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교육의 불편한 진실 - 환상에 사로잡힌
박제원 지음 / EBS BOOKS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5 개정교육과정부터 한국 교육은 혁신교육의 흐름과 더불어 지식위주의 수업과 교육과정, 학력관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 흐름은 학생중심의 수업과 배우는 과정, 그리고 주제통합형 수업, 통합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 등을 중시한다.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과거에 비해 지식에 대해 소홀히 하는 느낌이는 드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인터넷의 대두와 더불어 인공지능까지 떠오르며 지식은 좀 홀대받는 느낌이다. 

 저자는 이런 분위기를 파고들어 최근의 한국 미래교육이 학습의 가장 중심인 지식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책을 펴냈다. 특히나 혁신 교육이 전통적 지식 중심 수업을 도외시 하고 이를 중요시하는 교육계의 한 주장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교육정책을 펴나간 것에 대해서도 문제를 삼는다. 

 개인적으로 혁신교육과 미래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어 이를 추종하는 책들이 대세인 가운데 반론을 제기하는 책을 봐서 신박하게 보았다. 우선 저자는 전국적으로 진보교육감이 당선되며 혁신교육이 도입된 가운데 지식교육을 도외시 한 나머지 학력이 떨어졌음을 제시한다. 자료는 PISA에서 측정한 시험이다. 그리고 문해력의 감소와 사교육비의 증가도 문제로 제시했다. 보면서 약간 설득력에서 회의적이었는데 우선 학력 같은 경우 감소폭이 그리 크지 않았다. 2010년대부터 제시한 학력 수준은 10년초반에 낮았다고 15년즘을 향하면 상승하고 이후 다시 2020년을 향하며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하락수준이 10년초반과 비슷해 크게 낮아졌다고 보기 어려웠다. 당시는 오히려 보수교육이 일제고사를 실행하던 시점이었는데 그 때와 비슷한것이 낮은 것인지 의심스러웠다. 또한 학력의 경우 전통적 학력과 혁신교육의 학력은 개념자체가 매우 다르다. 보수쪽에선 지식위주의 객관식 시험점수를 학력으로 보는데 혁신교육은 역량 중심으로 실제 문제해결력, 학생의 학업이나 문제해결 의지, 협동능력, 자기주도성을 복합적으로 학력으로 본다. PISA 시험문제에 대해서 잘 모르나 이것이 낮다고 학력이 낮다는 것은 전통적 관점을 것이다. 그리고 문해력의 감소도 그렇다. 문해력이 낮아지는 것은 전세계적 문제인데 이는 스마트폰과 영상의 범람때문이다. 물론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더 낮아졌으니 이 문제를 교육계에 책임지울순 있겠다. 하지만 한국이 더 디지털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청소년이 더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기 쉽다는 것도 고려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교육 부분인데 실제 통계자료상 사교육비가 혁신교육 도입이후 증가했다. 저자는 이를 학력의 하락으로 인한 보충으로 보고있지만 2010년대 2만달러에서 2020년 3만달러로 국민소득 자체가 증가한 점, 그리고 이 시기 4차산업혁명에 대한 사회적 이슈가 커지며 코딩이나 드론 등 미래교육 방향으로 새로운 사교육 시장이 생성한 점도 고려했어야 한다. 이를 혁신교육의 책임만으로 지우기엔 역시 설득력이 부족했다. 

 그리고 학력관과 더불어 혁신 교육은 지식을 도외시 하지 않는다. 다만 구성주의에 입각해 지식을 학생이 스스로, 협력하여 경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며 생성하는 것을 중시한다. 외부주입보단 덜 효울적이겠지만 그 방식을 선호한다. 이러한 수업이 효율이 떨어지고 지식의 체계성을 쌓는데는 다소 약점이 있다고 볼순 있겠다. 하지만 혁신 교육 역시 이 모든 것에 기반에 기초기본지식이 있음을 인정하며 실제 목표에서도 기초바닥으로 항상 설정하고 있다. 혁신교육이 목표로 삼는 역량은 매우 복합적이고 상황맥락적이기에 실제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장기적 관찰과 향상과정을 꾸준히 전문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고 실제 평가기록도 이런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최근 한국의 능력주의가 많은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역량의 측정과 그를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의 일체화는 이런 능력주의의 부작용을 다소 떨궈줄 것으로 생각된다.

 책은 혁신교육에 대한 비판외에도 학습과학에 근거한 학습 전략을 제시하는데 이 부분은 좋았다. 학습전략으로 9가지를 제시한다. 

 첫째로 정보가 작업기억에 오래 유지되도록 실질적인 용량을 늘려주는 것으로 청킹 전략을 제시한다. 둘째로는 작업기억에서 인지과부하가 생기지 않도록 교사가 교육내용을 짧게 여러 개의 단위로 나눠 가르치면 효과적이라고 한다. 셋째는 정보를 장기기억으로 옮기는 되뇌기 전략이다. 단순 반복과 장기기억에 저장한 지식을 다른 것과 관련짓는 전략, 정보를 공동범주에 묶어 재구조화하는 방법이 있다. 넷째는 장기기억에서 정보가 잘 인출되게 적절한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 다섯 째는 시청각 자료와 스토리 텔링, 여섯째는 충분한 휴식주기, 일곱번째는 디자인 씽킹, 여덟번째는 융합적으로 사고하기, 마지막은 학교에 예술교육늘리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