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화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일제의 식민통치에 분노한다. 하지만 임진왜란에 대해서는 그다지 잘 인식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저 논개나 이순신에 대한 일화 정도만 들어봤을 뿐.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끌려간 조선인들의 처참한 삶을 그려낸 이 이야기가 절절하게 와닿는다. 대학 때 전공과목 중 하나인 한일교류사 강의속으로 들어가는 것 같다. 작가의 역사강의를 집중해 듣게 된다.

 

이 책은 임진왜란때 왜놈들에게 철저히 유린당하고도 일본까지 가서 살아남은 여자의 지독하고 끔찍한 아픔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유이화는 우리모두의 모습이다. 누구라도 그때의 유이화였다면 그 삶 말고 다른 삶을 살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그 남편 철영처럼 철없이 대의명분에 따라 살지는 않을 것이다. 작가는 그를 통해 조선양반들의 허상을 비꼰다.

 

작가가 역사공부에 공들인 것이 역력하다. 간결한 문장으로 나타낸 상황 전달력과 인물묘사력도 뛰어나다. 한가지 아쉬운 것은 임진왜란 발발 원인부터 비단 진주성만이 아니라 조선 전체 상황을 그려내고 일본으로 끌려가 대를 걸쳐 현재까지 이어오는 재일조선인의 삶을 장편서사로 풀어갔더라면 하는 것이다.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가 좋아 더 길게 듣고 싶은 욕심이지만.

 

어릴 때, 전쟁이 나면 학교도 안가고 좋겠다는 참 단순하고 어리석은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심지어 꿈에서까지 전쟁이 나서 같은 반 아이들끼리 편을 갈라 싸운 적도 있다. 전쟁이 인간성을 어떻게 바닥까지 끌어내리는지, 얼마나 비참하게 만드는지, 모든 것을 철저히 파괴한다는 것은 알지 못한 채 철없고 어린 상상을 하기도 했다. 수많은 외침을 겪고, 분단국가로 굳어진 반쪽짜리 나라에 살아 그런 상상을 쉽게 하게 된 것은 아닐까.

 

 

대의명분, 지배논리에 백성들은 그저 이리저리 휘둘릴 뿐이다. 그때도 지금도, 아무런 결정권 없이, 생사여탈권을 쥔 그들에게 당하는 역할을 할 뿐이고, 자유롭고 평등한 세상이라는 지금도 여전히 우리는 속수무책이다. 언제쯤 씨족사회처럼 모두가 시대의 주인공이 되는 세상이 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걸리, 넌 누구냐? - 색깔 있는 술, 막걸리의 모든 것
허시명 지음 / 예담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막걸리 한잔을 놓고 "옛다, 밥이다." 라고 하던 선배들이, 배고픈 우리는 야속하기만 했다. 그땐 그 뜻을 잘 몰랐으니. 동아리 생활하던 4년 내내 온몸에 막걸리 칠을 하고 돌아다녔다. 잘 마시지도 못하면서 그저 술자리가 즐거워 날이면 날마다 술을 펐다.

 

할머니가 막걸리를 무척 즐기셔서 만만한 막둥이 손녀랑 쨍잔 하는 것이 취미셨단다. 난 기억도 안나지만 어린 시절 나를 보아온 사람들은 하나같이 "니가 막걸리 꽤 마시지?" 한다. 미취학 아동이었던 나는 할머니 손에서 주당으로 자라났던 것이다. 언니들도 할머니 막걸리 심부름을 하며 막걸리 주전자에 입을 대고 몰래 찔끔찔끔 마시곤 했다고 한다. 어린시절 촌에서 자라났다면 다들 해봤을 거다.

 

막걸리는 낯설지 않은 술이다. 그래서 오히려 관심이 없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너무 친숙해서, 다정한 우리술임에도 막걸리의 역사도 유래도 진가도 알지 못하고 적당히 무시하면서 지내왔다.

 

출퇴근 하는 전철 안에서만 읽느라 며칠에 걸쳐 읽었는데 그동안 거의 매일 막걸리를 사다가 홀짝거렸다. 엊그제는 대형마트에서 국내산 쌀로 만든 막걸리로만 여러종류 사다가 조금씩 맛보기도 했다. 이러다 막걸리에 중독될까 무섭다. 책 읽기를 서둘러야 했다. 이 책을 읽을 때에는 막걸리 중독에 주의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면 막걸리에 대한 애정이 샘솟게 된다. 술을 내 손으로 빚어보고 싶어진다. 기회가 되면 꼭 막걸리학교 다니고 싶다.

예전에 대포집 주인장이 되는 것이 소원이었던 선배를 이해할 수가 없었는데, 이제는 조금 알 것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아시스 - 제40회 일본 문예상 수상작
이쿠타 사요 지음, 김난주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작가 소개도 보지 않고 읽었지만 젊은 작가가 쓴 것임을 바로 알 수 있었다. 개성은 있지만 깊은 맛은 없다. 인생의 맛을 알고 그 속에서 일구어 낸 뚜렷한 철학을 20대 작가가 갖추기는 무리니까.

책 쪽수도 적고 가볍게 후딱 읽을 수 있다.

 

불투명한 미래, 불안한 영혼, 폭주할 것만 같은 어지럼증

20대는 그랬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그렇게 요란하게 폭발하진 않지만 어딘가 붕 뜬 기분으로 살아간다.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어중간하게 서있다. 앞으로 나아갈까 그냥 멈춰있을까 망설이면서

그 마음을 어루만져 준 것이 주인공이 찾는 자전거가 아닐까.

 

우리는 가정, 학교, 사회 등 어느 공간에서든  "어떤 역할"을 하며 산다.

그에 맞는 행동과 의무를 다하지 않으면 곧 당황해 하며

왜 직무유기를 하는가. 하고 그를 비난한다.

내가 그의 역할마저 감당해야 하는 것이 부당하고 불편하기 때문인데, 사는 동안에 누군가는 자신의 몫을 감당하는 것 같다.

자신 스스로든, 남에게 기대든 어떻게든 살아가는 것이다.

그것이 안심이 된다. 

또한 남에게 기대지 않고 그럭저럭 제힘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며 그러지 못한 삶을 살 것이 두려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5 - 술의 나라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고~ 머리는 어질어질, 아침은 빙글빙글 돈다. 다리도 아리고.

동아리 입회식 때 정신을 놓고 지구를 들이받았던 아찔한 기억도 나고.

술 못먹는 이서방이, "그러게 술을 왜 먹어"

"허영만이 나빠!! 왜 술 이야기를 써서" 라고 애꿎은 작가 핑계를 댄다.

술 이야기를 읽다보니 막걸리가 무지 땡겨서 마시지 않을 수 없었다. 하룻밤 새 얼굴이 팍 갔다.

 

장인 정신이 스며있는 술 빚는 법이 나온다.

무척 공들이고 애써 기다리고 ...

우리술은 그토록 정성껏 만드는구나.

그걸 알고나니 직접 술을 빚어보고 싶다.

무척 힘들겠지만 그만큼 재미있을 것 같다.

온식구가 둘러앉아 두런두런 이야기꽃을 피우며 술을 만들었을

우리 옛님들의 모습을 상상해 보노라니 빙그레 웃음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객 4 - 잊을 수 없는 맛
허영만 지음 / 김영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엔 우리 음식의 기본을 다루었다. 청국장을 제외하고 전부 여름에 허한 기운을 돋우는 음식들을 이야기한다.

모든 음식의 맛을 "내는" 기본 중의 기본인 천일염

값싸고 질낮은 수입소금과 달리 우리네 소금쟁이(천일염 만드는 사람들)들의 노고가 담긴 우리소금을 만드는 과정

어릴 때 곧잘 불렀던 "고기잡이" 노래가 생각나는 천렵(川獵), 토종닭으로 만드는 삼계탕 등

 

 

너무나 편리해진 세상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촌스럽고 불편하고 손 많이 가는 것들에 대한

그리움과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또옥똑 묻어난다.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얼마나 차갑고 딱딱하고 정(情)없고 삭막한 곳일지 걱정이다.

우리 스스로 이렇게 편리함에 익숙해 힘들여 찾는 것을 게을리 하면서 어떻게 아이들에게 소중한 우리것들을 보여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