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란 무엇인가 - 배움을 이끄는 총체적 역량의 평가
강대일.정창규 지음 / 에듀니티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수행평가란 걸 모르고 자랐다. 대학교가서 용돈 좀 벌고자 사교육 시장에 헌신 할 무렵, 가르치던 고딩들이 수행평가라며 좀 어려운 문제를 해달라고 했다. 개념이 안잡혔다. 수행평가? 숙제도 아니고 용어가 좀 고상한데? 시험만 잘보면 되지 이게 중요한건가? 수행평가란걸 전혀 모르는 나로선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이었다. 그렇다 수행평가는 때도 오래전인 1997년 7차교육과정과 더불어 도입되었다. 현장에서의 개념정립과 교육혁신 없이 좋은 평가제도가 상당히 앞서서 일방적으로 도입된 것인데 그래서인지 무려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교육현장에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일제고사가 금지되고 교사별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사별 상시 평가가 정착되었음에도 아직 현장의 많은 교사들은 수행평가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행평가란 이름으로 사실상의 지필평가를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수행평가는 기존 선다형 혹은 선택형 지필평가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학생이 수업과정에서 직접 무언가 결과물이나 행동을 보여주는 것이고 이를 평가의 잣대로 삼는 것이었다. 전통적으로 음악과나 미술과 및 체육과에서 많이 하던 실기평가가 그 한 예다. 수행평가는 당시 평가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인위적인 상황이 아니라 실제교육상황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며, 간접이 아닌 학생의 역량을 직접 평가하고,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의미했다. 매우 혁신적이었던 셈이다.

 책은 앞부분은 수행평가의 도입 의의와 배경을 설명하고 주요 특징을 서술한다. 수행평가의 특징으로 일회적 평가가 아니라 학생개개인의 발달과정을 종합적으로 하는 평가의 지속성. 결과 뿐만 아니라 과정도 중시. 방식에 따라 개인, 소집단, 대집단등 다양한 형태. 실제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의 평가. 정답을 고르기 보다는 스스로 답을 작성하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유도함. 인지, 심동, 정의적 영역의 종합적 평가. 학생의 지식, 기능, 태도를 평가할대 교사의 전문적 판단에 의존. 학생 평가의 주체가 교사에서 학생과 함께하는 쪽으로 이동해야 함을 제시한다.

 수행평가의 요건으로는 목적이 분명할 것, 수행과정을 포함할 것, 제시자료 및 조건내용이 문항에 적합한지, 최종결과의 제시, 실제 삶과 연계된 상황 제시, 학생의 흥미와 동기 유발, 간결하고 명료할 것, 실행가능성여부, 단편지식보다는 종합적인 능력 평가, 성취기준과 평가요소가 적합한 관계를 유지할 것이다.

 책의 60%정도는 이론이 아닌 저자가 학교선생님들과 현장에서 실행한 수행평가의 실제다. 초등학교인데 영어과를 제외한 모든 교과의 사례가 수록되어 있다. 완벽하진 않지만 상당히 좋은 예시들이고 루브릭을 사용한 평가기준의 상세화가 인상적이다.

 수행평가에 대해 이해를 더욱 요하고 평가에 대해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좋은 책이 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