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권력의 기술 - 제왕학의 고전에서 배우는 리더의 조건
이상수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지독한 말더듬이에 피도 눈물도 없는 '동양의 마키아벨리'

유가사상에만 젖은 우리에게 한비자는 너무도 위험한 냉혈 사상가로만 여겨져 왔다.

진시황이 중국을 통일하기 전에 만난 것도 한비자였고 유비가 임종에 이르러 아들에게 꼭 익히라고 당부한 책 중 하나도 한비자였다고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고전,

이 고전을 읽는다고 달라지는 것은 무엇일까?

 

몇 백년전의 사람과의 대화에서 알게 되는 것은 무엇일까?

우마차타고 활과 창으로 싸왔던 사람에게 배우는 것은 정녕 무엇일까?

어쩌면 지금 이 시대가 훨씬 최첨단의 정보와  빠름의 시대 아닌가?

 

나는 고전에서 무엇을 배우고 익히려 하는가?

그 것을 알고 싶어 책을 열심히 읽는다.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두루 베푸는 건 참 좋은 일이다.

그러나 '착한 사람'과 '디더'는 같은 뜻이 아니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얻었다면 그가 얻은 건 코흘리게 수준의 리더십이다.

어떤 사회에서 리더십이 길러지는 과정이 주로 이런 코흘리게 수준의 교감에 의존한다면 그 사회의 미래는 참으로 걱정스러울 수밖에 없다.

 

 

위의 행간의 배움만으로 이 책의 가치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