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 - 현대문명이 잃어버린 생각하는 손
리차드 세넷 지음, 김홍식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 오전부터 읽기 시작하여, 오늘 오전까지 꼬박 하루에 걸쳐 <장인>을 읽다.. 

 

"스트라디바리 이야기 하려는 거 아냐."라는 선입견이 있었지만, 꼭 그런 이야기는 아니었던 것 같고..

그럼에도 이 이야기를 왜 (번역본으로) 무려 500페이지에 걸쳐 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었고(미국식 사회학 책에서 종종 나타나는 많은 에피소드들의 나열.. 아마 이 역시 '실용주의'적 전통일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등장하는 꽤 흥미로운 사유들이 이제 그만 책을 덮을까 하다가도 계속 읽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개인적으로는 7장 의식을 깨우는 도구들과 8장 저항과 모호가 나름 흥미로웠다는)..

 

흥미로운 것은 서론이 아니라 에필로그에서, 자신의 문제의식을 더욱 분명히 밝히고 있다는 점..  

특히, 아렌트의 "평범한 악"(banality of evil)에 대한 일종의 비판적 주석으로 판도라의 '아름다운 악'이라는 은유를 제시한 것은 무척 인상적이었고.. 그래서, 서론에서 아렌트 여사와의 만남을 굳이 강조했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안 좋은 학점을 받았을까, 아니면 그녀의 노이로제에 질려버렸을까)..  

 

어쨌거나, 이 책이 대륙적 사유이자, 정치철학의 전통에 입각한 <인간의 조건>에 대한 미국식 실용주의의 반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런 문제의식을 제퍼슨적 민주주의의 전통.. 혹은 서부 개척이라는 자신들의 신화가 아닌, 정작 포드주의, 테일러주의의 본고장에서 장인이라는 굉장히 유럽적이어 보이는 집단의 노동에서 찾아내고 있는 것도 흥미로로웠다..

트라디바리 이야기 하려는 거 아냐."라는 선입견이 있었습니다만, 꼭 그런 이야기는 아니었던 것 같고.. 그럼에도 이 이야기를 왜 (번역본으로) 무려 500페이지에 걸쳐 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었고(미국식 사회학 책에서 종종 나타나는 많은 에피소드들의 나열.. 아마 이 역시 '실용주의'적 전통일 수도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등장하는 꽤 흥미로운 사유들이 이제 그만 책을 덮을까 하다가도 계속 읽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는데(개인적으로는 7장 의식을 깨우는 도구들과 8장 저항과 모호가 나름 흥미로웠다는), 역시 에필로그를 읽고나니, 세넷이 왜 이런 문제의식으로 책을 써내려갔는지가 조금 더 분명해졌다는(특이한 귀납적 구성), 그런 점에서 이 책을 추천했던 미독의 동기가 궁금해졌는데(왠지 '인류학적'인 것 같아서요.. 라고 말하면 안 될텐데), 저로서는 한나 아렌트의 "평범한 악"(banamlity of evil)에 대한 일종의 비판적 주석으로 판도라의 '아름다운 악'이라는 은유를 제시한 것이 인상적이었고, 또 어쨌거나 서론에서 아렌트 여사와의 만남을 굳이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안 좋은 학점을 받았을까, 아니면 그녀의 노이로제에 질려버렸을까), 이 책이 대륙적 사유인 <인간의 조건>에 대한 미국식 실용주의의 반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어렴풋이 들기도 했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