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이 책에 대한 수준 높은 리뷰가 무척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한 번 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가 기회가 되어 보게 되었다. 책의 외양만 보면 도무지 과학 소설 갖진 않은데 저자는 포스텍 화학과를 나온 공대출신 작가다. 최근의 과학소설은 미래기술을 많이 다루어 좀 어려운 감도 없지 않은데 이 책에 나오는 미래과학들은 어렵지 않고 매우 쉽게 읽혀 소설로서 과학과 미래의 묘미도 살리고 드라마적 요소도 잘 살린 느낌이다. 그래서 두께가 좀 있어 보임에도 불구하고 두시간 정도면 전체를 충분히 다 볼 수 있다.

 이 책도 단편집을 모은 책인데 수록된 거의 모든 작품들이 상을 받았지만 가장 높은 상을 받은 단편이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며 그래서 이게 타이틀이다. 하지만 단편집들이 많이 그렇듯 타이틀이 가장 재밌진 않다.

 내가 가장 흥미를 느낀 단편은 '공생 가설'이다. 미래에 류드밀라란 사람이 있다. 외롭게 자랐는데 그는 언젠가부터 한 행성의 모습을 그리기 사작했다. 당연히 우주를 가본적이 없는 사람이라 상상화로 여겼는데 그의 그림은 묘하게 전 인류의 마음속 깊은 무언가를 건드리는 힘이 있어 상당히 인기가 있었다. 그는 어른이 되어서는 행성의 구체적 물리수치까지 제시하며 그림이 구체성을 띠었드며 말년엔 이별의 감정을 토로하는 색채가 강한 추상화를 남기곤 했다.

 그런데 류드밀라가 죽은 후 우주를 관측하던 천체우주선이 실제 류드밀라가 그린 행성과 물리적 수치가 일치하는 행성을 발견한다. 하지만 관측한 빛은 오래전의 빛으로 실제 류드밀라의 행성은 그 항성계의 태양풍으로 모두 타버린 후.

 그리고 인간의 뇌파와 동물의 뇌파로 언어가 아직 미숙한 존재와의 의사소통 체계를 연구하던 팀은 이상한 연구결과를 얻는다. 아직 언어전 이해가 없어 사고가 미숙해야 할 어린 아이들이 고도의 의사소통을 하고 있었던 것. 아이들의 뇌파가 말하는 언어는 고도의 윤리, 철학, 이타성에 관한 것이었고, 이런 뇌파는 이상하게도 아이들이 7세가 되는 시점에 사라진다. 그리고 7세이후로는 아이의 생각과 말, 뇌파가 일치하는 현상이 일어난 것. 모순되는 결과에 고민하던 연구팀은 류드밀라의 행성을 본 아이들이 상당한 집중력을 보였고, 엄청난 감정의 고양이 일어났음을 알아낸다. 충격적이게도 그들이 내린 결론은 인간이 태어나면 외부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뇌에 특정 생물들이 자리잡고 이 생물들이 7세이전 인류의 특성인 고도의 사회성과 윤리 및 철학체계의 기초를 뇌에 만들어놓는 다는 것. 즉, 결론은 류드밀라 행성의 멸망과 함께 지구로 오게된 미생물들이 초기 태아의 머릿속에서 문명의 기본을 만들고 7세가 되면 사람의 몸에서 사라지는 일종의 공생상태라는 것이다. 그리고 류드밀라의 경우는 특이하게도 어른이 되면서도 이 미생물들이 사라지지 않았고, 그로인해 류드밀라의 행성을 그리는 것이 가능했던 것. 이 작품은 몇몇 생물학자들은 지구 생물진화의 속도가 매우 빨라 외계도래설을 제시하곤 하는데 아무래도 여기에 영향을 받은 소설인듯하다.

 이 책에는 이 외에도 다른 재밌는 단편집들이 많은데 나 같은 경우 공생가설이 가장 인상적이었지만 전체적으로 모두 비슷한 수준의 재미와 여운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다 읽고 보니 단편소설들의 주인공이 모두 여성이었다. 처음 겪는 일인데 이것도 이 단편집의 또 하나의 매력인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