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능은 영원히 불가능으로 남아 있을까요?
그리고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완벽에의 충동>(정진홍 지음)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1마일은 1,760야드로, 약 1,609미터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반세기 전만 해도 이 1,600미터를 4분 안에 달리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졌다고 합니다.
인간의 능력으로 볼 때 400미터 트랙 네 바퀴를 4분 안에 달리는 것은 죽음에 도전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이 수치는 너무도 완벽함을 지녀서 마치 “신이 인간의 한계로 설정해 놓은 것 같다”고 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당시의 통념으로는 1,600미터를 4분 안에 달리면 결국 인간의 폐와 심장이 파열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였습니다.
그리고 그 정도의 심한 스트레스와 긴장이 가해지면 뼈가 부러지고 관절이 파열되며, 근육과 인대, 힘줄이 끊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인간이 1,600미터를 4분 안에 달리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그것은 결코 넘을 수 없는 하나의 거대한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장벽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 불가능한 일을 가능으로 바꾸며 정복한 사람이 있습니다.
그는 영국의 로저 배니스터였습니다.
세계 최초로 ‘1마일 4분벽’을 깬 로저 배니스터는 영국의 아마추어 육상 선수이자 옥스퍼드대학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한
의대생이었습니다.
그는 의대생답게 인간이 견뎌낼 수 있는 최대의 고통과 최고의 라스트 스퍼트(Last Spurt: 결승점을 향한 최후의 역주)
방법을 연구했습니다.
100야드 단거리 경주나 마라톤과 달리 1마일 경주를 위해서는 스피드와 스태미너가 최대한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만 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로저 배니스터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육상 1,500미터 종목의 유력한 우승 후보였습니다.
하지만 그의 성적은 예상을 깨고 기대에 못 미친 4위에 그쳤습니다.
만약 그가 이 경기에서 우승했더라면 그는 아마도 ‘1마일 4분벽’을 깨는 도전에 나서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헬싱키 올림픽에서의 패배를 맛본 그는 새로운 도전을 하기로 결심하였습니다.
그것은 1마일을 4분 안에 달리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도전은 2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1954년 5월 6일, 25세의 로저 배니스터는 1마일 경주에 참여하여
죽기를 각오하고 뛰었습니다.
1마일을 4분 안에 주파하려면 트랙을 네 번 60초 안에 돌아야만 했습니다.
그렇게 돌다가 심장이 터질지도 모를 일이었지만 그는 마침내 네 바퀴 완주를 해냈고, 그의 기록은 3분 59초 4였습니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마의 4분벽을 돌파해낸 것입니다.
그런데 기적같이 놀라운 일들이 그 다음부터 줄줄이 뒤를 이었습니다.
로저 배니스터가 4분벽을 깨자 잇달아 다른 선수들도 4분벽을 돌파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로저 배니스터의 역사적 기록이 있은 지 한 달 만에 무려 10명의 선수들이 4분벽을 돌파했고, 1년 후에는 37명이,
그 후 2년 만에 무려 300명으로 숫자가 늘어났습니다.
그렇다면 1954년부터 인류가 갑자기 빨라지기라도 한 것일까요? 아닙니다.
인간이 마의 4분벽을 차례로 정복한 것은 생각의 장벽을 허물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즉 능력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생각이 없었다는 것입니다.
결국 인간의 한계는 육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심리적 장벽 그 자체였던 것입니다.
현재 1,600미터 기록은 모로코의 ‘히참 엘 구에로’라는 선수가 세운 3분 43초 13이라고 합니다.
반세기 전 인간이 결코 넘볼 수 없는 영역이라고 치부되었던 1,600미터 4분의 벽은 이제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업계 1위의 벽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지 ‘우리가 할 수 있을까?’ 하는 마음의 장벽만 존재할 뿐입니다.
우리는 모두에게 능력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 능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는 것은 생각이 굳어 있기 때문입니다.
변화를 하려면 생각을 깨야 합니다. 안 된다고 하는 생각은 과감히 깨어 버리고 늘 새로운 도전에 나서야 합니다.
결국 진정한 리더는 생각하는 사람이며, 생각하는 리더가 전체의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지난 2002년 6월, 대한민국이 월드컵 4강에 오르리라고 생각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월드컵 4강에 오르자 사람들은 이를 가리켜 ‘신화’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현실’이었습니다.
우리에게 신화는 없습니다. 오직 도전과 현실이 있을 뿐입니다.
도전에 승리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환경이나 능력이 아닌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 장벽’을 깨야 합니다.
우리 회사의 제도는 동종업계의 어느 회사보다 사업자들에게 유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든지 업계 1위를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마음의 장벽을 허물고 도전의 출발점에 서는 순간, 우리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끊임없이 도전하십시오. 마음의 장벽을 허무는 사람만이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모두 항상 도전의 출발점에 서서, 마음의 장벽들을 허물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