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풍요로웠고, 지구는 달라졌다
호프 자런 지음, 김은령 옮김 / 김영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담배와 술, 과식을 즐기는 사람에게 그것을 그만두게 하는 것은 무척 힘들다. 그들은 그것의 해악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지만 그 위험성에도 이를 잘 체감하지 못하고 여전히 그것을 즐긴다. 때문에 다그치는 것도 나무라는 것도 좀처럼 효과가 없다. 환경문제도 이와 비슷하다. 인간은 자신의 평안과 만족, 즐거움을 위해 자연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미 생존 이상의 평안을 누림에도 소비로 인한 환경 문제에 무관심하다. 위험성도 우리 대부분이 수십년전부터 잘 알고 있지만, 이제서야 슬슬 위험성을 체감하고 있으나 그것도 극히 일부 사람만 그렇다. 또한 자신의 행동을 바꾸는 것은 그들 중에서도 정말 더 극소수일 것이다.

 이런 인간을 어떻게 설득해야 할까. 책이 선택한, 그리고 저자가 선택한 방법은 담담하게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인간이 얼마만큼 자연을 사치스럽게 소비하고 있고, 그 결과가 어떤지를 말이다. 책엔 큰 감정조차 없는데 이런 방식은 의외로 충격으로 다가온다. 사실 우린 환경파괴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수치나 환경파괴의 영향, 그리고 그것이 남과 다른 생물체에게 어떤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는 정확히 모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자는 과거와 지금의 사치정도를 비교하는 기준으로 1969년을 들었다. 특별한 것은 없고 1969년이 바로 저자가 태어난 해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자신이 태어나서부터 목도하고 저지른 것을 보여주는 것이 더 의미있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1969년보다 인간의 경작지는 겨우 10%늘었다. 하지만 인구는 배로 늘었는데 이게 가능했던 것은 농작물 수확량은 무려 3배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농업기술의 발달과 품종개량, 비료, 농약의 강화로 가능했다. 1부셸은 곡물의 측량단위로 대충 30리터들이 한 바구니에 들어가는 곡물량이다. 아마도 담는 곡식의 무게와 부피에 따라 천차만별이니 1부셸은 대충 무게로 22-27kg정도다. 50년전엔 1부셸에 해당하는 옥수수를 재배하려면 농구장 크기의 경작지가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자동차 두대정도의 넓이면 된다니 얼마나 생산량이 늘었는지가 체감된다. 

 전 세계 비료사용량도 69년에 비해 3배가 늘었는데 관개능력도 2배가 좋아졌다. 이러니 지하수가 고갈될수 밖에 없다. 인간이 만들어낸 인위적인 농경환경은 영양과 물이 넘쳐나는 곳으로 재배작물 뿐만 아니라 다른 식물과 해충들에게도 매우 매력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이들의 제거를 위해 인간은 해마다 무려 500만톤의 살충제를 사용한다. 한중일의 논에는 해충방지로 클로드피시포스를 살포하고 아열대, 온대, 중위도는 잡초제거라 아트라진을 사용한다. 글리포세이트는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농약으로 과거 밭고랑에만 뿌리다 개량되어 이젠 밭 전체에 뿌려도 된다. 글리포세이트의 사용량은 지난 20년간 15배가 늘었고, 내성을 갖춘 잡초도 15종 이상이 되었다. 그리고 이 글리포세이트는 발암가능물질이다. 그리고 전 세계는 미국산 농작물에 의지한다. 

 인간의 농업과 축산은 낭비가 무척 심하다. 미국은 옥수수를 무척 많이 키우는데 이중 인간의 입으로 들어가는건 겨우 10%다. 나머지 45%는 사료이고 나머지 45%는 거름형태로 전환된다. 어차피 거름이 될걸 뭐하러 키우는지 이해 불가지만 하여튼 그렇다. 문제는 이 거름전환양이 1억명이 1년간 먹을 수 있는 양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2011년 이후 전 세계의 육류 생산량은 연간 3억톤 이상으로 1969년의 3배에 달한다. 이중 97%는 소, 닭, 돼지로 이 3가축의 운명은 기구하다. 미국에서는 매 시간 100만마리의 동물이 식재료가 되기 위해 도살되고 있다. 매년 소는 3천만마리, 닭은 90억마리, 돼지는 1억 2천만 마리가 도살된다. 거기에 이들은 69년에 비해 몸집도 무려 20-40%가 커졌다. 고기를 얻기 위한 품종개량 때문인데 빠른 성장, 낮은 신진대사, 높은 번식력이라는 모순되는 생물학적 특징이 나타난다. 69년엔 송아지가 생후 3개월이 지나야 간신히 45kg이 되었지만 지금은 50일이면 90kg이 된다. 

 육류는 그 자체로 낭비다. 때문에 육류를 얻으려면 엄청난 자원이 필요하다. 문명의 발상이후 지배층을 제외한 나머지가 육류에 굶주린 이유이며 힌두교는 소를 이슬람은 돼지를 금지한 이유라고 할수 있다. 일단 보통 3kg의 사료를 사용해야 고기 0.5kg을 얻는다. 물론 칼로리가 늘어나는것도 아니다. 인간은 매년 10억톤의 사료를 동물에게 먹이고 고작 1억톤의 고기와 무려 3억톤의 분뇨를 얻는데, 맛이 더 좋다는 것을 뺀다면 에너지나 환경면에서 지극히 손해보는 거래가 아닐수 없다. 과거 축산이 이득이었던 것은 사람이 먹지 못하는 곡물의 부위나 잡초를 가축에게 먹이고 고기를 얻었기 때문인데 지금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곡물을 먹이는 것이니 에너지상의 이득이 전혀 없다. 실제 미국인이 주당 1.8kg의 육류 섭취를 반으로 줄인다면 1억 5천만톤의 곡류 저장이 가능하고, OECD국가 36개국이 육류 소비를 절반으로 줄이면 세계 곡물 생산이 무려 40%나 늘어나게 된다. 모두가 비건이 되면 엄청난 일이 일어나는 것이다.

 놀랍게도 축산은 바다에서도 일어나고 있는데 바로 양식이다. 인구증가와 남획으로 바다 자원이 줄자 인간은 바다에 목장을 세운다. 바다 양식은 생각보다 손이 많이 가는데 연어 양식을 하려면 알을 부화시키고, 먹이를 주고, 목욕시키고, 예방주사를 놓고, 약을 치고 벌레를 잡고, 기생충을 제거하고, 홍합이 못자라게 양식장 울타리에 구리를 쳐야한다. 거기에 어류는 인간보다 5배 자주 배설하기에 찌꺼기를 걸러내주기도 해야한다. 노르웨이에는 연어양식자잉 있는데 크기가 보통 지름 50미터에 깊이도 비슷하다. 그리고 이 크기에 무려 100만마리의 연어를 양식한다. 연어는 양식장에서 다 자라면 담수탱크로 이동하고 거기서 일년간 머무르며 6kg의 항생제와 1kg의 기생충퇴치제, 9kg의 마취제를 먹는다. 각 양식장에선 매년 3-4천톤의 연어가 생산되고 이런 연어양식장이 노르웨이 피오르드는 따라 서쪽 해안에 수천 수만개가 있다. 노르웨이 연어가 전 세계 마트마다 있는데는 다 이유가 있던 셈이다. 

 이 바다축산은 육지축산만큼이나 낭비가 심하다. 물고기는 짧은 소화관 때문에 육지동물보다 오히려 더 많은 단백질이 필요하다. 이 단백질 공급을 위해 외해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 압착하고 건조하여 가루로 만든다. 당연히 외해에서 이 작은 물고기를 먹고사는 큰 물고기들은 굶게 된다. 1kg의 연어살을 얻기위해 작은 물고기 15kg이 필요하다. 

 인간은 바다 농장도 갖고 있다. 1969년 전 세계 바다에서 해초는 200만톤이 생산되었다. 지금은 2500만톤이다. 양식 때문인데 해초 소비의 절반은 토양비료, 사료, 다양한 제품 가공생산이다. 육지에 이어 비료로 만들기 위한 재배를 여기서도 한다. 해초는 점성용액을 만들때 필요한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조에 사용되는데 알긴산, 한천, 카라기닌이다. 모두 용액을 진하게 하는 저칼로리 탄수화물로 대부분의 아이스크림, 휘핑크림, 샐러드 드레싱에 콩과 해추추출물이 들어간다. 이들은 음식에서 우유, 계란, 크림의 식감을 낸다. 

 단맛을 좋아하는 인간은 설탕과 액상과당도 탐닉한다. 과거 미국인들은 설탕을 대량으로 사서 가정에서 음식을 만드는데 썼지만 지금은 주로 업체에서 만드는 간편식을 통해 설탕을 섭취한다. 1970년 주당 450그램의 당분을 간편식을 통해 섭취했지만 2004년엔 주당 700그램으로 섭취가 늘었다. 1977년 하루 건너 한 캔이던 당분음료의 섭취도 2000년대 들어 17시간 한 캔으로 늘어났다. 미국인의 소모 칼로리 10%가 당분음료에서 나올 정도다. 설탕에서 액상과당으로 당분이 전환된건 1972년 소련 우크라이나 지역의 대 가뭄으로 사탕무 농사가 망한 것과 1974년 카리브해 열대폭풍으로 사탕수수 농장도 타격을 크게 입은 것고 관련한다. 업체들은 액상과당에 주목함으로써 이 위기를 돌파했고 그 이후로는 액상과당의 시대가 되었다. 액상과당은 미국은 섭취 당분은 1/3을 차지한다. 설탕은 산과 섞이면 가수분해하고 맛이 이상해지며 갈변하지만 액상과당은 늘 액체상태이고 안정적이며 액체이기에 다른 것에 첨가하기도 매우 좋다. 현재 인간은 설탕과 액상과당의 과다 섭취로 음식물 소비가 줄었고, 일반 음식물의 무려 40%가 쓰레기로 전락하게 되었다. 

 늘어난 인간은 많아진 가축처럼 자신의 분뇨로 환경을 오염시킨다. 거기에 인간은 각종 쓰레기도 만들어낸다. 성인은 매주 1kg의 대변과 15kg의 소변을 만들어낸다. 세계 인구가 80억이란걸 감안하면 엄청난 숫자일 것이다. 인구증가와 음식물 섭취 증가로 배설물의 양은 크게 늘었는데 사실 정화장치만 괜찮다면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세계 인구의 20%는 배설물 정화장치가 없는 곳에서 거주하며 10억의 인구는 오염물을 완전히 걸러낸 음용수가 없다. 인간 배설물과 음식물 쓰레기, 각종 유기물 쓰레기는 매년 8천만 톤이 생겨나며 OECD모든 국가는 이 폐기물 양이 1억 5천만톤이고 전 세계 합산은 4억 톤이다. 특히, 음식물은 먹고 남기는 것 외에도 크고 작다고 버려지고, 운반중 소실되며, 우유와 고기는 유통과정 및 판매단계에서 상하고 썩어서 버려진다. 미국 수퍼에서 1/7의 신선식품이 버려지며 이중 버려진 과일채소의 양은 연간 아프리카 필요량에 달하고, 버려진 곡물의 양은 연간 인도에서 필요한 양에 달한다. 

 에너지 사용량도 엄청나다. 전기 사용량은 50년 전에 비해 4배가 늘어났다. 미국은 전 세계 에너지의 15%, 전기 에너지의 20%를 쓴다. 미국의 전 세계 대비 인구비중은 4%다. 현재 전 세계에는 10억대의 자동차가 있고 교통수단중 비교적 에너지 절약형인 철도는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늘고 도시가 더욱 커졌음에도 쇠퇴하고 있다. 미국에선 자동차가 매년 600만대가 팔리는데 2017년 자동차의 수가 인구수보다 50%나 더 많았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미국인은 겨우 5%다. 과거 자동차는 오일쇼크를 겪으며 에너지 효율이 무척 좋아졌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미니벤이나 SUV, 픽업트럭을 이용하는 사람이 많아졌고, 통근거리도 무척 길어지면서 이 효과가 완전히 상쇄되었다.

 미국과 유럽연합, 브라질은 식량으로 에너지를 만들기도 한다. 그리고 이 또한 매우 낭비다. 만드는 과정에서 채산성이 떨어져 미국은 무려 400억 달러의 보조금은 농부에게 지급한다. 미국은 옥수수 기반 에탄올을 , 브라질은 사탕수수 기반 에탄올을 유럽연합은 대두와 카놀라유 기반의 바이오 디젤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생산량도 매우 적어 미국은 겨우 6일치, 브라질은 3주, 유럽연합은 고작 3일치의 화석연료 대체효과가 있다. 바이오 연료는 육류만큼 낭비가 커서 1kg의 바이오 연료를 위해 무려 20kg의 사탕수수가 필요하다. 이들은 그럼에도 바이오 연료를 만드는 것은 위기나 안보상의 대비 때문이다. 

 이 책은 언급한 것 외에도 지구 온난화, 세계적 발전 등 인류가 풍요의 대가로 지출한 많은 손익계산서를 담담하게 서술한다. 책의 말미엔 잊을까봐 이를 한문장 한문장 두 페이지에 걸쳐 정리해놓았는데 이게 더 극적이다. 이미 선진국의 일원으로 환경을 적극 파괴하고 과소비하는 우리 입장에선 꼭 봐야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부수고 쓴건 일부지만 그걸 치우고 피해를 보는 건 전체이며, 역시 부수고 쓴건 먼저 태어난 사람이지만 이를 해결하고 감당해야하는 것은 나중에 태어날 사람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