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다시 이 소설을 읽었지만, 한동구가 "영주야, 괜찮아?" 하는 장명에서 역시 다시 눈물이 나왔다.
나에게도 딸이 있어, 어린 것이 이런 고통을 겪는다는 건 아무리 픽션이라 해도 정말 고통스롭다.

두번째 읽어서 느꼈던, 리뷰에 쓰지 않았던 것이, 가정 환경이 어린 것에 주는 영향, 스트레스에 대해서였다.
어른들이야 스트레스를 느꼈다 해도 그걸 풀 방법이야 나름대로 있을 것이다.
그런데 어린 것들은 어떨까?
내 아들은, 내 딸은.

명섭에게는 "유희왕"카드 놀이가 스트레스 해소책이 되어 있는지.
선화는 막 달리고 까불고 갓난아기처럼 어리광을 부리는 것이 스트레스 해소책인지 어떤지.

맨날 "피아노 열심히 해라", "이번 주산 시험은 합격해야 한다", "이번 시합에선 3등이상 달성해야 한다"... 그런 부모의 "격려"가 스트레스로 되어 있지 아니한지, 그렇저렇 듣다말다 넘기고 있는 것인지...

우리가 애들과 "협상"해서 결정한 것들이 혹시 애들에게는 "명령"이나 다름이 없는 것으로 되어 있지는 아니한지.


...고민해 봐도 제대로 답은 나오지 않는다.
그런 고민이 또 나의 스트레스로 되기도 하지...
역시 애들과 더욱더 "협상"을 거듭할 수 밖에 없나 보다.


애가 태어났다고 제대로 부모가 되는 건 아니다... 누군가가 말했지...
참 진리로구나...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선인 2010-06-22 0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러고보니 할머님이 여행왔다 가셨나요? 무사히 유희왕카드 사셨어요?

ChinPei 2010-06-22 12:05   좋아요 0 | URL
네, 어머니 무사히 다녀오셨어요(할머니 아니라 어머니 ^^).
유희왕 카드도 조선님 덕분에 남대문에서 여러개 사 오셨던데 모두 내용이 달라서 명섭이 사촌 형들과, 누가 어느 것을 선택 할 건가 오래 고민했더라구요. ^^

조선인 2010-06-23 0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하, 명섭이 할머님이라는 뜻이었어요. 친페이님에게 무척 친근감을 느끼긴 하지만 '어머님'이라고 바로 칭하기엔 약간 거리가 있고, 그렇다고 '친페이님 어머님'이라고 말하는 것도 '님'이 두 번 들어가 안 맞고, '자당'께서는 여행 잘 하셨는지요 라고 하면 지나치게 격식을 차리는 것 같고. 그럴 때 보통 애를 앞세우죠. '명섭이 할머님' '선화 엄마' 뭐 이런 식.

ChinPei 2010-06-23 10:33   좋아요 0 | URL
아, 그랬어요. ^^
님께서 나에게 친근감을 느껴주신다니 정말 기뻐요.
내가 45살 아저씨지만, 님을 내 친구라고 생각해도 돼요?

조선인 2010-06-25 0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알라딘에서 쌓은 인연이 몇 년인데요. ^^

ChinPei 2010-06-25 15:49   좋아요 0 | URL
감사해요. T_T
 



본 순간 "뭐야 이것!"
언제나 검소한 걸로만 알았던데,





이렇게 말이지.



게다가 다시,





이건 너무 어지럽다.



...
그럴 수도 있는구나. 
내가 몰랐소.


그래서 좀 느꼈지,
"얘가 미쳤나?"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RINY 2010-06-11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임팩트가 강하네요. PC배경화면으로 써도 되겠습니다.

ChinPei 2010-06-11 10:19   좋아요 0 | URL
항상 Google와 함께. ^^

라로 2010-06-11 2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google.com을 이용할때는 구글의 폰트에 변화를 주거나 약간의 그림이 첨가된걸 봤지만 이렇게 큰 변화는 첨봐요!!!
일본 구글은 이런가봐요????

ChinPei 2010-06-11 22:58   좋아요 0 | URL
아뇨, 저도 그런 건 처음 봤어요.
그래도 오늘은 흔한 것인데... 어제 무슨 특별한 날이었던가...?
여기, 일본 Google
http://www.google.co.jp/

루체오페르 2010-06-17 09: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구글의 저런 모습 저도 정말 처음 봅니다. 왠지 신기하네요!ㅎㅎ

ChinPei 2010-06-17 12:26   좋아요 0 | URL
http://blog.aladdin.co.kr/731626123/3813461
이것도 참고하세요. ^^
 

<유희왕>이라고 하는 카드놀이를 아세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캐릭터 카드 놀이인데, 일본에서도 꽤 인기가 높아요.
이 카드놀이를 소재로 한 만화가 있고, TV프로그램은 시리즈 3번째가 방영중이고, 일년에 몇번 영화도 하고, 잡지는 물론, 게다가 국제 카드놀이 대회까지 있다고 해요.
내 아들 명섭이도 몇년전부터 이 <유희왕> 카드 수집을 합니다.

아마 원작은 일본이겠지 싶으지만 한국에도 똑같은 <유희왕> 카드가 있어요.
그래서 명섭이 이 한국제 <유희왕> 카드를 갖고 싶어합니다.
가끔 한국 <유희왕> 카드를 가진 친구가 있어서 매우 부럽다고 합니다.
“레어카드”를 갖고 싶어 하는 건 어디 나라 어린이나 다 마찬가지지요?

내주 6월중순에 울 엄마가 한국 서울에 가십니다.
관광여행말입니다.
명동의 어느 호텔에 머물 예정이라고 하십니다(호텔은 아직 미정).
그래서 그 때 이 한국제 <유희왕>을 구입해 주시도록 부탁을 하였습니다.

울 엄마는 한국말은 “고마슘니대이(감사합니다)” 밖에 못합니다.
그래서 여행사 안내원한테 그 일을 부탁할 작정인데 될 수있는한 쉽게 구할 수있도록 판매하는 장소까지 미리 알아내고 싶어요.

그래서 부탁인데요.
명동 근처에서 이 한국제 <유희왕> 카드를 구입할 수있는 장소가 이딘지 가르쳐주세요.

일본에선 편의점에도 있고, 장난감 판매점에도 있고, 서점에도 있어요.
그러나 어디에나 반드시 있다는 건 아니고요.
기대해서 갔다가 없었다는 일이 몇번 있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편의점에 있다”, “서점에서 판매할 경우가 있다”, 하는 건 말고, “명동의 ○○○편의점에 있었다”, “명동의 ○○○서점에서 구입하였다” 하는 사실을 알고 싶어합니다.

아시는 분이 계시면 좀 알려주십시오.
이 글 퍼가시면 또 고맙고요.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0-06-10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동에 문방구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왠만한 문방구에선 다 팔거든요. 그런데 관광여행 온 거면 남대문도 나오지 않을까요? 남대문 '알파문구' 장난감코너 가시면 왠만한 유희왕 카드는 다 사실 수 있을 거에요.

2010-06-10 1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6-10 1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라로 2010-06-10 1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보이네요~.ㅎㅎㅎ
아까는 안보여서 안보인다는 글 남겼다가 지웠거든요,,,혹시 작업을 하시는 중이실지도 몰라서요~.^^

저희 아들녀석도 한참을 모으다가 요즘은 시들해졌는데 모은걸 함 찾아봐서 있으면 보내드리고 싶네요~.

ChinPei 2010-06-10 11:58   좋아요 0 | URL
nabee님, 감사해요.
그러나, 아드님이 모처럼 모았던데 그걸 남에게 주면 아깝지요.
이따가 다시 흥미를 느낄 수도 있을텐데요.
그래도 친절한 말씀 감사해요.

BRINY 2010-06-10 16: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년에 고등학교 1학년에게서 압수한 유희왕 카드 한상자 갖고 있습니다 ^^;; 학생들 말로는 대도시에서만 판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사는 동네에선 귀한 거라고요...

ChinPei 2010-06-10 18:17   좋아요 0 | URL
BRINY님 학교 선생님이셨어요? 전 매우 젊은 여성(고등학교 학생)이라고만 생각했었어요.

2010-06-10 20: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6-10 23: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6-11 08: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hinPei 2010-06-11 09:59   좋아요 0 | URL
호호 환영입니다. ^^
 



 

8 이란 숫자는 일본에서도 좋은 숫자라고 말합니다. 
한자로 쓰면 八  
밑부분이 펼치고 있죠? 
그걸 일본에선 末廣がり(すえひろがり:스에히로가리 = 마지막에 펼친다)라고 합니다. 
즉 마지막에는 길이 펼쳐진다... 행운이 올것이다, 그런 뜻. 

그러나, 조심하십시오.  
자동차 앞뒤 번호판(Number Plate)에 이 8888 네개 숫자 붙인 자동차... 그건 やくざ(야구자:불량배, 폭력배, 깡패)임이 분명합니다.
내 자동차의 숫자는 8008.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0-06-03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에선 3이 들어가면 좋다고 하죠.
그런데 8888이면 왜 야쿠자가 되는 거죠?

가넷 2010-06-03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네요.ㅎㅎ;

요즘 chin pei님이 올리시는 글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

왜 8888이면 야쿠자가 되는 건지 저도 궁금하네요.

ChinPei 2010-06-03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명하기가 좀 힘들고 지금 직장이기도 하고...
밤에 또 글 올리겠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0-05-27 17: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해요. ^^

ChinPei 2010-05-27 17:28   좋아요 0 | 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