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그림을 보는 법 - 전통미술의 상징세계
허균 지음 / 돌베개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란한 마음에 집에 쟁여놓은 동양미술책을 주로 보는 지금 이 글의 제목이 진짜 사실은 아마도 아니겠지만 ,하나같이 흐름이 느껴지지 않다는 아쉬움이다. 총론은 없고 각론만 있는 느낌들. 내가 그런책들만 샀을수도 있지만 본 몇권의 책들에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반영되거나 시대를 선도해간 동양미술의 흐름을 좀처럼 느낄수가 없다. 그런 흐름자체가 부재한 것일까 아니면 그런책을 쓸만한 전공자나 책이 없는 것일까, 아니면 가장 가능성 높겠지만 내가 그런 책을 못본것일까. 하여튼 아쉬운 대목이다ㅏ.

 이번책도 그래서 감흥이 떨어진다. 지난번 본책 '옛 그림을 읽는 법'과 제목도 매우 유사하다. 물론 이 책이 더 먼저 나왔고 책의 내용도 좀 더 다양하다.

 이 책 역시 산수부터 다루는데 전반적으로 고미술에 드러나는 여러가지 주제를 설명하고 그림을 보여주는 형식이었다. 그래서인지 미술책을 보는 것인지 조상의 삶을 바라보는 것인지 좀 헷갈리는 부분도 있었다.   

 이 책도 산수부터 다룬다. 하여튼 우리 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임이 틀림없어 보인다. 조상들은 산수를 다루는데 경치와 흥취, 이치 세가지를 우선시했다. 경치는 글자그대로 자연을 그대로 보고 즐기는 것으로 실경산수화에 해당한다. 가장 품격이 낮다. 다음은 흥취로 산수를 보며 인간으로서 자연과의 교감을 즐기는 것이다. 다음 순위라 할수 있다. 마지막은 이치다. 산수화를 통해 자연의 이치를 느끼고자 함인데, 동북아에서 자연의 이치는 불교와 도교, 유교적 이치다. 자연을 통해 우주만물의 이치를 이해하고자 하지만 변하지 않는 이치를 깨닫기에 자연을 항시 변화한다. 실상 공즉시색이고 색즉시공이다. 있으면서도 없는 것이고, 없으면서도 있는 것인데, 이것이 동양적 자연질서의 이치다. 때문에 이치를 드러낸 산수는 우리가 잘 아는 산수화처럼 뭔가 그린듯하고 안그린듯하기도 하며 경계가 흐릿하고 여백이 무척많다. 그림자체에 이런 이치를 실현했기 때문.

 이처럼 뭔가 높은 이상을 추구하는 선비들이지만 복제를 항상 염원하는 유전자를 몸에 담고 생명체인 이상 그들도 속세의 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진 않았다. 그래서 오복이란게 있다. 오복은 다섯가지 복으로 수(장수), 부(돈과 출세), 강녕(몸과 마음이 우환없이 편한 것), 유호덕(덕을 쌓아 복을 얻는 것), 고종명(천명을 누리다 편히 죽는 것)이다. 이것이 그림에도 그래도 드러났는데 유교사회에서는 대를 잇는 것이 중요한 만큼 자손의 번창과 관련한 그림도 많다. 연꽃과 석류, 오이, 참외등이 자손의 번창을 드러내는 그림이다. 연꽃은 특이하게 꽃과 열매가 동시에 생겨나 조상과 자식이 연생하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며 석류는 임산부가 좋아하는 신맛에 많은 씨의 숫자로 인해, 그리고 오이와 참외는 유독 과일이 많이 맺히고 가지치기가 심하여 그렇단다.

 재밌게도 고양이와 나비가 함께 그려진 묘접도가 장수의 상징이다. 이는 중국어의 발음때문인데 한자는 전혀 달라도 고양이 묘의 발음이 곡례라는 책에서 80을 의미하는 모와 비슷하고, 나비 접자의 발음이 90을 의미하는 질과 발음이 유사해서도, 즉, 고양이 나비 그림이 80-90의 장수를 의미하게 되는 셈. 이처럼 책을 보면 여러가지 복과 관련한 기원은 그 동물이나 상징물 자체의 성격에서 유래한 것도 있지만 이경우처럼 그져 발음이 유사하기에 그런것도 상당하다. 장수를 상징하는 그림중 기러기와 갈대가 함께 그려진 노안도 역시 갈대 노와 기러기 안자의 발음 때문이다.

 출세관련해서는 잉어, 닭, 원숭이 그림이 있다. 잉어는 고대 전설에서 잉어들이 용이 승천하는 용문앞에 모여 다투다 가장 훌륭한 한마리 만이 승천한다는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이게 바로 등용문이란 말의 시초다. 그래서 잉어그림은 출세를 상징하며 이 전설에 의하면 떨어진 잉어들의 머리엔 검은 점의 상처가 생기는데 이게 점액이다. 그리고 점액은 알려진 것처럼 과거의 낙방을 상징하게 된다. 메기는 비늘하나 없이 매끈한 몸임에도 대나무에 오르는 재능이 있다. 그래서 고난을 극복한 출세의 상징이 된다. 쏘가리는 궁궐의 궐과 발음이 비슷해 그리되었고, 원숭이는 제후의 후와 발음이 비슷해서 역시 그리된다. 수탉과 맨드라미 그림도 있는데 수탉의 벼슬과 맨드라의의 꽃모양이 마치 관을 연상시켜 그렇게 되었다. 관이 두개 인셈이니 출세도 보통 출세가 아니다.

 왕가에선 왕이 나라를 매우 잘 다스리면 상서로운 일이 나타난다고 하여 이를 중시했는데 상서로운 일이 생김은 곳 전설의 동물이나 좋은 일이 일어남을 말한다. 뭐 용이나, 기린, 해치, 봉황 같은 것의 등장이다. 실제로 그런일은 없었겠지만 이를 중시해 궐과 왕의 주변에는 이런 그림을 형상화한 건물이나 옷투성이였다.

 용은 상서로운 동물이지만 그자체가 강한 왕권을 상징한다. 용은 발톱수가 중요한데 중국의 황제가 발톱이 다섯개인 오조룡을 사용하였으나 조선의 왕도 오조룡을 썼다. 이는 황제 뿐만 아니라 중국의 친왕들도 오조룡을 썼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어떻게든 기회와 틈바구니를 노려 황제와 같은 상징을 쓰려고 애쓴 조선의 왕들이었다. 오조룡이 그렇고, 조상에게 왕이 아닌 '조', '종'을 쓴 것과 자신을 '고'가 아닌 '짐'이라 칭한게 그러하다. 하여튼 오조룡은 왕과 왕비, 사조룡은 왕세자와 세자비, 삼조룡은 왕세손이 써서 위계를 잘 드러낸다.

 색상과 관련한 것도 재밌는데 동양에서는 오방색이 색의 전부다. 서양에서는 색이 광학적인 색 자체를 의미하고 나중에서야 의미나 상징도 중요시했지만 동양에서는 색은 광학적 의미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훨씬 강했다. 동양의 오방색은 가운데가 황색, 동쪽이 적색, 서쪽이 백색, 북쪽이 검은색, 남쪽이 청색이다. 그래서 중국의 황제는 스스로가 중심이라 생각했기에 천자의 복색으로 황색을 썼으면 조선의 왕은 동쪽의 왕이란 점에서 적색의 곤룡포를 썼다. 그리고 조선의 신하들은 아주 고관이 아닌 경우는 청색을 입어 격을 맞추었다.  오방색은 상생의 원리에 맞추어지는데 색하나하나가 자연만물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황은 대지를 청은 목을  적은 불을 백은 금, 흑은 물을 상징한다. 이들은 서로 보완관계로 오방색의 순서는 청-적-황-백-흑의 순서다. 그래서 옷이나 여러 물건의 오방색은 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실제로 색동저고리의 색띠들도 이 원리로 배열디었고, 잔치국수의 오색 고명도 그러했다고하니 무척 재밌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