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붉은 돼지가 어젯밤에 꾼 꿈이야기다. 꿈이라서 앞 뒤 맥락이 없다. 나는 그녀와 어딘가에 서 있었는데, 사람들이 많은 장소였고 길게 줄을 서서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 같다. 나는 그녀의 손을 잡고 있었다. 그녀는 내가 오래 전부터 알고 있던 여자였지만 손을 잡아보는 것은 처음이었다. 그녀는 처음에는 손을 뺄 듯 약간 꼼지락 거렸지만 이내 가만히 있었다. 나는 가슴이 설레었고 기분이 좋았다. 그렇게 또 둘이 어디론가 걸어가다가 잠에서 깻다. 그녀는 아내는 아니었다.
잠에서 깨어나서 늘 하듯이 – 소생이 몸 운동은 거의 안하지만 장 운동은 활발한지 매일 아침 용무를 잘 보고 있다. - 화장실에 앉아 으라차차차 밀어내기 한판을 할려고 하는데, 손 끝이 아리싸리한 것이 손 끝에 그녀의 감촉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 아닌가. 가슴 한 구석에도 그 약간은 설레이고 고양된 느낌이 아리싸리하게 남아 있었다. 꿈을 꿀 때는 그녀가 누군지 분명히 알고 있었는데 꿈에서 깨고 나니 누군지 도무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가슴 속에 그리고 손 끝에 남아있는 그 아리싸리한 느낌이 좋아서 밀어내기 한판은 잠시 중단하고 변기통 위에 한동안 가만히 앉아 있었다. 덕분에 사무실에 10분 지각했다.
이건 뭐 불륜도 아니고 외도도 아니지만, 아내가 이 글을 읽으면 기분이 좋지는 않을 것이다. 어쩌면 쿨하게 이럴지도 모른다. “쓸데없는 짓도 참... 여러 가지 가지가지 하고 있네...흥흥흥” 또 누군가가 그건 돼지 니 놈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잠재되어 있던 무의식의 발현이라고 한다면 백보 양보해서 그럴 수도 있겠으나, 일찌기 예수도 설파하지 않았던가. “누구든지 마음으로 간음하지 않은 자가 있다면 이 여인을 돌로 쳐라.” 그 여인을 돌로 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유일한 자였던, 마음으로도 간음하지 않았던 유일한 자 예수도 그녀를 돌로 치지 않았다. 그녀는 용서받았다.
생각해 보면 어젯밤 꿈은 달달했고 짧고 허무했다. 아쉬웠지만(무엇이???? 몰라...) 진짜로 그냥 손만 잡았을 뿐이다. 이렇게 말하니 무슨 드라마에 단골로 등장하는 대사 같다. 꿈이란 그런 것이다. 어쩌면 인생이란 것도 한가지인지 모른다. 헛되고 헛되니 우리가 해아래에서 하는 이 모든 수고가 과연 누구에게 이롭단 말인가.
옛날에 누구는 낮술을 마시고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다. 자신이 일국의 부마가 되고 재상이 되어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외적과의 전쟁에서 패하고 아내인 공주도 죽게되자 상심하여 낙향하게 되느데, 이때에 이르러 문득 깨어나니 어느 나무 남쪽가지 아래였다. 나무의 뿌리 부분을 가만히 살펴보니 거대한 개미집이 있었다. 결국 그 개미집이 꿈속의 그 나라였다는 말이다. 소생이 즐겨 읊조리는 정비석의 산정무한의 한 구절 " 천년사직이 남가일몽 이었고 태자 가신지 또 다시 천년이 흘렀으니 유구한 영겁으로 보면 천년도 수유던가" 에 나오는 그 '남가일몽'이다.
옛날 옛적 어느 절에 조신이라는 스님이 있었는데, 불공을 드리러 온 태수의 딸과 사랑에 빠져(이런 땡중이 있나!!!) 두 사람은 사랑의 도피행각을 벌이고 수십년을 함께 살았다. 하지만 살림이 어려워져 자식이 굶어 죽을 지경에 이르렀다. 어쩔 수 없이 명을 부지하기 위해 두 사람은 생이별을 하게되는데...문득 깨어보니 꿈이었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조신의 꿈이다. 이광수가 이를 각색해 소설 <꿈>을 썼고 배창호는 영화 <꿈>을 만들었다. 안성기가 조신으로 황신혜가 태수의 딸로 등장했다. 일전에 배창호가 지하철 선로로 뛰어들었다가 구조되었는데 자살하려고 한 것이다. 아니다 실족이다. 말이 많았다.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지세이가 생각난다. “몸이여 이슬로 와서 이슬로 가나니 오사카의 영화여 꿈속의 꿈이로다.” 토요토미 쯤이나 되는 사람에게도 인생이 꿈이라고 한다면 소생같은 필부에게 이르면 인생이란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