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아들이 요리학원에서 배운 솜씨를 발휘했다. 토요일 저녁엔 돼지갈비찜을 했고 일요일 점심에는 비빔밥을 했다. 아들 혼자 주방에 세워두기가 그래서 아들과 나란히 서서 재료를 다듬어 씻고, 식탁에 마주 앉아 갈비찜에 들어갈 감자와 당근을 밤톨깎기하고, 아들이 "엄마, 마늘~"하고 찾으면 "예, 쉐프!"하며 냉동실 안에 얼려놓은 다진 마늘을 척 꺼내주는 식의 쉐프놀이도 했다.
아들이 비뚤비뚤 깨알같은 글씨로 적어온 레서피 공책을 들여다보며 들어간 양념이 맞는지, 다음 순서는 뭔지 체크하고 물어보고, 아들은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고, 학원에선 어떻게 했고, 하면서 열심히 설명을 했다.
아들은 소금을 뿌려놓아야 할 청포묵에 간장을 붓는 실수를 하고 나는 두 번에 나누어 써야 한다는 갈비양념소스를 한 번에 확 끼얹는 대범한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지만 요리하는 아들 덕분에 늘 나홀로 쓸쓸하게 머무는 공간이었던 주방이 시끌시끌했다.
겨울 우리집 주방은 춥다. 뒷베란다로 통하는 문에서 솔솔 찬바람이 들어오고 창문 밖으로는 이파리가 다 떨어진 담쟁이 덩굴이 스산하다. 하지만 그 날 만큼은 훈훈했다. 거의 나 혼자서 일하는 공간인 주방. 거실에서 TV를 보며 즐겁게 웃는 가족들에게서 나를 소외시키던 공간이었고, 신혼 초 시댁에 살 때는 설거지를 하다가 갑자기 서러운 생각에 투둑, 눈물을 떨구던 곳이기도 했다. 아파서 이가 딱딱 부딪칠 정도로 고열에 시달리면서도 아이들 밥을 먹여 학교에 보내야 한다는 일념으로 후들거리는 다리를 하고 아침을 차리던 날의 엄마의 사명이 굳은살처럼 박힌 자리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날 나는 아들이 해준 갈비찜과 비빔밥보다 훈훈한 주방의 느낌이 더 좋았다. 평소에는 단답형 대답을 하던 아들과의 긴 대화, 웃음소리, 식용유를 두른 후라이팬에서 들려오는 야채 볶아지는 소리, 냄비에서 피어오르는 하얗고 따뜻한 김, 입맛을 돋구는 음식냄새, 고기를 다지고 채소를 써는 소리. 주방이 따뜻한 공간이 되려면 함께 재료를 다듬고 수다를 떨어줄 누군가가 있어야 하나보다. 영화 '카모메 식당'도 주인공 사치에 혼자라면 따뜻한 공간이 될 수 없었을 거다.
주방엔 2인 이상 입장가능, 나홀로 입장 금지 같은 규칙이라도 세웠으면 좋겠다. 특히 주말에 주방에 여자 혼자 일하라고 내버려두고 거실에서 나머지 가족들끼리 TV보면서 재밌어하며 웃는 것도 3회이상 적발될 경우 1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건 어떨까? 내가 이런 궁리를 하는 걸 우리 가족이 알면 도끼눈을 하겠지. 아들이 강요남(강남에서 요리배우는 남자/요즘 아들을 이렇게 불러주곤 한다)이 되어서 가끔 지난 주말같은 호사를 누리는 것에 만족해야지, 그래야지, 그래야겠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699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699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700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700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700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702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3554417361702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