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호 박사를 바라보는 시선은 나뉩니다. ‘경제 전문가’, ‘자기 계발 전문가’, ‘미래 예측 전문가’라는 숱한 ‘전문가’ 타이틀 이면에는 지나치게 성공만 부르짖는 ‘차가운 성공 지상주의자’라는 따가운 눈총도 있죠. 1년에 10권 가까운 책을 본인의 이름으로 찍어내기 때문에 책의 완성도나 깊이에 대해 회의를 품는 분들도 있습니다.
공병호 박사를 10년 전부터 알고 지낸 지인으로부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5년 연상의 공 박사 아내가 농사를 지으면서 작은 음식점을 운영하는데, 공 박사가 그런 아내를 대신해 살림을 한다고요. 게다가 아무리 바빠도 군대 간 큰아들 면회를 한 달에 한번은 꼭 간다고 하더군요. 정말? 분, 초 단위로 시간을 재 가며 시간을 관리한다고 소문난 ‘시간 관리의 괴물’이? 그의 의외의 면면이었습니다.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월간 <톱클래스>에서 부부 인터뷰를 했습니다. 부인 서혜숙 씨는 사진을 안 찍겠다는 조건이 있었습니다.
티셔츠에 분홍 자켓을 걸쳐 입은 서혜숙 씨와 넥타이에 양복을 차려 입은 공 박사는 한 눈에도 대조적인 캐릭터였습니다. 말투도 그랬습니다. 공 박사는 정제된 말만 논리적으로 하고, 서 씨는 옆집 아주머니와 수다 떨듯 편하게 이야기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서 씨가 어찌나 발랄하게 말하고 웃음이 끊이질 않던지요, 옆에 있는 사람들도 다 같이 유쾌하게 만드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서 씨는 대단한 낙관주의자였습니다. 공 박사에 대해 말할 때에는 그 수위가 특히 더 심했죠. “저는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여자라고 생각해요. 제일 훌륭한 남자와 사니까요”, “이 사람보다 더 성실한 사람은 없을 거에요”, “어느 누구보다 이 사람이 가장 실력 있고, 훌륭한 학자라는 믿음이 있어요”라고 스스럼없이 이야기 하더군요. 압권은 이 대목이었습니다. 공 소장에 대한 따가운 시선에 대해서는 “가끔 사람들이 너무 다작한다, 다작하지 말고 대작하라는 충고를 하는데, 그럼 제가 속으로 ‘두고 보라지, 앞으로 대작이 얼마든지 나올 거다. 지금 이 노력이 결정체를 이룰 날이 분명히 올 거다’라고 생각해요”라고 말합니다. 옆에서 듣고 있던 공 박사는 “그런 말을 하면 안 되지”라고 제어를 하면서도 싫지 않은 눈치였습니다.
‘플라시보 효과’라는 말 있죠? 믿는 대로 이루어진다는. 둘은 공 박사가 대학 1학년 때 대학 모임에서 만났다고 합니다. 8년 연예 끝에 결혼해 23년 째 결혼생활을 해 오면서 서씨는 공 박사에게 끊임없이 주문을 걸었던 겁니다. 젊었을 때에는 ‘당신은 장차 큰 인물이 될 거다’, 경제 전문가가 된 후에는 ‘당신은 최고의 학자가 될 거다’라고요.
부부는 서로를 ‘동지’라고 표현합니다. 늘 서로에게 할 말이 넘친다고 입 모아 말합니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동지가 하루에도 몇 번씩 ‘당신은 최고다’라는 말을 해 준다면, 그런 말을 몇 십 년 동안 듣는다면, 자기 확신과 자신감이 생기고, 그 힘이 어떤 역경이 닥쳐도 이겨낼 수 있는 자양분이 되지 않을까요?
지금의 공병호 박사가 있기까지 아내 서씨의 ‘플라시보 내조’가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공 박사 자신도 아내의 ‘긍정의 힘’을 인정합니다. “두 아들에게 항상 ‘인생 행복의 80%가 어떤 아내를 만나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한다”고 하더군요. 사진을 절대 안 찍겠다던 서 씨는 아들 같은 카메라 기자의 요청에 활짝 웃으며 렌즈 앞에 섰습니다. 그러고 보니 공 박사의 분홍 넥타이와 서씨의 분홍 자켓이 세트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