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러드차일드 (리커버 에디션) ㅣ 옥타비아 버틀러 리커버 컬렉션
옥타비아 버틀러 지음, 이수현 옮김 / 비채 / 2020년 7월
평점 :
품절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을 보고 이번에 나온 이 강렬한 표지의 리커버 판에 낚였다. 제목도 블러드 차일드라는게 의미심장해보였다. 하지만 킨을 본 사람이라면 그와 비슷한 무언가를 이 책에서 기대하면 좀 곤란할 것이다. 이 책은 단편집이고 거기에 SF이기 때문이다. 하긴 킨도 어찌보면 SF 같은 느낌이 좀 들었다. 소재는 인종차별이지만 70년대의 사람이 갑작스레 수백년전으로 타임워프한다는거 자체가 SF이지 않은가.
이 책엔 여러 단편집이 수록되어 있는데 번뜩이는 거도 그냥 그런것도 있었다. 우선 타이틀인 블러드차일드. 최근 본 단편집중 타이틀을 차지한 단편이 가장 맘에 드는 경우는 드물었는데 이번엔 괜찮았다. 이유는 모르지만 인간은 외계인과 공존하고 있다. 물론 가축돼지와 인간의 관계를 공존이라고 인정할수 있을 경우만 그럴 것이다. 이 외계인들은 긴 촉수를 가진 표면이 매끈한 큰 생물들이고 지성적 존재로 인간과 대화하고 교감한다. 이 녀석들은 자신들의 알을 인간에게 제공하고, 촉수의 침으로 마약같은 효과도 누리게 해주는데 다 목적이 있다. 인간은 이 외계인이 가장 적합하게 번식하는데 훌륭한 숙주기 때문이다. 녀석들의 알은 왜인지 인간을 반쯤 맛이 간 황홀경에 빠지게 하고 수명마저 놀랍게 늘려준다.
이렇게 다 좋은데 문제가 있다. 숙주가 되서 이 외계인의 새끼를 낳는 과정이 죽음에도 이를 수 있는 무척이나 위험한 과정이라는 것이다. 주인공의 아버지는 무려 이 짓을 세번이나 했다. 물론 그 덕에 평균수명의 세배를 살긴 했다. 사실 숙주로 더 적합한 것은 남성보단 여성이다. 하지만 인간이 가축에게도 그러하듯, 여성은 숙주인 인간의 새끼를 재생산해야하기에 소모되는 것은 수컷인 남성이다. 인간이 키운 가축수컷의 운명도 대개 거세후 고기가 되지 않던가. 하여튼 외계인의 촉수로 남성이 숙주가 되거 알이 깨어나 애벌레가 되어 적절한 시기가 디면 이 외계인은 남자의 배를 가른후, 피흘리는 인간의 살속에 파고든 애벌레를 하나하나 꺼낸다. 그 후 치료를 받아 인간 남자는연명하게 되는데 이 것이 제목이 블러드 차일드가 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과거 인간은 항거한듯 하기도 한데. 어찌된 일이지 외계인에게 제압당해 공존의 길을 택하게 된듯 하다. 그래서 인간 가정에 라이플 같은 무기는 금지다.
다음 재미난 이야기는 신이 나타난 이야기다. 일상생활을 하던 작가인 나아게 어느날 신이 나타난다. 그리고 나에게 과거의 선지자들처럼 막강한 전권을 주겠단다. 내가 인간의 일정부분을 원하는데로 바꿀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공멸의 길로 나아가는 인간을 구원해보라는 것이다. 어찌해야 할까? 주인공은 일단 인구증가가 위험이라는 점에서 모든 사람이 둘만 아이를 낳으면 저절러 생식기능이 사라지는 생각을 한다. 신은 바로 반박한다. 강간 당하는 사람은? 장애를 가진 아이를 낳은 사람은? 두 아이를 사고로 모두 잃은 사람은? 그리고 상식적으로 출산률이 2를 다소 넘어야 인구가 유지되는데 딱 2라면 장기적으로 인간 종은 생존이 어려운데?
주인공은 말문이 막힌다. 그외 여러 대안을 생각하는데 하나같이 어렵다. 인간종은 그만큼 복잡하고 고려해야할점이 많았다. 다른 동물이라면 이리도 어려울까나. 결국 생각해낸게 꿈이다. 꿈에서라도 행복하고 원하는 걸 하게 해준다면 실상에서의 많은 갈등과 폭력이 줄지 않을까? 하지만 그러다 꿈에서 깨어나길 원하지 않고 일상을 포기하는 사람이 속출한다면? 신은 바로 반박한다. 어렵다. 하지만 주인공은 그 방법을 택한다. 물론 결과는 나오지 않는다. 독자에게 맡긴걸까?
위 두 글은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고민을 하게 한다. 나라면 자유인으로 외계인을 거부하고 죽음을 각오하고 싸울까? 아니면 노예같지만 수십년에 한 번 오는 큰 고통을 참아내고 긴 수명과 가족의 안락함을 보장 받을까? 내게 인류를 변화시킬 전권이 주어진다면 무얼바꿀까? 일본을. 트럼프를. 일본을 바꿀까? 아니면 집안일부터 해서 문제 교회들을 바꿀까?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