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냐오의 백합계곡 중국 아동문학 100년 대표선 2
차오원쉬엔 지음, 전수정 옮김, 이철민 그림 / 보림 / 2013년 6월
평점 :
품절


  어린이 책을 무수히 만나면서 영미권이나 유럽의 작가들은 이름만 대면 작품 이름이 술술 나올 정도가 되었지만 중국의 작가는 오직 한 명만 기억난다. 바로 차오원쉬엔. 그렇다고 특별히 감동을 받았던 기억은 별로 없다. 배경이 우리랑 비슷한 듯하면서도 이질적인 듯해서 상상하기 쉽기도 했지만 유럽의 동화책을 읽을 때만큼의 동경은 없었다고나 할까. 게다가 중국인들의 생활모습이나 정치 사회적 수준이 그다지 높다고 생각되지 않기 때문에 덩달아 아동문학 수준도 낮게 여겼던 게 사실이다. 특히 그동안 만났던 중국 작가-특히 이 작가-의 작품이 문화혁명을 배경으로 하거나 낙후된 의식수준을 드러내는 책들이었기에 더 그랬는지도 모른다. 주인공이 현실과의 치열한 고민 끝에 성장한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 않고 그저 생활모습을 잔잔하게 그리고 있다고 느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며 한 단계 발전된 중국의 아동문학을 만난 듯했다.

 

  우리와 연관되지 않은 중국의 역사를 잘 모르기 때문에 이 책의 시대적 배경을 언제로 상정해야 할지 몰라 헷갈렸지만 읽으면서 그런 것은 별로 문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약간의 판타지와 현실의 절묘한 조화, 주인공이 여행을 떠나면서 차츰 성장하는 모습 등이 그동안 만났던 이 작가의 작품들은 물론 다른 중국 작가의 동화와는 달랐다. 물론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처음에는 현재를 배경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옛날을 배경으로 한 것인지 몰라 상상하는데 약간 헤매기는 했다. 말을 처음 보는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현대는 아닌 것 같고, 그렇다고 옛날이라고 하기에는 생활모습이 근대적이라 그때그때 연상되는 모습을 따라야했다. 하긴 그런 것은 책을 읽고 이해하는데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이런 판타지 요소가 들어간 책에서는 더욱 더.

 

  이 책은 한 마디로 흰독수리 발에 묶여 있던, 즈옌이라는 소녀가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읽고 어딘지 모를 곳으로 즈옌을 구하러 가는 건냐오의 대장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꿈속에서 즈옌이 살고 있는 곳을 본 건냐오는 그것이 단지 꿈이 아니라고 단정한다. 더구나 천에 쓴 편지까지 있지 않던가. 그러나 사람들은 건냐오의 말을 믿으려 하지 않는다. 확실한 것은 편지일 뿐 흰독수리도, 꿈도 건냐오의 환상이 만들어낸 일종의 몽상일 뿐이라고 일축해 버린다. 건냐오의 아버지도 처음에는 믿지 않지만 결국 아들이 떠나도록 허락한다. 백합이 많이 피어있던 꿈의 모습에 의지해 백합이 핀 협곡을 찾아 무작정 떠나는 건냐오를 두고, 사실 독자도 제정신이라고 믿어주기는 힘들다. 서쪽으로 떠나면서 겪는 모험은 또 어떻고.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기 때문에 독자로서도 혼란스럽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건냐오의 모험은 더욱 흥미진진할 수밖에 없다.

 

  가는 곳마다 좋은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지만 여지없이 나쁜 사람도 만나 곤경에 처하지만 마찬가지로 신비한 조력자의 도움으로 그곳을 벗어난다. 여기에는 약간의 옛이야기적인 요소가 들어있다. 특히 하얀 말의 경우가 그렇다. 처음에  하얀 말을 얻게 된 경위도 그렇지만 그 후로 끝까지 건냐오의 수호신 역할을 톡톡히 한다. 하긴 옛이야기는 모두 환상성을 갖고 있으니까. 그러나 건냐오는 아무것도 안 했는데 조력자가 도움을 준 것은 아니다. 실패를 거칠 때마다 건냐오는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무엇을 잘못했는지 깨닫고 반성한다. 그래서 끝내 건냐오가 백합계곡을 찾아가고 그런 성취 못지않게 성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다. 어린이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안락한 집과 가족을 떠나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비록 나중에 다시 안락한 곳으로 돌아올지라도 일단은 떠나야 하는 것이다. 건냐오는 어린이에서 청년으로 변해가는 동안 계속 모험을 했다는 점이 보통의 동화와 다르지만 그의 여정만큼은 성장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완전한 판타지를 상상하지 못하고 현실과 비슷한 배경을 설정하거나 약간의 억지(힘들게 사막을 건넜다가 돌아와서 다시 떠날 때는 분명 같은 방향으로 갔음에도 사막이 나타나지 않아 의아했다.)로 의문이 남긴 했지만 지금까지 읽었던 중국의 동화책 중 가장 몰입해서 읽었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