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쾌한 유랑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89
이재무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3월
평점 :
시인에게는 그만이 쓸 수 있는 시가 있는 듯하다. 랜드 마크처럼 시인을 대표하는 시가 시인마다 있다. 정지용 하면 ‘향수’가 떠오르고, 김소월의 이름은 자동적으로 ‘진달래꽃’을 불러오고 서정주 하면 ‘애비는 종이었다’는 첫 구절이 저절로 시작되면서 ‘자화상’이라는 제목이 떠오른다. 그런데 이 시인은 이상하다. 이재무 하고 부르면 나는 가장 먼저 ‘밥’ 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위대한 식사’라는 시 때문일까? 얼마 전 펴낸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밥』이라는 산문집 제목 때문일까?
위대한 식사
산그늘 두꺼워지고 흙 묻은 연장들
허청에 함부로 널부러지고
마당가 매캐한 모깃불 피어오르는
다 늦은 저녁 멍석 위 둥근 밥상
식구들 말없는, 분주한 수저질
뜨거운 우렁 된장 속으로 겁 없이
뛰어드는 밤새 울음,
물김치 속으로 비계처럼 둥둥
별 몇 점 떠 있는 냉수 사발 속으로
아, 새카맣게 몰려 오늘 풀벌레 울음
베어 문 풋고추의 독한,
까닭모를 설움으로
능선처럼 불룩해진 배
트림 몇 번으로 꺼뜨리며 사립 나서면
태지봉 옆구리를 헉헉,
숨이 가쁜 듯 비틀대는
농주에 취한 달의 거친 숨소리
아, 그 날의 위대했던 반찬들이여
시골의 저녁식사 풍경이다. 매캐한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깃불을 곁에 두고 멍석 위의 두리반에 모여 앉은 가족들. 반찬은 우렁된장찌게, 풋고추, 물김치가 전부다. 기름기 없는 찬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트림 몇 번으로 꺼지는 것으로 보아 밥은 보리밥이었을 게다. 물김치는 열무김치가 어울리겠다. 냇가에서 하루 종일 물장난 치며 놀다 잡아온 우렁으로 막 된장찌개를 끓여낸 것인지도 모르겠다. 시장이 반찬이라 모두들 말없는 가운데 수저질만 분주하다. 고기냄새는 명절 때나 간신히 맡을 수 있을 뿐 푸성귀뿐인 풍경을 그려내며 시인은 ‘위대한 식사’라 부르고 있다. 입으로 들어가는 모든 음식에 온 가족의 노동이 들어가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일까? 사발의 이가 빠지듯 그 때의 가족들이 듬성듬성 사라진 지금 온가족이 모여 앉은 가족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까? 물김치에 뜨는 별, 풀벌레 울음소리가 맛을 더해주던 그 정경 때문일까? 지금은 도무지 찾아보기 힘든 풍경이기 때문일까? 허청, 모깃불, 멍석, 사립 같은 어휘들이 잘 버무려져 투박한 듯 하면서도 정겹고, 사람냄새 가족냄새가 나는 시다. 그의 시어들은 도회적이고 세련된 시어들보다 이렇게 사투리와 투박한 단어들이 많다. 그리고 그것들이 시에서 힘을 얻는다.
장갑들
벙어리장갑으로 하늘의 눈 자주 불러 내렸지
하루가 노루 꼬리만큼 짧았지
털장갑 때문에 외출할 일 많았지
읍내 빵집과 만두집이 깻잎 머리와 상고머리로 붐볐지
가죽장갑만 끼면 까닭 없이 배짱 두둑해져
차부 앞이나 극장 뒷골목 단물 빠진 껌 질겅질겅 씹다가
잇새로 찍, 침 뱉고 휘파람 불어대며 뜨거운 피 식히곤 했지
오늘은 빨간색 페인트로 코팅된 목장갑 끼고
입술 담배 연기 내뿜으며 일터에 가고 있지
콜타르처럼 끈적끈적, 목에 잠긴 가래 긁어 뱉으며
가죽장갑하나로도 세상을 다 얻은 듯 우쭐대는 시인의 모습이 그려진다. ‘차부 앞이나 극장 뒷골목 단물 빠진 껌 질겅질겅 씹다가/잇새로 찍, 침 뱉고 휘파람 불어대’는 시인의 모습을 떠올리면 시인과 기가 막히게 어울린다는 느낌이 든다. 어떤 영화배우도 흉내 내지 못할 것 같다. 배우에게 그것은 연기이지만 시인에겐 생활이기 때문이다. 이상하게 이 시인의 시를 읽고 있으면 땡깡을 부리거나 깡짜를 놓거나 어깃장을 놓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런데 야단치거나 때려주거나 하지 못하고 왠지 다 받아주어야만 할 것 같다.
술이나 빚어볼거나
올가을엔 만사 제치고
내 고향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가서
철없던 유년 소풍 갔다가 보물찾기로 받은
호루라기 종일 불다가 잃은 뒤로
빛과 색 더욱 무성해진 풀밭에 빈 항아리로 누워
산그늘 덮고 한 달포 자다 깨다 하면서
저 잘난 세월에 농이나 걸까
그러다 여우비 내리걸랑 고스란히 아껴두었다
한량 같은 구름 몇 살 오른 별 몇
동동, 동치미처럼 띄워놓고
산달 앞둔 여자 둥근 배 같은 달도 푹 담가 띄우고
떼로 몰려오는 풀벌레 울음 삼태기로 쓸어 담아
꾹꾹 눌러 쟁이고
오명가명 수박씨인 양 툭툭,
내뱉는 누룩 내 나는 사투리도 몇
함께 절여서 도수 높은 술이나 빚어볼거나
명리에 밝은 샌님들 불러들여
인사불성 될 때까지 대작할거나
남자라면 누구나 한번쯤 가져볼만한 생각이 아닐까 싶다. 김사인의 시 <부뚜막에 쪼그려 수제비 뜨는 나어린 처녀의 외간남자가 되어>는 그 질탕함에서 이보다는 한 수 위다. 김사인의 시 앞에서는 속수무책이다. 나도 그 앞에 퍼질러 앉아 울고 싶은 심정이 된다. 그러나 이재무의 시는 잘 다독거려 달래면 곧 착한 사내로 다시 돌아올 것 같다. 그래서인지 미워 할 수가 없다. 이렇게 가끔 땡깡을 부리던 시인이 정색하고 이런 시도 쓴다.
펜에 대하여
마른 땅 파 들어가는 삽이여,
묵은 논 갈아엎는 쟁기여,
고랑 타고 앉아 풀매는 호미여,
돌멩이에 날(刀) 찍혀 우는 쇠스랑이여,
이마에 한 톨 두 톨 돋는 땀이여,
경작의 노고보다 헐한 소출이여,
시력 30년이다. 30년 동안 시집, 수필집, 시평집, 공저 등을 모두 합쳐 15권 남짓이다. 쉬지 않고 시를 써온 세월과 노고에 비하면 결코 넉넉한 작황이라 할 수 없다. 그의 말대로 ‘경작의 노고보다’ 턱도 없이 헐한 소출이다. 그러나 어쩌겠는가, 땅을 일구지 않고 언어의 밭을 가꾸었으니.
불의 지청구
배화교도 되어 타오르는 불 숭배한 적 있다
주황빛 속에 청색의 손 적시며 축축한 생각
꼬들꼬들 말리다 보면 영혼의 동굴 안쪽에까지
비단실 같은 빛 새어 들어오곤 하였다
온갖 잡념의 비린 생선 던질 때마다
불은 고양이의 혀 되어 날름 삼키곤 했다
생의 궁극은 완전한 소진에 있는 것
화구 앞에서 생의 완주에 대해 생각했다
그러나 나는 씨름 기술이 부족한 사람
번번이 샅바 놓쳐 허둥지둥 나가떨어지기 일쑤였지만
아직 시간의 끈 놓아서는 안 된다
타다 만 흔적처럼 추한 것 어디 있으랴
불 속에 덜 마른 아집의 생목 한 짐 던져 넣으니
검붉은 손톱 불쑥 나타나 눈 찌르고 얼굴 할퀸다
불의 지청구 달게 받은 뒤
자세를 고쳐 앉아 젖은 신발 벗어 말린다
아무리 소출이 적어도 또 돈이 되지 않아도 그만 둘 수 없다. 어차피 시인은 경작의 기술도, 씨름 기술도 없다. ‘시간의 끈’ 놓을 수 없다. ‘타다 만 흔적’보다 추한 것 없으니 ‘불의 지청구’들으면서 신발 말리는 동안 잠시 쉬어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