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짜 멋진 남자가 되는 법 ㅣ 라임 청소년 문학 7
벤 데이비스 지음, 마이크 로워리 그림, 서지연 그림 / 라임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가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처한 상황이 너무 안타깝다는 생각과 동시에 외국을 동경하곤 하는데 이런 책들을 읽어보면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비슷하다는 생각에 그나마 위안이 된다. 물론 풀어가는 방식은 다를지 모르지만 청소년들이 겪는 고충은 비슷하니까.
솔직히 조와 같은 상황이라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까 의아할 정도다. 어디나 게빈과 같은 학생이 있다고 하지만 괴롭히는 양상을
보면 당하는 사람이 얼마나 괴로울지 짐작이 간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대개의 아이들이 그런 상황이라면 정신적인 스트레스 때문에 공부를 못 할
텐데 조는 할 게 없어서 공부만 한다는 점이다. 즉 공부라도 잘 하니 다른 아이들에게 무시는 당하지 않는 것. 뭐, 보아하니 이 책의 배경이
되는 곳은 우리와 달라서 성적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진 않는 것 같긴 하지만 적어도 무시는 당하지 않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그런데 조가 하는
행동을 보면 좀 상황 파악을 못 하긴 한다. 뒷표지에 있는 것처럼 장점이 입바른 소리를 하는 것이지만 문제는 지나치게 입바른 소리를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결국 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이고.
일부러 조를 쫓아다니며 괴롭히는 것처럼 보이는 게빈과 한 집에서 살게 된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 조의 마음은 어땠을까. 원수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더니 그야말로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은 느낌이었을 테지만 그래도 조는 슬기롭게 상황에 대처했다. 물론 좀 지나친 장난을 치긴
했어도 게빈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모로 노력하는 것을 보면 앞으로는 게빈과 동등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리라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사실 게빈도 알고 보면-언제나 그렇지만-심성이 못 된 아이는 아니다. 환경이 그렇게 만들었을 뿐이지. 그리고 항상 하는 생각이지만 조의 엄마는
아들의 상황을 너무 모르는 것 같다. 마찬가지로 게빈의 아빠도 게빈이 어떤 아이인지, 몰라도 너무 모른다. 결국 어른들은 둘의 문제를 끝까지
모른 채 스스로 해결하는 방식을 취한다. 현실에서도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 내지는 여기 청소년들도 그럴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설마, 스스로
해결하는 게 하나도 없지는 않겠지. 내가 우리의 상황을 지나치게 비관적으로 본 것이었으면 좋겠다. 우리도 스스로 해결하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는 것을 내가 모르는 것이겠지.
그나저나 이 나라는 청소년들에게 육아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교육 방식에 놀랐다. 남녀가 한 조가 되어 아기 인형을 돌보는
방식이라니. 아기가 취하는 모든 행동이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인형을 가지고 직접 느끼도록 한다는 방식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부모교육을 청소년
시기부터 시켜야 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여기는 제대로 교육하고 있었다. 외국 동화를 읽다 보면 그들의 생활방식을 아는 것과 더불어 이처럼 교육이나
문화에 대한 것도 알 수 있다. 그들은 사소한 사건으로 치부하는 것일지라도 작은 것에서 감동받고 고개를 끄덕이는 이런 독자도 있다는 것을 작가는
알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