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부자들 - 민주적인 학교를 위하여
박순걸 지음 / 에듀니티 / 201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교사집단은 교육공무원으로 관료제 성격을 강하게 지닌 집단이지만 그러면서도 자율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폭넓은 자유를 누리는 이완적 집단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사집단은 두 상반된 성격중 확실히 관료제 성격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데 이는 근원적으로 자율성과 전문성보다는 중앙집권적 통제에 따를 것을 요구하는 교육부와 교육청을 통한 정부의 강력한 통제때문이고, 학교 내부적으로는 이들의 충실한 시녀인 관리자들 때문이다.

 교사집단은 다른 일반 공무원들과는 다르게 어찌보면 상당히 수평적인 집단이다. 경력이 쌓이면 꾸준히 급수가 올라가며 직위가 변하는 일반직에 비해 교감이나 교장으로 승진하는 트랙외에는 경력이 아무리 쌓여도 여전히 평교사이기 때문이다. 경력차와 호봉차는 꽤 나겠지만 30년차 교사와 처음 임용된 신규교사는 같은 평교사다. 하지만 그럼에도 교장, 교감의 지휘아래 일사불란하게 수직적으로 움직인다.

 문제는 이런 관료적이고 수직적인 성격이 민주시민을 길러내야 하는 학교 현장에 정작 민주주의가 꽃피우지 못하게 하고, 교육본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도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교감, 교장이라는 관리자들 역시 이전엔 20여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였다. 하지만 이들은 관리자가 되는 순간 놀랍게도 탈바꿈하며 교사들과의 동료성과 연계성, 수평성, 민주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 원인으로 저자는 관리자의 소통능력 상실, 공동체를 담아내는 리더십의 부재, 교육적 소신의 부재, 교장실로 중앙집권화하려는 성향을 꼽는다.

 교감, 교장이라는 관리자가 교육부와 교육청의 말에 순응하게 되는데는 또 나름의 이유가 있는데 교육청이 교감과 교장의 승진과 중임에 대한 권한을 틀어쥐고 있기 때문이다. 교감의 경우 교장승진을 위한 근무평가 성적을 교장과 교육청으로부터 받는다. 각각 50%씩 받게 된다. 이 경우 교감은 대부분 교장을 보좌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기에 만점을 받아오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사실상 변별력은 교육청이 쥐게 된다. 때문에 각 학교의 교감들은 교육청의 사업추진이나 연수, 교사동원 요구를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밖에 없고, 이는 학교 현장에 부담으로 가중된다. 교장역시 마찬가지여서 중임을 위해 교육청의 요구에 민감할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책은 학교 민주화와 교육 본연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 결국은 승진제도가 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감, 교장의 승진 및 중임에 과감히 같은 학교 교원의 점수를 반영시켜 보다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문화를 만드는 것이 방법이고, 또 다른 방법은 순환보직제다. 학교내부에서 교직원, 학부모, 학생등의 의견 수렴을 통해 교장이나 교감을 보직제처럼 선발하고, 일정 임기후 다시 교원으로 돌리는 제도다. 역시 상당한 민주성과 수평성을 담보할수 있는 방법이다. 교장공모제의 확대도 주장하는데 연구결과 일반 중임교장과 초빙교장, 내부형 교장 공모중 가장 교육만족도가 높은 형인 내부형 공모교장이라고 한다. 하지만 현재 자율학교로 지정된 학교만이 이것이 가능해 상당한 한계가 있다.

 학교본연의 목적을 살리지 못하는 이유중 또하나는 바로 교사가 교사 본연의 목적인 교육에 집중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초중등 교육법에 의하면 '교사는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교육한다.'라고 되어 있으며 학급담당교원은 학급을 운영하고 학급에 속한 학생에 대한 교육활동과 그와 관련된 상담 및 생활지도 등을 담당한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그 어디에도 학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행정업무에 대한 규정이 없는 것이다. 초중등교육법상으론 학교에서 발생하는 행정업무는 행정실에서 처리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학교의 성격상 교육과 그 외의 것이 딱 부러지게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고 이 경우 행정실과 교사간 줄다리기가 벌어지며 대개 승자는 관리자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법령에 의거하여 교육청의 질의하면 그들은 결국 애매하고 안타깝지만 각 단위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는 비겁한 답변만 내놓는다. 이런 문제에 대해서 교육당국과 청이 확실한 입장을 그어야 한다는게 저자의 주장이다. 교육청엔 교수학습지원과와 행정지원과가 있는데 교수학습지원과에서 오는 공문은 교사가 모두 처리하지만 행정지원과의 공문은 행정실에서 모두 처리하는게 아닌 교사가 처리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내용을 정리하면 학교교육 본연의 목적을 살리기 위해선 교감과 교장이 변해야 하며 자율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기에 결국 승진제도와 교직문화가 바뀌어야 하고, 교육청, 교육부단위에서 교원을 행정업무로부터 해방시켜 교원업무를 정상화해야한다는게 골자다.

 글쓴이는 경상남도의 현직교장으로 자신을 괴롭히는 관리자들에게 시달린 끝에 더 큰 선한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 승진을 결심했다고 한다. 저자는 교감이면서도 교원들이 수업에 전념할수 있도록 자신이 직접 방과후나 돌봄등 교육외적이라고 생각되는 즉, 교사의 업무가 아니라고 생각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에서 교무부장이 하고 있는 각종 행사의 진행을 본인이 담당해 교무부장 교사를 아이들에게 돌려주었으며, 내빈 접대 및 교육과정 설명도 자신이 한다고 한다.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다는데, 사실 칭찬과 격려의 대상이 되는게 마땅하다. 저자의 말처럼 언젠가 그럼 교감과 교장의 모습이 일반화되고, 지금의 비상식적 교육현장이 과거 어렵던 야만의 시대처럼 느껴질 날이 가까운 미래에 실현되기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