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찰을 전하는 아이 ㅣ 푸른숲 역사 동화 1
한윤섭 지음, 백대승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0월
평점 :
이 책에 대한 주변의 평가가 워낙 좋았다. 특히 초등 사회 역사 시간에 동학농민운동 - 혹은 동학농민전쟁/갑오농민전쟁 - 부분에서 이 책을 읽히는 것으로 수업을 대신한다는 선생님도 계셨던 터라 나름 기대하며 책을 읽었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소년의 노래였다. 약이 되는 노래. 그리고 그 노래의 마지막은 ‘새야 새야 파랑새야’가 되었다. 동학농민운동의 의의라면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를 치유하는 평등의 약이 된다는 말일게다.
그러나, 이 메시지를 전해주기에는, 이야기가 너무 급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이야기의 실타래를 풀어가면서 여기저기 흩뿌려둔 많은 이야깃가지들 - 예컨대 공세의 김 진사 댁 - 이 그냥 버려져 버린 것이 가장 아쉽다.
급전직하적인 결말이라 한다. 녹두 장군이 체포되면서 모든 이야기들이 다 무위로 돌아간다. 그렇게 어렵게 서사를 쌓았는데, 애써 일군 이야기들이 그냥 해뜬 후 안개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그래서인지 묘하게 이인화 씨의 [영원한 제국]의 느낌이 난다. 모든 것을 파국으로 끝내버린 결말. 아마 많은 분들이 ‘감동적이었다’고 느낀 것은, 급하게 닫아버린 결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아직도 궁금하다. 왜 그리도 댓가를 치루고 댓가를 치루게하면서 서찰을 전했는지. 아버지의 갑작스런, 이유없는 죽음은 도대체 무슨 이유가 있는지. 녹두 장군의 체포와 함께 일껏 쌓아올린 그 많은 이야깃거리들은 어디로 갔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그게 가장 아쉽다.
이 책으로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역사 공부를 대신한다면 이는 꼭 말리고 싶다. 이 책은, 오히려 동학농민운동과는 전혀 상관짓지않고 읽히는 것이, 차라리 여러 노래들이 군데군데 들어간 것이 오히려 더 인상적인 부분이었던지라, 그를 염두에 두고 읽히는 것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전작인 [봉쥬르, 뚜르]를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잔잔하게 흘러가는 말글은,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