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봤다... 오랜 가뭄끝의 소나기다~~

이럴 때 나는 대박  소나기다~~ 라고 말하고 싶다.

우연히 좋은 책을 찾았을 때의 그 기분은 오랜 가뭄끝에 오는 소나기와 같다.

 

휴머니스트 출판사의 책을 유심히 보다가 이 책을 알게 되었다.

'위화'라는 작가... 어디서 한번 본 것 같은데...어느 서재에서 "허삼과 매혈기" 이런 책을 한번 본 것 같은데... 고개를 갸웃 거렸다...

'형제' '인생' '허삼관 매혈기'  등등... 아주 많은 책이 팔렸다.

당장 주문했다.

토요일 밤에 도착한 이 책을 저녁에 잠시 읽었다.

 

저자 서문이 장난 아니다.

많은 책을 읽었지만 이렇게 저자 서문이 강렬하게 예리하게 내 가슴에 파고 든 적이 없다.

저자 서문만으로 이 책의 정가 이상은 분명히 했다.

 

만약 작가가 자신의 작품에 어떤 권위를 갖는다면,아마도 그 권위는 작품이 완성도기 전까지만 유효할 것이다.작품이 완성되면 작가의 권위는 점차 사라진다.

이제 더 이상 그는 작가가 아니라 한 사람의 독자이기 때문이다.

얼마나 겸손하고 솔직한 말인가?

 

시간이 흐를수록,이미 완성한 내 작품을 읽을 때 내 안에서는 종종 낯설다는 느낌이 솟아오른다. 나는 작가로서 동일한 내 작품이라도 읽을 때마다 다른 느낌을 받는다. 생활이 변했고 감정도 변했기 때문이다...

 

저자의 솔직담백하면서 예리한 감정의 저자 서문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이런 멋진 서문은 쉽게 보기 힘들다.

본문을 읽기전부터 이 위화의 팬이 된 느낌이다....

 

 

 

 가족을 위해 아내를 위해 세 아들을 위해 피를 팔아가는 한 남자의 삶.

그 안에는 모든 아버지의 눈물과 삶의 애환이 담겨 있다.

허삼관이 허옥란에게 장가가는 데 든 돈은 피를 팔아 장만한 돈이다.

일락이,이락이, 삼락이. 세 아들의 이름또한 웃기지만 일락이는 그의 친아들이 아닌 게 본문의 재미나는 스토리다.

 

일락이와 하소용의 이야기는 소설 중반까지 허리가 되고 허삼관과 허옥란의 대화는 호탕한 웃음과 인생의 깊이 있는 성찰을 하게 한다.

허옥란은 결혼 전 하소용과 하룻밤을 보냈고 허삼관도 같은 회사 임분방과 하룻밤을 보냈다.

이 두 사람의 하룻밤은 이 소설에서 평등의 용서와 화해를 보여준다.

그 구성력이 굉장히 섬세하고 놀랍다...

 

허삼관은 가족들을 위하여 피를 팔았다.

특히 일락이을 위하여 피를 몇번 판 이야기는 가슴이 찡하다.

일락이는 친아들이 아니다.

그런 일락이를 가장 미워하는 것 같은면서도 가장 사랑했다.

그런 그가 우여곡절 끝에 아들의 병을 치료하는 장면은 감동이다...

 

마지막으로 돼지간볶음과 황주 2냥을 먹기 위해 젊은 혈두 앞에 선 허삼관.

 

"당신 피는 가구 칠할때나 필요한 피요. 늙은이의 피는 쓸모가 없소..."

 

혈두의 말에 허옥란은 

"그 자식 피가 돼지 피지. 그 자식 피는 칠장이도 안 쓸걸.

그놈의 피야말로 도랑이나 하수도용이지. 제까짓 자식이 뭔데? 난 그 자식이 어떤 자식인지 잘 안다구요. 그 심 꼴통의 아들이잖아...삼락이보다 어린 자식이... 우리가 삼락이 낳았을 때 세상에 있지도 않았던 자식이 말이야...이제 와서 감히 어느 면전이라고 으스대기는..."

 

이 말을 들은 허삼관이 허옥란에게 근엄하게 한 마디 했다.

 

 

"그런 걸 두고 좃 털이 눈썹보다 나기는 늦게 나도 자라기는 길게 자란다고 하는 거라구."

 

많은 책을 읽어보았지만 이런 통쾌한 마지막 구절은 처음이다.

위화의 팬이 되어버렸다.

그의 소설에서 삶의 깊은 성찰과 재미를 배우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