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픽션들 ㅣ 보르헤스 전집 2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 민음사 / 1994년 9월
평점 :
보르헤스를 읽으면서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은 당혹감이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나는 그의 작품 속으로 뛰어들지 못하고 늘 강연록이나 평전, 에세이 등 그의 주변을 맴돌아야 했다. 대체 이런 당혹감은 어디에서 연유하는가. 어쩌면 나의 이런 당혹감은 일반적 소설, 그러니까 문학은 세계의 반영이라는 논리에 충실한 작품들에 너무 길들여졌기 때문은 아닐까. 이 말은 예술에 대한 감각이 개방적이지 않다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달리 말하면 코드에 익숙해져 있다는 말이기도 하고 또 달리 말하면 완고하다는 말이기도 하고 또 달리 말하면 고지식하다는 말이기도 하고 또 달리 말하면 진부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음... 끝이 없군. 그렇다면 일반적 소설 읽기의 방식을 깨트려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새해 첫 책으로 망구엘의 보르헤스에 관한 책을 만났다. 유감스럽게도『보르헤스에게 가는 길』은 내게 보르헤스에게로 가는 길을 안내하지 않았다. 『보르헤스, 문학을 말하다』에서 한 걸음도 더 나아가지는 못한 채로 『픽션들』을 읽었다. 여전히 당혹스러웠다. 이곳에 실려 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글에 대한 글(text에 대한 text)’로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존재하는 것들과 뒤섞어 놓았다. 나는 그의 작품에 대해 놀랄 능력이 없어서 인지 그의 독서량이나 저주받은 기억력이 더 놀라웠다. 또 도무지 언표가 불가능할 것만 같은 세계를 언표화 하는 것에 놀라자빠지지 않은 것이 다행이다. 언제나 감탄과 놀람만이 내 몫일 뿐 창작의 능력에 있어서는 빈곤하기 그지없는 나 같은 사람에겐 너무나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어쨌거나 능력 있는 보르헤스에게 있어서 문학은 ‘언어의 직조물’이며, ‘세계의 반영’이 아니라 ‘세계 옆에 놓이는 또 하나의 세계’다. 이런 보르헤스 소설의 키워드를 골라낸다면 백과사전, 시간, 세계, 분신, 지식, 미로 등이 될 것이다.
보르헤스는 가장 좋아하는 문학 장르가 백과사전이라고 말했다. 장님이 되어버린 그가 만약 다시 시력을 회복한다면 집에서 나가지도 않고 글을 한 줄도 쓰지 않게 되더라도 백과사전을 읽으면서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했다. 이참에 나도 백과사전과 좀 친해져 보도록 해야겠다고 다짐해본다.
이 세상을 하나의 미로로 보고 있는 보르헤스는 미로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그의 미로는 시간이 복수적으로 공존하는 곳이다. <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은 보르헤스의 이런 생각이 전형적으로 드러나 있다. 추리소설의 형식을 빌린 이 소설에는 두 개의 시간이 그려진다. 현실화된, 경험적 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 기계적 시간이 그 하나이고, 시작과 끝이 없는 불멸의 시간 즉 미로의 시간이 다른 하나다. 이탈로 칼비노에 의하면 ‘절대적으로 주관적인 현재’와 ‘한 사람의 의지에 의하여 이미 결정된 시간’이다. 이 소설 속에서 시간은 복수로 갈라진다. 주인공은 매 순간 선택을 해야 하는데 그의 앞에 놓여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을 함으로써 시간이 계속해서 두 개로 갈라진다. 이것은 물리학자들이 말하는 무한한 우주의 개념과 같다.
시간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에 불멸과 영원이 있다. 보르헤스의 또 다른 관심사이기도 한 불멸이나 영원은 생명을 가진 개체의 차원에서는 존재 할 수 없다. 불멸은 죽음을 다른 방식으로 사유하는 데에서만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런 문장이다. 보르헤스는 갔지만 여전히 보르헤스는 우리 곁에 있다. 한참 적다보니 보르헤스가 흘려놓은 머리카락 한 올을 주운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다. 올해는 보르헤스에게 한 발짝 쯤 성큼 다가갈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