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민음사 오늘의 작가 총서 6
이문구 지음 / 민음사 / 200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년대 한국농촌사회에 대한 한 편의 민족지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의 소설이다. 근대화, 도시화로 인해 급격히 해체되어가던 농촌사회의 모습을 이토록 예리하면서도, 따뜻하게 그려낸 시도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기록사적 가치가 있다.. 과연 한국농촌사회는 지금 어디로 가버린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메시스와 타자성 - 감각의 독특한 역사
마이클 타우시크 지음, 신은실 외 옮김 / 길(도서출판) / 2019년 3월
평점 :
품절


역사인류학의 중요한 저자인 타우직의 책이 처음으로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번역자의 노고에 감사. 커다란 무리 없이 읽힌다. 벤야민의 성찰에 대한 인류학적 주석으로서 <포스트식민주의 시대의 미메시스의 과잉>이라는 문제의식은 엘리아스의 문명화과정에 대한 식민주의적 개입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와 육군 - 제2차 세계대전을 주도한 일본 제국주의의 몸통
호사카 마사야스 지음, 정선태 옮김 / 글항아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후'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일본을 들여다보다가, 문득 본격적으로 '제국 일본'이 치러냈던 전쟁의 실체-전쟁의 구조, 그리고 실제 전쟁을 치러냈던 사람들의 경험-를 들여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딘가에 썼던 것처럼..

메이지 이래 일본이라는 국가는 매 10년마다 전쟁을 치르면서, 사회체제를 바꿔갔다는 점에서..

근대 일본의 정수를 이해하는 중요한 하나의 틀이 '전쟁국가'라는 점은 분명하다..

 

책을 읽으면서, 이 책이 그런 틀을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참고도서가 될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이런 책들이 계속해서 발간되고, 문고판까지 만들어지는 것이야말로..

일본적 교양주의가 아직 살아 있다는 뜻일텐데..

실제로 한국에서는 보기 드문 장르의 책인 것은 분명하다..

 

전문 역사가의 학문적 저작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국사회에 유행하는 일련의 참을 수 없이 가벼운 '교양' 시리즈와는 격 자체가 다른..

굉장히 치밀하고 깊이 있는 논픽션, 르포 장르라고 해야 할 듯한데..

 

사실, 이런 장르의 책이 나오기 위해서는..

이런 책을 읽어낼 수 있는 일정 수의 독서대중..

그리고 이런 책을 기획하고 출판할 수 있는 견실한 출판자본이 존재해야 한다..

한국사회에서는 어느 것 하나 존재하지 않으니, 이런 책이 나오기는 당분간 쉽지 않을 것 같다..

하긴 일본 사회 역시 신간에서 이런 책들을 발견하는 건 점점 힘들어지고 있으니..

교양주의의 몰락은 공통적인 현상인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이 책의 장점은..

쇼와 욱군이라는 15년전쟁 혹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주도했던 한 집단의 내부를 최고 지휘층(작전참모를 포함하여)부터 일반 병사에 이르기까지 여러 인물들과 사건들을 통해 생생하게 입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 있다..

특히 위로부터의 시점이 아닌, 실제 전장을 경험했던 일반 병사들의 시점에서, 그들의 고통에 공감하며 왜 일본 사회가 그러한 상황에 빠지고 말았는가를 여러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집요하게 되묻는 그의 자세에는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물론 아주 깊이 있는 이론적 분석이 제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것은 이 책의 성격에도 맞지 않고, 또 저자의 의도도 아니었을 것이다..마루야마 마사오가 무책임의 구조라고 한 큐에 정리해버릴 이야기를 저자는 계속해서 자신이 발굴해낸 여러 텍스트들, 그리고 여러 증언자들을 통해 검증해낸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마루야마와 같은 엘리트는 지나쳐버리는 당대 일본 사회의 많은 결들이 세세하게 복원된다는 점에서도 이 책은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이 시대에 정통한 독자라면, 굳이 처음부터 읽을 필요 없이, 관심이 가는 사건이나 인물부터 골라 읽어도 무방할 듯.. 모든 장이 훌륭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몇몇 장들은 논픽션의 정수를 보여줄 정도로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월 항쟁 - 1946년 10월 대구, 봉인된 시간 속으로
김상숙 지음 / 돌베개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대구라는 도시에 덧씌어진 ‘낙인‘들을 벗겨내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1946년 10월의 현장으로 결을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어쩌면 그 과정에서수구주의자들에게 빼앗겼던 이 도시의 이미지를 되찾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중요한 책이 너무 늦게 출간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제2판 34곳 삭제판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책을 읽고나니, 이 글에 가해진 비판에 대한 저자의 반박이 거의 허황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다. 어떤 맥락에서 그 문장을 썼는지 자신도 모르는/잊어버리는 희귀한 병증. 많이 나오는 단어 ˝원래 역할˝, ˝실태˝, 그런데 왜 그런지 논증이 없다. 아무리 대중서라도 해도 이건 너무 무책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