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 한빛비즈 교양툰 4
장 노엘 파비아니 지음, 필리프 베르코비치 그림, 김모 옮김, 조한나 감수 / 한빛비즈 / 201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로 배우는 시리즈는 재밌으면서도 유익하다. 한권이고 만화이기에 부담없고 재밌지만 그렇다고 가볍지만은 않다. 알찬 지식거리로 충만한 편이다. 만화로 배우는 공룡과 곤충 시리즈를 보았고 이번엔 의학이었다. 다른 시리즈도 아마 많을듯 싶다. 이러다 why시리즈 처럼 되는거 아닐런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번 의학시리즈는 앞선 공룡이나 곤충편보다 재미면에서 많이 떨어졌다. 너무 많은 것을 다루려고 했던게 아닌가 싶다. 장들이 좀 많고, 불과 2-3쪽에 이런걸 모두 담으려하니 큰 줄기가 느껴지지 않고, 들어오지 않는 지식만 많았다. 아쉬웠다.

 지금 우리의 의학은 상당히 서구에 의존하고 있다. 동양의학도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효과나 신뢰도 면에서 서구의학의 보조적 역할에 머물고 있으며 실제 기능도 그정도 인지 모른다. 그렇다보니 이 책도 서구의학의 발달만을 다룬다.

 서구의 과학이 그렇게 발달한 것처럼 의학도 사람의 몸, 동물, 식물등을 연구하면서 발전해온다. 그리스 로마시대부터 의학은 발전했는데 알렉산드리아의 대 도서관이 불타고, 로마인은 의외로 의학에 큰 관심이 없었으며 이윽고 중세암흑기로 이어지며 서구의 의학발전은 정체기에 머무른다. 이때 중요한 발전을 이룬게 이슬람세력에서의 의학이다. 이때 나온 선구자들이 그리스 시대의 의학과 이집트 의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면서 그리스, 로마시대의 의학이 명맥을 유지한다.

 서구의학 발전을 가로막은 것은 모든 분야를 막론하고 종교적 터부와 보수적 생각때문이었다. 둘은 같이 결합하기도 했는데 한 학자의 이론이 종교적으로 인정받으면 이를 반박하는 것은 굳어진 신앙을 거부하는 것과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예로 갈레노스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의학이 그러했는데 이 때문에 당연하게 여겨지는 혈액의 순환론이 받아들여지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그 사이 많은 이가 화형당하기도 했다.) 종교는 환자를 희생양으로 삼기도 했다. 콜레라나 흑사병, 천연두, 나병환자들은 처음엔 종교에서 치료의 대상이었지만 차차 악마에 씌인 사람이너 저주 받은 사람, 마녀로 몰려 화형당했다. 정신병자도 대개 마찬가지.

 보수적 의사들은 새로운 생각을 가로막기도 하였는데 하비의 혈액순환론은 그래서 받아들여지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했고, 수술기구 및 손을 소독해야한다는 당연한 생각, 맨델의 유전법칙등도 마찬가지였다. 감염부분은 다소 놀라운데, 중세나 근대의 의사들은 수술기구 및 자신의 손을 전혀 닦지 않았고, 심지어 전날 시체 해부 연습을 한 손으로 다음날 아이를 받곤 했다. 그러다보니 산욕열로 사망하는 산모가 무려 40%에 달했다고 한다. 기가막히는데 한 의사는 시체를 해부하다 메스로 자신의 손을 감염시키고도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다음날 사망했다.

 이처럼 감염은 인간을 오래 괴롭혔는데 인간의 면역체계에 대해 알지 못했고, 감염이 일어나는 원인을 알지 못해서였다. 현미경의 발달과 백신의 발달, 그리고 철저한 방역과 소독은 이런 감염으로부터 인간을 상당히 해방시키게 된다. 수술장갑은 꽤 오랜 후에나 만들어졌는데 한 의사가 사랑하는 사람이 손을 독한 약물에 소독해 망가지는 것을 보고 만들어냈다.

 지금은 당연히 여기는 심장의 바이패스 수술이나 장기이식 등의 역사도 지극히 최근의 일이었다. 모두 20세기 후반에나 가능해졌으며 면역억제제를 발견하고, 심장을 잠시 멈추고도 수술이 가능한 순환기 등이 개발되고 나서였다.

 마취제의 개발도 지극히 최근의 일이다. 불과 100년 정도인데 그 이전엔 짜르고 베고, 가르는 외과수술이 모두 마취없이 이루어졌단 이야기다. 마취약은 세가지가 같이 쓰이는데 프로포폴로 수면은 유도하고 모르핀으로 통증을 완화하며, 쿠라레로 근육을 이완시킨다. 이로써 환자가 고통없이 수술을 받고 의사도 안정적으로 외과수술을 하는게 가능해졌는데 쿠라레의 경우 근육을 이완시키므로 호흡기 계통도 마비시켜, 환자가 숨을 제대로 못쉬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래서 인공호흡기의 개발이 이루어진다.

 책을 보면서 지금껏 우리가 당연히 누리는 현대의학의 발전이 얼마나 더디고 많은 희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당성과가 극히 최근에 나타났다는 점에서 놀랐다. 유전공학의 발전과 인공지능의 개발로 의학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이 책이 좀 소홀했던게 미래 의학의 방향인데, 그부분이 좀 아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1-19 21: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1-19 2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