하나의 목표를 위해 협력한다. 위의 과정은 목표설정 후, 평가상황을 먼저 상정한다는 점에서 이해중심교육과정과 그 순서가 같다. 때문에 유사한 면도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