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트라 소셜 - 사피엔스에 새겨진 ‘초사회성’의 비밀
장대익 지음 / 휴머니스트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윈의 식탁 시리즈로 유명한 장대익 교수의 책이다. 사놓고 오랫동안 쟁여놓았다. 제목처럼 인간의 사회성에 주목해 왜 인간이 사회성을 갖추게 되었고, 그 부작용과 앞으로의 사회성에 대해 논한다. 저자는 동물의 사회성과 구분해 인간의 발전한 사회성을 초사회성으로 명명한다. 인간은 고난도의 공감이 가능하고 지식전수와 협력, 신뢰와 배려, 마음읽기, 스토리텔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인간의 초사회성은 문명이 커지면서 역설적으로 차별, 집단 따돌림, 편견, 동조, 불평등의 기원이기도 하다. 

 인간이 사회성을 갖게된 생물학적 기반은 거울신경세포다. 인간이 남의 행동을 보는 것 만으로도 내가 실제로 그 행동을 할때 내 뇌속에서 벌어지는 것과 같은 일이 일어나는 매커니즘이다. 거울신경세포계는 남의 입장에서 생각을 해보기 전에 이미 내 뇌속에서 저절로 작동하는 공감회로다. 거울신경세포가 생겨난 것은 집단 생활때문이다. 집단 생활은 식량의 확보, 안전의 확보, 짝의 확보등 여러가지 일을 효율적으로 해결해준다. 하지만 타인과의 관계라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 거울신경세포다. 

 인간의 뇌는 침팬지의 3.5배에 달하는데 공교롭게도 인간이 이루는 집단의 크기가 바로 침팬지의 3-4배정도이다. 집단의 크기로 인한 관계의 증가가 거울신경세포 뿐만 아니라 인간 두뇌 크기와도 관련있다는 이야기다. 인간의 공감은 선천적이지만 후천적이기도 하다. 다양성으로 인간의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다. 주변에 다양한 사람이 살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 공감의 대상이 확대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인 항상 같은 공간(아파트, 학교), 같은 교육제도, 남북갈등으로 인한 생각의 좁힘으로 인해 이런 다양성이 부족해진다. 공감을 키울만한 다양성이 부족한 환경인 것이다.

 옥시토신은 모성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으로 정서사회문제를 겪는 아이들을 위한 옥시토신 스프레이까지 나온 상태다. 실제 옥시토신은 장기적인 짝 결속과 부모와 아이간의 애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 실험에서는 결혼 서약후 신랑과 신부, 그리고  그 가족들의 옥시토신 변화를 측정했다. 결혼 후 신부와 그 어머니는 약 25%정도의 옥시토신 수치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신랑은 옥시토신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신랑의 아버지는 소폭 상승했지만 신랑은 오히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90%나 증가했다. 결혼이 신부에게는 장기적인 애착의 약속을 신랑에게는 그보다는 자신의 지위를 여러사람에게 드러내는 자리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옥시토신은 친족간의 애착만 증가시키는게 아니다. 가족 뿐만 아니라 사회성도 증가시키며 특히 내집단의 선호성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반대로 옥시토신은 외집단에 대한 폄훼를 증가시킨다. 즉, 옥시토신은 내집단이나 가족 및 친족의 결속은 강화하나 외집단에 대해서는 폐쇄성을 증가시크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옥시토신 스프레이를 아이에게 함부러 뿌리기전 생각해봐야할 문제다. 

 인간에겐 이타성이 있다. 이타성은 포괄적합도 이론으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책에선 경쟁적 이타성을 강조한다. 이타성이란 친사회적 또는 이타적으로 보이려는 노력을 통해 더 높은 지위에 오르려 경쟁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 같은 사례는 인류역사에서 여러 번 드러났으며 지금도 진행중이다. 인간의 SNS행위는 많은 비용이 수반되는 행위인데 이는 현대판 지위를 얻기 위한 경쟁적 이타성의 하나로 볼 수 있다. 기부 역시 평판 구매의 한 행위로 보이는데 그래서 기부나 친환경 제품을 팔려면 유명인이나 CEO가 그것을 소비한다고 광고하고, 기금을 냈다는 분명한 표식을 만들어야 하며, 오히려 비싸다면 성공적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의 공감능력이다. 인간은 동물에 대해 공감하는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실험결과 대체로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이 농업종사자보다 동물에 대한 공감이 컸다. 아무래도 농업종사자들이 동물과 가까이 있긴 하지만 애완용보다는 고기나, 식량등으로 수단적으로 대하는 면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동물에 대한 공감이 더 컸다. 인간은 인간과 유사할수록 동물에 대한 공감이 커졌는데 이는 인간이 외집단보다는 내집단에 더 큰 공감을 보이는 것으 생각한다면 당연해 보인다. 연령도 변인이었는데 같은 사안에 대해서 노인이나 성인보다는 어린아이에 더 큰 공감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인간의 사춘기정도에 머무른 공감능력이 미래 인공지능이나 로봇에게도 가능하고 보았다. 실제로 미국의 한 로봇업체는 4족보행 빅도그와 인간형 로봇에 대한 영상을 올렸다. 취지는 인간형 로봇과 4족보행 로봇의 기동 안정성을 광고하려는 의도였다. 문제는 그 방식이다. 빅도그의 경우 주변의 사람이 계속 발길질을 하였고 인간형 로봇의 경우 일을 수행하는 것을 계속 방해했다. 양자는 동물도 인간도 아님에도 사람들에게 큰 동정을 불러일으켰다. 어쩌면 개와, 그리고 인간의 비슷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저자는 로봇도 인공지능도 충분히 인간 공감의 동심원에 들어갈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방해요소도 있다. 불쾌의 골짜기다. 인간을 어설프게 닮으면 호감도가 올라가도 갑자기 하락하는 국면인데 이를 극복한다면 충분히 공감의 대상이 될수 있다는 것이다. 

 먼 미래에 과연 사람이 아톰같은 로봇을 공감하여 공존하는 시대를 열어갈지 아니면 차별하여 매트릭스 같은 세계를 만들어갈지 궁금한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