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은 가우디다 - 스페인의 뜨거운 영혼, 가우디와 함께 떠나는 건축 여행
김희곤 지음 / 오브제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초에 터키를 다녀오고 난 후 다음 여행 장소로 점찍은 곳이 스페인이다. 그 이야기를 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슨 텔레비전 프로그램 때문이냐고 묻는데 전혀 아니다. 우리집은 딱 네 개의 채널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그런 프로그램이 있는지도 몰랐다. 하긴 터키를 갈 때도 그런 이야기를 들었더랬다. 난 그냥 순수하게 터키를 다녀왔을 뿐이고 다음은 스페인을 가고 싶을 뿐이다.

 

  스페인을 간다면 당연히 가우디의 건축물을 보고 싶을 테고 보고 올 것이다. 스페인 여행에서 가우디를 빼놓을 수 없을 테니까. 가우디에 대해 알게 된 것은 오래 전 아이들 책을 통해서다. 간단하게 설명된 책이었지만 어찌나 강렬한 인상을 받았던지 그 후로 절대 잊지 못하는 이름이 되었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자연물을 본따 건물을 짓고 곡선을 이용해 지었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보여주기 위한 건물이 아닌 사람이 살기 위한 집을 지을 때조차 곡선을 이용했다니 얼마나 기발한가 말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그런 곳에서 사람이 살고 있다니.

 

  이 책을 통해 가우디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아무래도 건축가가 본 건축가 이야기이므로 우리가 보는 것과는 다른 눈으로 보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지금의 스페인이 가우디를 통해 얻는 관광수입을 보며 가우디라는 인물을 키워낸 스페인이 대단해 보였지만 그 내막을 들여다보니 가우디라는 인물이 있어서 스페인에게 큰 행운이었을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작 시 당국은 카사 밀라가 규정을 어겼다는 이유로 철거 명령을 내렸고(물론 가우디는 따르지 않았다.) 벌금을 내라고 했다지 않은가. 하긴 불법으로 도로를 점거하고 3년이나 공사를 강행한 가우디의 고집도 보통은 아니다. 나중에는 카사 밀라의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여 시정명령을 취소했다고. 게다가 밀라 부인은 가우디가 죽은 후 실내를 로코코 양식으로 바꿔버렸다고 한다. 원래 의뢰인의 취향과 주변 환경, 역사 등을 고려해서 건물을 짓는다는 가우디의 방식이 밀라 부인에게는 맞지 않았던 것인지, 아니면 밀라 부인의 사고가 지나치게 경직됐던 것인지 모르겠지만 후세인인 지금의 우리가 보기에는 밀라 부인이 시대를 읽지 못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언젠가 누군가의 칼럼에서 우리네 서울의 건물들은 주변의 건축물과 전혀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는 글을 읽은 기억이 난다. 혼자만 잘났다고 우뚝 솟은 건물이 아니라 주변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느냐가 중요하다는 얘기다. 그런 면에서 가우디는 진정한 건축가가 아닐런지.

 

  터키를 다녀와서 그와 관련된 책을 꽤 읽었다. 다녀온 후 기억을 되살려가며 읽는 맛도 좋지만 다음에는 가기 전에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에 지금은 스페인에 대한 책을 열심히 수집하고 있다. 2년 후에 가려고 마음 먹고 있는데 잘 될지는 모르겠다. 언젠가 지인에게 터키에서 찍은 사진을 나는 무척 뿌듯하고 감동적인 기분으로 보여줬더니 그런다. '나는 그냥 책에서 보는 사진이랑 별반 차이가 없어.' 이 책에도 사진이 많이 나오지만 내가 그 사진을 보는 느낌이 딱 그만큼일 것이다. 사진으로 보는 것과 실제 눈으로 보는 차이를 말해 무엇하랴. 여행은 보는 것 이상으로 그 곳의 공기와 바람과 햇살을 몸으로 느끼는 것이다. 내가 아직도 에페소의 바람과 공기를 기억하고 파르테논 신전의 따스했던 햇살을 기억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냥 유명하고 위대한 건축가라고만 알고 있던 가우디의 건축인생을 그가 지었던 건축물 순서대로 살펴보며 다양한 에피소드를 곁들여 재미있게 들려주는 책이다. 그래서 쉽게 잘 읽힌다. 물론 사진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가우디가 위대하긴 하지만 건축비 때문에 고민하고 고집불통에 부자들의 건물만 짓는다는 비아냥을 듣기도 하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생각에 더 인간미가 느껴진다고나 할까. 그런데 오타가 많고 급하게 펴냈다는 느낌이 든다.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꼼꼼하게 편집을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