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기업 경영은 엘리트 임원이 경영 계획을 잘 수립해 사원들을 이끌고 관리하는 것이었다.

당시는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 계획적으로 공급만 해도 기업 경영이 수월하게 이루어졌다.하지
만 지금은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 아무리 값싸고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아도 시장이 이를 쉽게 소화해 내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2 0세기에는 소수의 엘리트가 계획을 수립해 다수를 이끌어 가는 관리 지향적기업 문화였다.하지만 이런 관리 문화로는 세계 일류 국가로 발돋움할 수 없다.이제는 조직 구성원 모두가 능동적
이고 자발적인 기업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리더십 역시 조직 내부 관리는 물론 조직 외부의 변화까지 면밀히 이해하고 대응해 조직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구성원이 한 뜻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해주어야 한다.


   지식 정보 사회의 리더십은 정보의 공유,비전의 제시,리더의 솔선수범이라는 세 가지 원칙에 기반한다.
  우선,리더십은 조직의 모든 일원이 조직의 정보를 비밀 없이 공유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기업의 경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등 경영 내용을 조직 구성원에게 모두 공개해 의구심,피해 의식을 해소하고 신뢰를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소수만이 기업 정보를 독점하는 것은 조직원의 반발심을 형성하게 하고 노동조합을 만들게 한다.그리고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기업의 위기 상황을 모두 공감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두 번째 비전 제시는 조직원 모두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국가 조직,기업 조직의 비전은 멋진 캐치프레이즈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조직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이 해야할 바를 잘 제시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솔선수범은 중요한 리더십의 덕목이다.‘Follow me ’가아닌 ‘L e t ’s go ’의 솔선수범은 존경받는 리더로 구성원의 공감대를 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경영 혁신을 위해 기업 문화로강조되어야 할 항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항상 공부하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우선 귀를 열어 남의 말을 귀담아 듣고 공부하는 마음가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사장은 지시만 하고 사원은 시키는 대로만 하는 전근대적 관습에서 벗어나 사장과 사원이 라운드테이블에 둘러앉아 동등한 입장에서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한다.더불어 폭넓은 독서를 통해 사회를 이해하고 생활의 지혜를 얻어 기업 경영과 업무 내용에 유용한 자산을 쌓도록 한다.
   둘째,일을 사랑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Karl Hilty는 그의 『행복론 』에서 ‘행복하고 싶으면 무엇보다 일하라 ’고 했으며,불경은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一日不作,一日不食)’고
했다.성공하는 사람은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이다.Jeffrey Pfeffer는 저서『Human Equation 』에서 高성과 경영을 위해서는 몰입과 헌신이 요구된다고 했다.
   셋째,인간 존중 문화가 필요하다. 조직 경영에 있어 전략 경영,기술 경영 등 다양한 방식이 거론되고 있으나 최고의 전략과 기술만으로는 으뜸 기업이 될 수 없다.그러한 전략과 기술을 행사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인간 존중 경영이 이루어져야 한다.대표적으로 『삼국지 』의 유비는 인간 존중 경영을 통해 전략을 가진 제갈공명,기술을 지닌 관우, 장비 등과 돈독한 인간 관계를 가짐으로써 천하를 호령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상 변화에 도전하는 기업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 청년기에는 젊음과 열정으로,장년기에는 노련함과 포용력으로 새로운 일을 기피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이러한 도전 정신은 언제나 공부하는 습관으로 자신을 키워가야만 가능하다.


   끝으로 기업 경영은 전략 수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략 수행으로 이어져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