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소룡의 철학

●`앎'만으로 그쳐서는 안된다. 필히 응용할 줄 알아야 한다.

● 마음만을 가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필히 실천하여야 한다.

● 나는 절대로 내가 천하제일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내가 제 2라고 승인하지도 않는다.

● 가장 간결하면서도 유용한 것을 놓쳐서는 안되다. 여러가지를 빠짐없이 배워야한다. 복잡한 것이라고 해서 반드시 유용하다고 할수는 없다. 심지어 그것이 전혀 쓸모없는 것일수도 있다. 그러므로 단순한 것으로 부터 심오한 것으로 파고들어 통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어떤 사람이 이소룡에게 당신의 관(도장)에서는 어떤사람들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있느냐고 묻자 그가 대답하길;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인다. 어떤 사람들은 살을 빼기 위해 들어왔고 어떤 사람들은자기방어술을 배우고 싶어 들어왔다고도 한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로는 여기에오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직접적인 동기는 역시 일종의 허영심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쿵후가 외래적인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은 선과 타좌를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나 나의 생각은 그와 다르다. 아름다운 것을 배우려면 차라리 현대무용을 배울 것이지 권수나 타좌를 배운들 무슨 소용이 되겠는가? 그들이 상기해야 할 것은 "쿵후는 투사를 위한 것이지 중을 위한것이 아니다" 라는 것이다. 허리를 굽혀 인사하고 각자가 폼이나 잡는다는 것은 너무나 형식적인 것이다.

소위 말하는 방신쿵후(방어쿵후)가 그것인데 마치 물가에서 수영을 배우는 것과 다름이 없다. 비록 여러가지 기술을 배웠다하더라도 물에 뛰어들지 않으면 이 모든것이 쓸모 없는 것이다. 관(도장)에 모여든 사람들은 한번도 싸워보지 못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단지 3cm 두께의 목판이나 아니면 몇장의 벽돌이나 격파해 보고 싶을 뿐이다. 이러한 여러가지가 실질적으로 싸우는데 조금의 도움도 될리 없건만 왜들 그것에 집착하는지 모를 일이다."

● 이소룡은 사람들이 쿵후의 이름을 빌어 대중앞에서 격파술을 보여줄때면 가끔 못마땅한듯이 "저런것이 쿵후와 무슨관계가 있지?" 라고 내뱉곤 했다.

●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숙련시키고 그렇지 못한것은 포기해라.

● 생명이란 잡다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영원히 멈추지 않으며 부단히 절도 있게 움직이는 반면 쉴새없이 변화하기도 한다.

● 만약 당신이 서양복서, 쿵후를 하는사람, 가라데맨, 씨름을 하는사람, 내지는 유도가 등등의 관점에서 어떤 격투광경을 지켜볼 경우, 이격투의 전체적인 것을 보기는 어렵다. 오직 당신이 문파관념을 배제해 버릴 때에야만이 그것을 명확히 관찰할 수 있을 것이며 `좋다` 또는 `싫다` 라는 주관적인 생각을 버리고 눈으로만 볼 때 당신은 그격투의 전체적인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우자가 지자의 대답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고 말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지자가 우자의 물음에서 더 많은 것을 얻는다는 것이 옳다.

● 어떤 일을 철저히 끝내려면 그것엔 반드시 희생정신이 뒤따라야 한다.

● 자기 극복이 끝났을 때가 성공의 시작이다.

● 진실로 중요한 것은 배워 얻은 내용이 아니라 배워서 얻는 방법, 그것이다.

● 비관주의는 오직 해로울뿐 이로울것이라곤 아무것도 없다.

● 육체는 겉모양이고 성격은 그의 영혼이다.

● 낙관주의는 사람으로 하여금 영광의 길목에서 앞서게 인도해 주는 성경이다.

● 목표의 도달은 종점이 아니라 기점인 것이다.

● 오직 정신을 집중시키며 노력하며, 태만을 떨쳐버리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 무슨 일이든지 심히 고려할 뿐, 행동에 옮기지 않으면 성취 하기 어렵다.

● 성공하려는 이는 반드시 어떻게 싸우고, 어떻게 인내해야 하는가를 배워야 한다.

● 내일 들통날일이라면 차라리 오늘중에 말하여 밝혀버려라.

● 만약 아는것이 힘이라면 인격은 곧 존엄이다.

● 배울 뜻을 품은 사람이면 대개 창조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

● 인간에겐 반드시 실패를 승인할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

● 어떤 일에 대하여 불가능 하다고 생각하고 행하기를 두려워 하는 것은 곧 한가지 일도 이루지 못함을 뜻 하는것이다.

● 다른이들이 어리석은 일이라고 여기는 것을, 당신이 온갖노력을 쏟아 해나가노라면 언젠가 반드시 그것을 중히 여겨 당신의 성과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다.

● 인생에서 가장 진귀한 것은 시간이다. 인생이란 바로 시간과 싸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 인내란 소극적이고 무기력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며 강렬한 것으로 저항하는 것이다.

● 사랑이란 불붙는 우정과 흡사하며 아름답고 뜨겁지만, 단지 반짝이는 불빛에 불과하다. 사랑이 무르익을 때 마음도 무르익으며 마치 석탄이 타듯이 깊은 곳으로 부터 불타오르며 영원히 꺼지지 않는다.

● 한 색채가 없는 물건을 봤을 때, 사람들은 그 물건의 색채가 곧 자신의 소망과 부합되는 것이라고 느낀다. 그가 빨간색을 좋아하는 경우라면 그것이 빨간색이라고 여겨지고, 그가 노란색을 좋아한다면 그것이 곧 노랑색으로 느껴질 것이다.

● 한 사람이 일생의 정열을 쏟아 예술을 연구할 때 비로소 성과를 얻을 수 있으며 최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자유는 가장 고귀한 것이다. 인간은 이것을 잃었을 때에야 자유의 중요성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그러기에 인간의 의식이 존재하는 한 가능하면 이 자신의 자유를 마음껏 이용해야 한다.

● 인간을 가장 고뇌하게 만드는것은 `선택`이다. 이런 상황에 처했을 때엔 자기의 애증을 마땅히 포기해야 한다. 그리고 자연에 순종해야 한다. 천국과 지옥사이에 줄이 한가닥 가로놓였을 뿐이다. 만약 당신이 `진리`가 출현되길 원한다면 함부로 `반대`해서는 안된다. 그렇다고 고의로 `동의` 해서도 안되며 다만 객관적인 평가만이 존재할 뿐이다. `찬성`과 `반대`ㅡ 이것은 인류의 의식중에서 가장 큰 장애물 이다.

● 지혜란 좋은것을 나쁜 것으로 부터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나쁜 것을 좋은것으로 가려주는 것이다.

● `예술`의 존재에는 필히 `창조자`와 `감상자`라는 두 요소가 있어야 한다. 예술과 미학은 비록 상이한 점이 있긴 하나 그 원류는 같은 것이다. 바꿔 말하며 예술과 아름다움은 모두인간에게 정신적인 쾌감을 안겨주며 동시에 인간의 정신적인 결함을 보충해 주는 것이다.

● 無芸衡의 예술이 가장 고도의 예술이다. 이에 비춰볼 때 예술은 특별한 장식이 필요치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술작품은 예술가의 영혼에 의해 산출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영혼의 예술이라고 할 수 있고 무술을 연습할 때의 모든 거동은 예술의 정화인 것이며 이모두가 미적 세계를 이루는 한 요소인 것이다.

● 만약 어떤사람이 '예술가의 영혼이 예술을 창조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그 예술가의 영혼은 무엇으로 부터 그 예술적 영감을 얻을까요?'라고 물어온다면 다음과 같이 대답할 수 있지 않을까? '영혼의 깊은 곳에 존재하는 공허로 부터 얻어냅니다.' 라고...

● 한 학생은 다른 한 사람, 즉 지도자가 되기전에 우선 모호한 개념들을 필히 버려야 한다.

● 예술은 인생의 결함을 보충한다. 예술은 단순히 정신, 영혼 및 의식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한발 앞서 예술은 인류의 사상, 감각, 소망 등등의 일반적인 사유를 표현해서 생명의 선율을 창조한다. 예술가는 '소리없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소리들은 생을 조화롭게 한다.

● 예술가의 예술은 부단히 예술가의 영혼의 의식을 반영한다. 그러나 완전한 미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완전미의 예술은 오직 인간의 영혼에서 발달할 뿐이지 어떤 형식이나 형상으로 표현할 수는 없다.

● 예술의 활동은 정지된 것이 아니다. 이것은 각종 예술에 깊이 들어갈 수 있을 뿐더러 상이한 예술을 혼합시킬 수 있어서 그 예술들로 하여금 공허중에서 조화와 충돌을 일으키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