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책임 - 한홍구 역사논설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달 독서모임 선정도서이다. 오늘 모임이었고, 모임 전에 서평을 쓰려고 했는데 출근 전 책을 다 읽기도 버거울 만큼 요즘 생활이 꽤나 바쁘고 여유가 없다. 책을 다 읽었으면서도 내용이 다 들어오지 않아 대충 훑은 느낌이다. 한홍구의 글은 언제나 명쾌해서 읽고 있으면 울컥하면서 분기탱천하게 된다. 한홍구다운 비유와 화법이 시원해서 좋다. 이 책은 역사 연구자로서 애써 공부하고 사료들을 찾아다닌 흔적이 역력하다. 6편의 호흡이 긴 글이 실려 있는데 논문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대한민국사 이후 한홍구의 저작들이 대한민국사와 비슷한 내용이 겹쳐 읽는 데 애를 먹었지만 이 책은 전작들과 확실히 달라 읽는 맛이 새록새록하다.

 

"우리가 남이가"라는 말이 경상권에서 보편적으로 유행한 말인 줄만 알았더니 그 출처가 김기춘이었다. 김기춘이라는 생명력 강한 내시(?)에 대해 너무 모르고 살았다. 한홍구가 앞으로 해 나갈 작업이 무척 기대된다. 독재체제를 강화하고 그 속에서 권력을 행사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열전을 만들겠다는 한 역사학자의 의지가 존경스럽다.

 

독립운동시기, 집에서 머슴살던 이들의 빨래를 하고 밥을 지었다던 대가집 마나님들의 모습에서 보수의 참모습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한다. 눈발 날리는 매서운 겨울, 이국땅에서 꽁꽁 언 손을 호호 불어가며 개울의 얼음을 깨뜨렸을 그늬들을 상상해본다. 이 땅에서 "보수"입네 떠드는 자들이 실상은 그저 이익단체에 지나지 않음을 자신들은 아는지, 진짜 보수는 무엇인지 한번쯤 고민해 보기는 한 것인지 묻고 싶다. 가짜 보수에게 반세기 넘게 휘둘려 사는 이 세계가 변화 가능한지. 지금까지대로라면 도무지 희망이 보이지 않지만, 역사를 쭉 훑어보았을 때 그래도 옳은 가치관을 지키고 책임져 온 소수의 사람들 덕분에 꾸역꾸역(?) 이 나라가 버텨온 것이라고. 

 

해방전후사를 짧게 공부하며 스치듯 훑게 되는 것이 해방 후 남과북에서 내세운 강령들인데 공통목표가 거의 비슷하다. 한홍구는 그 중에서도 남한에서 발의한 제헌 헌법에 대해 상기한다. 노동3권도 아닌 4권을 만들어 노동자의 이익분배균점권을 인정했음을 기억하는 이가 있는가 하고. 그것도 좌익세력이 아닌 우파들만 모여 만든 법이 그들 스스로 획기적이었다 자부한 것에 왠지 으쓱하게 되고(내가 한 일도 아닌데) 대단하게 여겨진다. 지금의 보수꼴통들이라면 종북으로 몰아댔을 붉은 물 가득 든 사상이 무척 반갑다. 그때 그 숭고한(?) 법들은 어디로 자취를 감추어 버렸을까.

 

살기등등한 독재시대, 피눈물 나는 세월을 살아야했고, 너무나 억울하게 죽어갔던 우리 선배들 덕분에 그 전보다 덜 억울한 삶을 살고있는데, 여전히 억울한 사건사고들은 계속되고 있다. 역사가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배우지 못한 잘못이 반복되는 것이라던 서양사 교수님 말씀이 떠오른다. 역사를 책임지는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이 우리의 몫임을 새기자고, 그것이 이 지리멸렬한 인생에 가치를 부여하는 것임을 기억하자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6-30 0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사교과서 바꾸고 집필진이 누군지도 모르는 역사서 배우면 앞으로가 더 깝깝합니다.벌써 그런 조짐들이 나오죠.

samadhi(眞我) 2016-06-30 07:53   좋아요 1 | URL
정권이 바뀌어서 다 뒤집어 엎어야죠. 그 희망 없이 우리가 당장 못 버티겠어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6-30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은 보수들이 막말이라는 프레임으로 진보 진영을 옭매려고 하죠.

요즘은 보수가 한홍구를 막말 지식인을 대표하는 인물로 뽑곤 하는 걸 보고 웃습니다.

참.. 보면 보수들은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 같긴해요. 엉뚱한 곳에 머리를 써서 그렇지만...

samadhi(眞我) 2016-06-30 17:19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밤새 일하고 공부한다잖아요. 그런데 우리는 시비에 사로잡혀 니들은 잘못이야, 나빠. 라고만 해대고 정작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아 만날 집니다. 나중에 다시 각자 갈 일 가더라도 할 땐 해야지요. 똘똘 뭉쳐서 제발 다음 대선엔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