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좌반구 - 새로운 비판이론의 지도 그리기 컨템포러리 총서
라즈미그 쾨셰양 지음, 이은정 옮김, 배세진 해제 / 현실문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서구 비판이론의 복잡다단한 계보를 재구성하면서, 비판이론과 사회운동 사이의 '도래할' 마주침이라는 정치적 과제를 제시한다는.. 써놓고 보면 왠지 진부해져버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감할 수 있는 묵직한 메시지를 던지는 책.

 

하지만 여전히 비판이론과 사회적 투쟁 사이의 관계를 명료하게 제시하는데는(해제에서도 지적하는 것처럼)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비판이론의 교과서처럼 보이는 책..

 

다만, 시중에 유행하는 미국식 '포스트' 개론 교과서와는 조금 다른, -그 이유는 프랑스 학계에 속해 있는 저자 자신의 위치성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상당히 실천적인 문제의식을 보여주는 책..

 

그렇다면 한국에서 비판이론이란 무엇이었는가/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대답을 해제를 통해서 제시하고 있는 책.. -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비판이론과 사회운동 사이의 단절을 더욱 뚜렷하게 드러냄으로써, 이론의 진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하는.. 책..

 

 

비판이론이 처음부터 구체적인 현장/역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문제의식, 그리고 그 분석을 통한 어떤 실천적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기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면, 한국의 비판이론이 미디어연구나 영문학을 통해 정립되었다는 것은 역시 태초부터 절름발이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진태원이나 이상길 식의 제언은 학계의 비판이론 학습자들에게는 하나의 조언이 될 수 있지만, 어떤 실천적 전망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이렇게 쓰고 해제의 후반부를 읽으니, 배세진 선생님도 그렇게 쓰신 것 같다. 공감. 정교한 이론 내적 탐구를 위한 내적인 전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에도 공감.. 워낙 이론이 빈곤한 사회에서 살다보니 마음이 복잡해진다) .. 

그렇게 본다면 그러한 문제점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했던 90년대 이후 사회사나 인류학의 현장연구들이 실증주의에 빠져버린 것도 안타까울 따름이고.. 최근의 페미니즘이 보여준 하나의 성취는 눈부신 것이지만, 역시 그에 대한 엄청난 반동.. 그리고 페미니즘 내부에서 계속 이루어지고 있는 드라마틱한 분화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역시 우리의 비판이론이 만들어질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은 이러한 여러 갈래의 실천들-아직은 결코 만나지 못하고 있는-의 소통과 접합, 그리고 자신들의 장에서의 전유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