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찰을 전하는 아이 푸른숲 역사 동화 1
한윤섭 지음, 백대승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대한 주변의 평가가 워낙 좋았다. 특히 초등 사회 역사 시간에 동학농민운동 - 혹은 동학농민전쟁/갑오농민전쟁 - 부분에서 이 책을 읽히는 것으로 수업을 대신한다는 선생님도 계셨던 터라 나름 기대하며 책을 읽었다.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소년의 노래였다. 약이 되는 노래. 그리고 그 노래의 마지막은 ‘새야 새야 파랑새야’가 되었다. 동학농민운동의 의의라면 남녀노소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를 치유하는 평등의 약이 된다는 말일게다.

그러나, 이 메시지를 전해주기에는, 이야기가 너무 급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이야기의 실타래를 풀어가면서 여기저기 흩뿌려둔 많은 이야깃가지들 - 예컨대 공세의 김 진사 댁 - 이 그냥 버려져 버린 것이 가장 아쉽다.

급전직하적인 결말이라 한다. 녹두 장군이 체포되면서 모든 이야기들이 다 무위로 돌아간다. 그렇게 어렵게 서사를 쌓았는데, 애써 일군 이야기들이 그냥 해뜬 후 안개처럼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다.

그래서인지 묘하게 이인화 씨의 [영원한 제국]의 느낌이 난다. 모든 것을 파국으로 끝내버린 결말. 아마 많은 분들이 ‘감동적이었다’고 느낀 것은, 급하게 닫아버린 결말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아직도 궁금하다. 왜 그리도 댓가를 치루고 댓가를 치루게하면서 서찰을 전했는지. 아버지의 갑작스런, 이유없는 죽음은 도대체 무슨 이유가 있는지. 녹두 장군의 체포와 함께 일껏 쌓아올린 그 많은 이야깃거리들은 어디로 갔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그게 가장 아쉽다.

이 책으로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역사 공부를 대신한다면 이는 꼭 말리고 싶다. 이 책은, 오히려 동학농민운동과는 전혀 상관짓지않고 읽히는 것이, 차라리 여러 노래들이 군데군데 들어간 것이 오히려 더 인상적인 부분이었던지라, 그를 염두에 두고 읽히는 것이 나을지도 모르겠다.

전작인 [봉쥬르, 뚜르]를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잔잔하게 흘러가는 말글은,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민주시민교육
심성보.이동기.장은주 외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권교육이 총론이라면 민주시민교육은 현 체제 아래에서는 각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아직까지 교육 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이라면 자치 정도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은 민주시민교육을 위하여 교실 공동체가 어떤 지향점을 두어야하는지 독일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려고 한다.

특히 교사가 비정치적 중립의 위치를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스텔바흐 최소합의 3원칙 아래에서 신중하게 숙고된 과정이 드러나도록 자신의 견해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이 책은 실천을 위한 방법 고찰이 뛰어나다고 할 수 없다. 국영수를 줄이고 민주시민교육 시수를 늘려야 한다는 이야기에는 살짝 실소도 하게 된다. 그럼에도 이 책의 문제의식이 의미를 가지는 것은, 우리 교육 현장에서 민주사회에서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인식과 태도를 어떻게 체화하도록 안내해야하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점일 것이다.

얼마 전 국어 수업에서 착한 사마리아인법에 대한 토론 수업을 하면서 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선택지에, 법을 만들거나 도덕 교육 정도로 그친다는 것만 있는지, 법과 도덕 이전에 개인의 자유를 국가가 강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은 왜 제시하지 않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사실, 이 의문은 작년에도 가졌고, 그래서 작년과 올해 내내 이 선택지를 학생들에게 부가하여 제시하였다.

그래도 어린이들의 선택은 둘 중 하나이다. 하지만, 선택지 하나를 일부러 배제함으로써 어린이들은 개인의 자유가 민주적 합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생각과 논의를 할 기회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보이스텔바흐 최소합의의 제1원칙인 강합(교화) 금지 원칙은, 이런 식으로 모호하게 학생들의 민주적 사유를 가로막는 행위를 교육 현장에서 하지 않도록 하는 반대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교실 공동체와 민주적 토론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교사가 한 번 쯤은 읽어볼 필요가 있다 생각한다. 이를 통해 우리 교실은 개인이 총체를 존중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는 단초를 잡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로 가는 계단 - 제23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동화 부문 대상 수상작 창비아동문고 303
전수경 지음, 소윤경 그림 / 창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이리 짧을 책은 아니다. 훨씬 더 풍부하고 다채로운 내러티브를 품고 있는데, 그걸 미처 다 표현해내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든다.

그럼에도, 이 책은 크나큰 미덕을 가지고 있다. 상상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요즘 읽은 어린이책들은 다 어린이의 입말을 빈 어른들의 말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어른이 쓴 어린이책. 그래서 상상과 환상은 없고 정답과 교훈만 있는 것들 투성이이다.

그러나 우리가 어린이들에게 열광하는 것은 그들이 꾸는 꿈과 상상이지 않은가. 어느샌가 우리는 어린이들에게 당위를 슬쩍 주입시키는 것들을 좋은 책이라며 읽히고 있진 않은가 싶다.

어린이들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왜냐하면 다루는 물리학 이야기가 친절하진 않기 때문이다. 이해는 된다. 제대로 다루려고 했다면 아마 이 정도 분량에서 끝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내러티브를 낭비했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

그러나 지금을 발딛고 살아가는 우리들이, 물리학적 이론을 기반으로 다른 세상을 상상해 볼 수 있다는 것은 아주 매력적인 경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나마 요즘 본 어린이 책 중에 재미나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뜨기에 관하여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 되어간다는 것은, 내가 가진 것이 없어진다는게 아니라 나를 벗고 새로운 나를 입어가는 것이다. 주윙빈담이 카이와판돔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카이와판돔이 주윙빈담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가는 것이다.

우리는, 더 나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위해 덜 나은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가야 한다.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게 어른이다.

"소멸이 아니라 포기입니다. 어른은 아이를 포기해야 도달할 수 있는 곳입니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 수학자 아버지가 들려주는 수학으로 본 세계
오구리 히로시 지음, 서혜숙.고선윤 옮김 / 바다출판사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더 자세한 것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문구가 굉장히 거슬렸다. 그럴거면 책을 뭐하러 쓴담. 그렇다고 책이 최신의 이론을 다룬다거나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여러 수학 이슈들을 서머리해 둔 책인데. 책 안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자꾸 책 바깥으로 독자를 끌고 나가는 것이 거슬렸다.

또한,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보는 책이라기 보다는 수학의 언어로 ‘수학의’ 세상을 보는 책이라고 보아야 무방한 책이다. 물론 저자의 의도는, 수학의 언어도 한글(한국어)이나 영어, 독일어 등과 같이 세계를 인지하고 해석하고 예측하는 언어의 구실을 한다는 의도이겠지만, 세상을 보는 직접적인 방법이나 실례는 소개하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수학을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들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이슈 아홉 가지를 잘 뽑아 내었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이론적인 측면에 맞추어 수학의 중요한 이슈를 잘 간추리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조금 더 세밀하게 들어가려는 순간에 전가의 보도처럼 ‘웹페이지를 보시오’를 남발하고 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