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을 위한 시간 - 유럽 수도원 기행 봄날의책 세계산문선
패트릭 리 퍼머 지음, 신해경 옮김 / 봄날의책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누구나 한번쯤은 이런 생각을 해 볼 것이다. 인생이라는 것이 허무하고 딱 꼬집어 말할 수는 없지만 무엇인가 이건 아닌데 하는 뜬구름잡는 생각이 들고 할 때, 세속의 소유와 애정과 미련과 욕망을 모두 버리고 세상을 등지고 출가하여 구도의 길에 나서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 말이다. 아닌가? 어쨌든 그렇다고 치고. 그런데, 석가탄신일 같은 날 TV를 보면 스님들의 생활을 보여주는데, 이게 한 겨울에도 캄캄한 새벽에 기상하여 찬물에 세수한 후 기도하고 식사라는 것도 고기는 일절 없고 온통 나물 천지고......보고 있자면 아... 탄식이 절로 나오는 것이 소생같이 아침잠 많고 식탐있는 인생은 구도와는 정녕 거리가 멀구나.. 그냥 이렇게 아무 생각없이 사는 대로 살아가는 수 밖에 도리가 없구나 하는 생각을 쓸쓸하게 하게 된다.

 

<침묵을 위한 시간>을 보니 수도원 수사들의 생활은 더하다. 수도회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불교에도 조계종, 천태종 등등 여러 종파가 있듯이), 고독과 침묵 속에서 기도하고 하느님에게 자신을 온전히 봉헌하는 수도회는 <관상수도회>라고 하고, 세상으로 나아가 사도의 직분을 수행하는 수도회를 <활동수도회>라고 한다. 관상수도회에는 가르멜회, 트라피스트회(엄률 수도회) 등이 있다.

 

그중 트라피스트회 수사의 수도 생활을 소개해 본다. 수도자의 기상시간은 새벽 1시 아니면 2시다. 침묵의 명상을 하는데 하루 7시간을 쓴다. 남은 시간은 가장 원시적이고 힘겨운 형태의 들일을 하고, 순교자 열전을 읽으며 보낸다. 여름에는 저녁 8시 겨울에는 7시에 잠자리에 든다. 공동숙소의 맨 판자바닥에 짚을 채운 요를 깔고 잠을 잔다. 난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계절에 상관없이 늘 똑같은 무거운 옷을 입는다. 식단의 거의 근채류로 이뤄진다. 고기와 달걀, 생선은 금지다. 게다가 일년의 육개월은 엄격한 단식 규칙이 적용된다. 매주 금요일에는 <시편> 제51 편을 두 번 노래할 정도의 짧지만은 않은 시간동안 아홉 갈래 채찍으로 자신의 맨 어깨를 채찍질 한다. 실질적인 고행이라기 보다는 상징적 의미가 강한 의식이라고 한다. 침묵의 규칙은 절대적이어서 독특한 수화가 자연 발생적으로 생겨났다고 한다......음, 이건 인간의 삶이 아니다. 소명을 받은 사람이라도 견뎌내기 어려운 삶이다.

 

여기에 하나 더 있다. 수도자의 3대 서원은 청빈, 정결, 순명이다. 이 중 “정결”의 서원이 평생에 걸쳐 가장 혹독한 서원일 것이라는 작자의 의견에는 소생도 동의하는 바다. 김성동의 소설 만다라에도 욕정을 참지 못한 수도자 성기절단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강구하고 있고 실제로 18세기 제정러시아에는 모든 죄악의 근원이 성욕에 있다고 판단하여 성기를 절단한 ‘거세교도’도 있었다. 프란체스코회를 창건한 성 프란체스코도 한 때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성욕을 참지못해 가시 장미밭에 발가벗은 몸을 던져 온 몸이 피투성이가 되었다고 한다. 하느님이 차마 보지 못하여 장미의 가시를 모두 없애버렸다는 전설이 있다. 프란체스코의 고향인 아시시에 가면 가시없는 장미를 볼 수 직접 볼 수 있다.

 

생각해보면 성기는 욕망을 실현하는 도구일 뿐이고 욕망은 우리 마음속에 웅크리고 있는 형체없는 생각일진대 도구를 제거한다고 해서 그 생각이 홀연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유용한 도구를 제거하게 되면 욕망을 실현할 방법이 현격하게 제한되니 아무래도 도움이 되기는 될것이고 또 스스로에게 단호한 의지를 표명하여 경계하고 조심하는 마음을 더욱 굳히는 계기는 될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그 수고가 애닯고 애처롭다. 역시 구도의 길은 소명을 받은 수도자들의 몫이고 소생같은 필부에게는 토끼같은 자식새끼 끌어안고 여우같은 마누라 궁데이나 두드리면서 지지고 볶고 튀기고 끓이며 사는 삶이 적당할 것이다. 살다가 틈나면 가끔 이런 책도 읽어보고 또 그런대로 살만하면 오래된 수도원이나 절간을 둘러보면서 한숨 돌리고 그래저래 바람따라 흘러가는 구름처럼 그렇게 사는 수 밖에 별 도리가 없겠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night 2015-02-22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예전에 수녀, 또는 여승(전혀 종교적이지 않음-_-)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던 적 있었지요. 알아보니, 그냥 공부나 명상을 하는 게 아니라 육체적으로 무척 힘든 노동을 해야 하더군요. 바로 포기했네요-_-; 붉은돼지님처럼 자신의 생에 매진하여 충실히 사는 것이 바로 구도자의 삶이라고 누가 그랬더라. 리처드 기어였던가^^; 하여간 그러더라구요. 저도 제 삶을 열심히 살아야겠다 생각합니다. 열심히 일하고 즐겁게 술마시고 최선을 다해 가족을 부양하고 틈틈히 책을 읽고요. ^^

붉은돼지 2015-02-22 1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구나 한번쯤은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 같아요.^^ 문나이트님 말씀대로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최선을 다해 열심히 살아가는 게 결국은 답인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즐거운 마음으로 말이죠...잘은 모르겠지만 ㅎㅎ

transient-guest 2015-02-22 1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전통있는 고행을 어떻게 보면 수행에 집중하기 위한 방법이 그대로 행위만 남은 것처럼 보일때가 있어요. 사실 도판에서 수행은 별 것이 아니라고 하잖아요. 사람답게 잘 사는게 수행이죠. 굳이 갇혀서 지내야할 필요까지는 모르겠습니다. 집중할 수 있고, 삶 자체는 간소하게 꾸려나가는 것은 좋은 점이 있기는 하겠지만요.

붉은돼지 2015-02-22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은 모르겠지만 어떤 정신적 고양이나 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신체적인 수행이 따라줘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은 들어요...

처음처럼 2015-02-22 23: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를 구하는 일은 역시 아무나 하는 일이 아닐 것 같습니다.

붉은돼지 2015-02-23 13:17   좋아요 0 | URL
맞아요...역시나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ㅎㅎ

yamoo 2015-02-23 1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문나이트님처럼 생각하던 때가 있었습니다..그땐 나이가 걸려서 바로 포기...ㅎㅎ
마지막단락의 붉은돼지님 생각이 무척 인상깊습니다. 잘 보고 갑니다~^^

붉은돼지 2015-02-23 13:19   좋아요 0 | URL
누구나 한번쯤은 그런 생각을 해 보는 것 같아요...
명상과 기도를 통한 어떤 정신적인 성취.. 우화등선하는 ㅋㅋ

한때는 국선도에도 다니고 했는데 3개월정도...역시 게으른 족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듯 ㅎㅎ

2015-03-05 0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3-05 13: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3-05 15: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3-06 1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