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알라딘을 뒤적거리다가 책 제목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내가 생각하는 천문학자란 망원경 앞에서 밤을 지새우며 밤하늘을 관측하는 모습을 상상했는데 별을 보지 않는 천문학자라니.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아직 다 못 읽었지만, <코스모스>를 읽으면서 가진 천문학에 대한 호기심이 어느 정도 있을 때 이 책을 발견했고, 짤막한 내 지식에 언제나 밤하늘을 보면 별을 볼 수 있는데, 왜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을까 궁금했다. 물론, 천문학자인 저자도 별을 본다. 전체 연구 시간에 비해 많이 짧은 시간이기는 하다. 나처럼 궁금하면 책을 읽어 보기 바란다.
저자는 천문학에 대해 비교적 쉽게 설명하려고 했지만, 역시 쉽지는 않다. 잘 이해는 안 되지만, 전체적인 우주의 모습을 상상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을 때 우주에 대한 멋진 모습보다 내가 다녔던 대학교, 대학원 생활이 생각났다. 저자가 천문학을 선택하고 공부하면서 연구하는 일상에 대한 에세이 내용이 많아서 자연스럽게 비교가 되었다.
고등학교 때 무엇을 할지 고민을 한 후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있을까? 만약, 있다면 찬사를 보내고 싶다.
나는 고등학교 때 무엇을 할지 잘 몰랐고, 그리 나쁘지 않은 성적에 이과를 선택하다 보니 공학을 선택했다. 공학 중에서 전자공학이 취직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기계공학, 금속공학, 토목공학, 건설공학 같은 것보다 왠지 전자공학이 멋있어 보였다. 그래서, 정말 아무 생각 없이 전자공학을 선택했다. 대학교 때는 공부보다는 이성 교제에 더 신경을 많이 썼던 거 같고, 진지한 학문에 대한 접근을 해본 적이 없었다. 단지 어느 정도 학점을 관리해야 취직할 수 있다는 말에 시험 기간에만 열심히 한 기억이 난다.
모르는 것을 알아가는 여정에 대한 기쁨도 없었다. 그냥 흘러가는 대로 학점을 위해 대학교를 다녔다. 책도 별로 안 읽었다. 원서는 멋있으니 들고 다녔고, 금요일 밤부터 주말까지 무엇을 하며 놀까를 생각했다. 교양 과목을 열심히 듣고, 기초적인 공부를 하면서 내가 관심 있어 하는 길을 찾았어야 했다. 전자공학이라는 학문에 별로 재미를 못 느꼈던 거 같다.
그리고, 아무 생각 없이 대학원도 전자공학 분야 중 하나인 통신 쪽으로 선택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대우전자 등 잘 나가는 회사에서 앞으로 통신 분야를 중요시 할 것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경제에 관심도 없었으니 그저 누군가 말하니 그냥 따라가는 수준이었다. 내가 전화기에 대고 말을 하면 상대방이 말을 듣는 것이 신기하고, 그 원리가 궁금했을 법도 한데, 관심이 없었다. 대학교도 그렇게 보냈으니 대학원이라고 갑자기 달라지겠는가.
오로지 내가 선택한 길이었으니 누굴 탓할 생각은 없다. 다만, 후회가 많이 될 뿐이다.
대학이 고등학교의 연장선이나 취업 준비소가 아닐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대학이 학문하는 곳이었으면 좋겠다. 공부라는 걸 조금 더 깊이 해보고 싶은 사람, 배움의 기쁨과 앎의 괴로움을 젊음의 한 조각과 기꺼이 맞바꿀 의향이 있는 사람만이 대학에서 그런 시간을 보내며 시간과 비용을 치러야 한다. 그러러면 고등학교만 졸업해도 사회적으로 존중받고 경제적 부를 축적하며 살아갈 수 있는 사회여야 한다. 모두가 대학에 다니는 바람에 '반값 등록금'이니 '국가장학금'이니가 국가적 관심사인 사회에서는 택도 없는 일이다. (P.56)
저자는 대학생부터 대학원을 출입했다고 한다. 선배들과 지도 교수에 가깝게 지내며 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렇다고, 어렸을 때부터 천문학을 전공하자는 뚜렷한 목적은 없었다고 한다. 단지 뉴턴이라는 잡지에서 별 사진을 보고, 전공을 선택했다고 한다. 물론, 나도 뉴턴을 보았다. 공학도이니 왠지 봐야 할거 같았다. 하지만, 곧 흥미를 잃었다.
대학으로 다시 돌아간다면, 책도 많이 읽고, 관심 있는 분야의 교양 과목도 들으면서 많은 고민을 해보고 싶다. 직접 체험도 해보고, 많은 곳을 돌아다녀도 보고, 도서관에서 과제도 열심히 해보고 싶다. 하지만, 그 시절은 다시 오지 않는다.
어떤 사람의 직업은 정해진 '시간'을 성실히 채우는 일이고, 또다른 사람의 직업은 어떤 '분량'을 정해진 만큼 혹은 그에 넘치게 해내는 것이라면, 나의 직업은 어떤 주제에 골몰하는 일이다. 하나를 들여다봐도 이건 왜 그런지, 저건 왜 그런지 생각이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러면 하나씩 일일이 검색해보고 찾아서 읽어본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해보고, 그래프도 여러 가지 형태로 그려본다. 그러다보니 한 단계 전진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주 즐거운 시간이다. 그리고 그 즐거운 지루함이 자연의 한 조각을 발견하는 것으로 이어진다면 금상첨화다. (P.79)
회사에서 정말 일 다운 일을 하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회사에서 문제를 푸는 사람보다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끊임없이 전달된다. 그러면, 이렇게 전달된 문제들을 푸는 시간보다 어떻게 문제를 풀었는지 보고하는 시간이 더 많다. 실장급 이상은 같이 보고를 잘 듣지 않는다. 사장까지 올라가기 위해 몇 번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보고를 할 때마다 뭔가를 수정해야 한다.
그리고, 뭔 교육이 이렇게 많은지. 환경 안전, 청탁 금지, 부정 거래 방지 등도 들어야 한다.
정기적인 주간 회의도 몇 건이나 된다. 사장이 한 마디 지적을 하면, 갑자기 수 많은 사람들이 연락을 하고, 대화방이 만들어지고, 해결될 때까지 매주 진행 사항만 체크하는 담당자가 생긴다.
이런 일들이 반복될 때마다 힘이 빠지는데, 아래 글을 읽으면서 다른 사람들도 다 이렇게 사는구나라고 생각하며 용기를 얻었다.
그리고 핑계를 대자면 우선 처리해야 할 다른 일이 많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내 월급과 연구비를 감당해 주는 연구 과제의 양식과 규정에 어긋나지 않도록 주의하는 일이다. 연구비 카드로 구입한 물건의 영수증을 제출한다든지, 예산이나 참여 연구원의 변동 내역을 입력한다든지, 회의록이나 출장 보고서를 작성한다든지 하는 일은 사소하지만 제때 해치워야만 하는 일이다.
또 다른 중요한 일은 교육이다. 내가 가르치는 게 아니라 내가 가르침을 받는 것이다. 연구 윤리니 직장 내 성희롱이니 보안이니 실험실 안전이니 하는 다양한 주제의 교육이 꼬리에 꼬를 물고 찾아온다. 직장 다니고 월급 받는 것은 얼마나 큰 축복인가 생각하며 묵묵히 교육에 참석한다. (P.75)
천문학자의 삶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가정생활과 연구 생활을 병행해야 하고, 생계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 과제를 얻어야 한다. 그 와중에도 별에 대한 순수함을 가지려고 노력하는 모습은 보기 좋았다. 어찌 되었던 자신이 직접 선택한 길을 꾸준히 나아간다. 응원을 보낸다.
나도 짧은 대학원 때 연구 과제에 참여한 적이 있었지만, 내가 연구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없었다. 많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을까? 아, 그전에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지?
2021.06.22 Ex. Libris. HJK
오랜 친구 중에 화가가 된 이가 있다. - P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