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0
헤르만 헤세 지음, 황승환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과 달리 책을 읽는 습관이 달라졌다.

 

 

저자의 성장 과정, 책을 쓸 때의 재정 상태, 마음 가짐, 그 당시 나이, 어떤 마인드로 썼는가?

작품 해설을 먼저 읽어 볼 때도 있고 책에 대한 리뷰를 관심있게 보고는 한다.

그 책을 더욱더 이해하고 싶어서이다.

 

<헤르만 헤세>는  톨스토이,도스트예프스키와 함께 우리 나라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대문호이다.

<데미안> <수레바퀴 아래서> <싯다르타> 처럼 잘 알려진 작품도 있다.

그런데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었던 것은 헤세의 내면 세계를 알고 싶어서였다.

 

이 책을 읽어보니 자전적인 자신의 이야기가 많았다.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을 쓸 당시 헤세 자신이 자살충동을 겪었다고 한다.

아버지의 죽음,사랑하는 아들의 죽음,아내의 우울증, 여러 고통스러운 일들이 많았다.

사는 공간을 옮겨 집필작업에 들어갔지만 힘들었을 헤세가 완성한 이 작품에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진짜 화가친구, 포도주를 마시며 사람을 좋아하는 저자 자신이 있다.

클링조어가 시력이 약해지면서 그려가는 작품이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헤세 자신의 이야기같다.

저자 자신의 내면의 정신세계를 이 작품에 아름답고도 슬프게 녹아넣았다.

읽는 내내, 내 마음 어느 한 부분이 커가는 것을 느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