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연인,친구 사이가 됐건 너무 자주 만나기 때문에 으레 당연하고 범속해지는 일은 없는가? 일이 있건 없건 걸핏하면 습관적으로 전화를 걸고 "띵동"하고 찾아가는 것도 우정의 밀도에 어떤 몫을 할 것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

무료하고 심심하니까 그저 시간을 함께 보내기 위해서 친구를 찾는다면 그건 "우정" 일 수 없다.

시간을 죽이기 위해 찾는 친구는 좋은 친구가 아니다. 시간을 살리기 위해 만나는 친구야말로 믿을 수 있는 좋은 친구 사이다.

 

친구 사이의 만남에는 서로 영혼의 메아리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너무 자주 만나게 되면 상호간에 그 무게를 축절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마음의 그림자처럼 함께 할 수 잇는 그런 사이가 좋은 친구일 것이다. 만남에는 그리움이 따라야 한다. 그리움이 따르지 않는 만남은 이내 시들해지게 마련이다.

 

법정스님의 <오막막 편지> 中

 

만남에는 그리움이 따라야 한다.

법정스님의 글에는 영혼의 칡을 잘라내어 즙으로 만든 그 그윽한 맛이 있다.

예전에 내가 위의 글처럼 살았다. 생각나면 전화하고 외롭다고 금새 사람을 찾고 술 한잔 하자고 전화하고 만나는 미성숙한 말과 행동을 했었다. 지금도 많이 나아진 것은 아니다.

 

그런데 책을 읽고 명상을 하고 산에 오르며 내 자신과 끊임없는 대화속에서 조금 성숙했을 뿐이다. 법정스님의 말씀처럼 살고 싶다. 고여있는 물이 아닌 흐르는 물이 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사람을 볼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이 인상이다.

첫인상은 몇 초에 걸쳐서 판가름이 나는 데 전문가들은 2~3초라고 한다.

그 다음으로 그 사람의 진가를 안다는 것, 그리고 그 사람의 미래를 한 번 점쳐볼 수 있다는 것은 말과 행동이다. 

그 사람의 실체를 안다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자세히 관찰해보면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니다.

점쟁이들이 그 감각이 뛰어나다고 한다.

대면하는 몇분안에 그 사람을 현미경 보듯이 꿰뚫어 본다는 것이다.

사람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한지를 알려주는 일례다. 좋고 나쁘고를 결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직감을 믿는다. 내 안에서 알려주는 그 자신의 신념을 믿는다.

 

문제의 해결을 밖에서 찾는 사람이 있다.

남에게 묻고 조언을 얻는다고 문제가 해결될까?

진지한 자세로 자신에게 고요히 물어보면 문제는 쉽게 해결된다. 파랑새는 항상 자신의 어깨위에 있는 법이다. 자신을 살리고 죽이는 법도 자신에게 있다.

쇠는 자신의 녹 때문에 삭는다. 자신이 자신을 죽이고 살리는 방법을 알고 있다.

 

 

좋은 사람을 사귀는 방법은

 

- 먼저 내 자신이 좋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 무엇을 받기 보다 먼저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내 마음같지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순간 사람관계는 발전한다.

- 모든 것에 원인은 나에게 있음을 알자.

- 많은 사람을 사귀기보다 제대로 된 몇 사람을 집중적으로 사귄다.

- 다른 분야의 사람과의 만남에서 나를 반성하고 성찰한다.

- 이 사람이 보물이다,정말 보물이라고 생각하자.

 

 

 

 




죽을 때까지 인관관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무인도에서 혼잘 살 것이 아니라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현명한 처신이 중요하다.

사람때문에 상처받고 사람때문에 기뻐한다.

웃기는 건 사람때문에 왜 내가 상처받고 열받아야 한다는 말인가?

말이나 행동으로 상처를 준 사람은 잘 살아가는 데 그 사람때문에 내가 상처를 받는다.

이거 괴상한 이론일세...

 

 

그 중심의 첫 번째는 내 가슴속 깊은 곳의 사람에 대한 철학이 필요하다.

자신의 배에 승선할 인원은 한정이 되어 있는 데 무조건 사람을 다 태울 수는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현대 사회에서 사람을 안 만나고 살 수는 없다.

현명한 대처방법을 알아야 하고 제대로 된 인맥이 필요하다.

 

 

 

인맥의 기술.

그렇다. 인맥의 기술이 필요하다.

 

 

나는 인맥의 기술을 정의할 때 이 세 가지를 먼저 본다.

 

 

1- 진실된 사람인가?

 

사람을 볼 때 다 알 수는 없지만 직감과 느낌이 있다.

나는 이것을 믿는다. 첫인상이나 말과 행동에서 믿음을 주지 못하는 사람은 대게 두 세번 만나도 그대로다. 걸레는 빨아도 걸레다.

1년전에 만난 사람이 다시 몇년후에 만나도 변함이 없는 이유를 아는가?

진실된 마음으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을 이용하려고 하고 돈으로 보고 계산적으로만 본다면 상대는 알아본다.

 

진실된 마음으로 사람을 대해야 한다.

부담을 주어서도 안되고 뭔가 이익과 계산이 오고 가도 안된다.

사람, 사람 그 자체를 좋아하고 신뢰를 주는 진실된 사람인지를 꿰뚫어보는 그런 안목도 필요하다.

 

 

 

2- 대화가 통하는 사람인가?

 

무릇 말하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

나는 80/20법칙을 쓰려 애쓴다.

남의 이야기를 80들어주고 20만 내 이야기하려고 한다.

말이 많으면 사람이 가볍고 실속이 없다.

침묵과 절제를 생활화해야 한다.

긍정적이고 밝은 말을 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자신의 이야기만 하려하고 항상 부정적인 이야기와 매번 아프다,힘들다, 세상 살기 싫다. 이런 사람은 자신이 만든 감옥속에서 사는 사람이다.

항상 자신만 힘들고 자신만 아프다.

 

일방통행이다.

말에는 양방통행이 되어야 하는데 항상 자신만 말하는 사람은 주위에서 멀리해야 한다.

 

 

 

 

 

3-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인가?

 

 

바지 주머니에 못이나 바늘이 있으면 금새 표가 난다.

배울점이 있는 사람은 말과 행동에서 알 수 있다.

그윽한 눈빛과 경청의 태도,긍정적인 말과 행동을 하는 사람을 곁에 두어야 한다.

나와 다른 분야의 사람을 만나야 좋은 아이디어와 삶의 통찰을 배울 수 있다.

 

10년전이나 1년전이나 똑같은 사람과는 만나지 마라!

언제바 배우고 노력하는 사람에게 자극과 삶의 지혜를 배워라.

그래서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간접경험을 통하여 통찰의 힘을 길러야 한다...

 

 

 

 

인맥의 기술의 최고 방법은

많은 사람을 사귀려 하지 말고 제대로 된 사람을 사귀는 생활습관이 가장 중요하다.

외롭다고 사람을 아무나 사귀려 하지 말고 제대로 된 사람을 사귀는 습관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