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이데올로기 동아시아 라이브러리 2
다케우치 요시미 지음, 윤여일 옮김 / 돌베개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케우치 요시미의 <일본 이데올로기>가 번역 출간되었다..

이런 시대에 다케우치에 대한 글을 계속해서 번역해내고 있는 역자에게 우선 경의를 표한다.. 과연 어느 정도의 독자들이 다케우치의 글에 내재하는 아포리아를 읽어내는데 그 바쁜 시간을 할애하려 할까.. 분명히 다케우치의 글은 그다지 '친절한' 글이 아니다.. 더구나 전후 일본이라는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그의 글은 왜곡될 소지도 다분하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글은 그의 맹우였던 마루야마 마사오가 도달한 정도의 '보편성'을 획득해내지 못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기에 '사상'이라는 영위에서 다케우치가 차지하는 독특한 위치가 있다..

만약 다케우치 요시미에 대한 글을 쓰게 된다면, 첫 문장을 이렇게 쓰고 싶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다루기 힘든 사상가이자, '위험한' 사상가이다..

-여기서 '위험한'이라는 형용사는 물론 다케우치 자신이 오카쿠라 텐신이라는 근대 일본의 사상가를 논하는 글의 첫문장에서 텐신을 평하면서 썼던 형용사이기도 하다. 물론 이 형용사가 다케우치에게 바칠 수 있는 최고의 헌사일지도 모르겠다-

그 '위험함'은 바로 그가 '일본 낭만파', '아시아주의', '근대초극론' 등 전후 일본이 팽개쳐놓은 금단의 영역 내부에서 사고했던 사상가라는 데서 나온다..

"'사이비 문명'을 허위화해 가는 작용은 사이비 문명의 내부에 있는 자만이 담당할 수 있으며, 밖에서 힘을 빌려와서는 할 수 없다"는 감각은 일본에서든, 한국에서든 찾기 힘든 다케우치 특유의 독특한 자리이다..

 

예를 들어 전후 일본에서 파시즘의 한 갈래(公娼)로 비판받는 일본 낭만파에 대해, 다케우치는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전후에 출현한 문학평론들이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부 일본 낭만파를 불문에 붙이고 있는 양상은, 특히 일본 낭만파에 관계가 있었던 사람들까지 알리바이 제출에 바쁜 양상은 조금 기묘한 일이다."라는 감상을 피력하면서 "비판대상의 발생근거 안으로 파고들어가는 비판"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근대 초극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1942년에 열린 몇 차례의 좌담회에서 유래한 이 논의는 전후 일본에서 <대동아전쟁>의 악명높은 이데올로기이자 주술로 간주되곤 했다. 물론 근대의 촉극 좌담회는 분명 1942년이라는 시점에서 보더라도 시대착오적이고, 또 그다지 깊이 있는 논의도 이루어지지 않는 다소 '허술한' 논의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다케우치는 전후에도 이 논의가 다시 소환되고 회고되는 상황을 주시하면서 "사상으로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단언한다. 왜냐하면 거기에 묻혀 있는 기억이 아직 살아남아 곳곳에서 원한과 회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감각은 이 책 <일본 이데올로기> 역시 그대로 관통하고 있다..

 

민중은 바보라서 도조(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총리이자, A급 전범)에게 속았고, 내버려두면 또 속을테니 "정말이지 위험"하다고 마쓰모토는 말하고 싶은 것이리라. 과연 민중은 도조에게 속을 만큼 바보였다. 그러나 속은 덕분에, 도조를 대신한 '민주주의' 지도자를 함부로 믿지 않을 만큼은 바보가 아니게 되었다. 또 속는 게 아닐지를 의심할만큼 영리해졌다. 그렇게 영리해진 게 지도자의 눈에는 반대로 "도조의 재탕"으로 보이는 모양이다. 속는 데 넌더리가 나서 의심하고 있는데, 이제는 그렇게 의심하는게 나쁘다며 바보 취급하니 민중은 속상하다. 결국 지도자라는 건 모두 못됐다고 여길 것이다. 나는 그리되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게 민중의 진정한 각성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민중이 지도자들만큼 도조를 무조건 신봉한 것은 아니다. 민중의 비협력은 도조조차 알고 있었다. 그 저항이 성장해 오늘의 '민주주의'를 불신하게 되었는데, 그 저항의 계기를 붙들지 않고 도조에게 굴복한 권위주의의 면만을 바라보고서 '민주주의'를 위에서 내리 눌러 저항을 뭉개려 한다면 도조의 실패를 반복할 뿐이다..

 

확실히 이런 문체로는 보편성을 획득하기 힘들다.. 아니 문체의 문제만이 아니다.. 이런 위치 감각은 전후 일본에서든, 아니면 한국에서는 좀처럼 찾을 수 없다. 아마 어느 '진영'에서든 제대로 이해받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사상이라는 '영위' 자체가 원래 그렇게 고독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 감각은 결코 정치가가 가끔씩 침바르듯 말하는 '선의'와 같은 그런 수준의 깊이가 아니다..

다케우치의 아포리아가 아포리아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사회에서만 가능한 이야기다.. 우리가 저 머나먼 별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