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도로 간 따로별 부족 일공일삼 21
오채 지음, 이덕화 그림 / 비룡소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아이는 의논할 일이 있거나 상황을 알릴 일이 있으면 나한테 알린다. 한번은 그 일로 남편이 마음이 많이 상했다며 나에게 화를 냈다. 자세한 일은 기억이 안 나지만 중요한 일을 남편한데 알리지 않고 우리 둘이 의논했다는 요지였다. 남편 입장에서는 어떤 일이 있을 때 나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지만 남편은 모든 일을 뒤로 미루고 아이들이 요청한 일을 처리하는데 왜 아이들은 아빠보다 엄마를 더 찾느냐는 불만이었던 셈이다. 가만 생각해 보니 나조차 지금도 아빠한테 전화하는 것은 용건이 있을 때뿐이고 엄마한테는 그냥 소소한 일상 이야기도 많이 하는 걸 보면 대개의 사람들이 그런 게 아닐까 싶다. 남편 입장에서는 배신감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말이다.

 

  이렇듯 아빠와 사이가 좋은 집보다 엄마와 사이가 좋은 집이 훨씬 많아 보인다. 준이네도 마찬가지다. 어찌보면 보통('평균적인'이라는 표현을 쓰고 싶지만 아빠와 사이가 좋은 가정에서 불편해할까봐 조심스럽다.) 가정의 모습이라고나 할까. 아빠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한다는 무게감에 쉬는 날도 없이 회사를 나가지만 과연 그것은 누구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이었을까. 요즘 젊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는다지만 중년 이상의 남자들은 모두 그런 식으로 살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다 나중에 부인과 자식들이 아빠와 서먹해하고 함께 한 시간이 적다고 불평하면 배신감을 느끼는 것이겠지. 준이네 아빠가 딱 그런 식이다.

 

  그러나 준이 엄마가 마련한 캠프에 간 후로 많이 변했다. 하긴 변하지 않았다면 이런 동화가 만들어지지 않았겠지만. 솔직히 준이 아빠는 보통의 기준을 들이대더라도 좀 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뭐, 준이 아빠 입장에서 이야기가 서술된다면 나름대로 할 말이 있겠지만 이 책에서는 준이가 서술자니까 우리는 준이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밖에 없다. 무인도에 가서 감자 세 개를 식량으로 받은 것조차 아들에게 양보하지 않고 혼자 두 개를 홀딱 먹어버리는 아빠를 보고 누가 아빠에게 면죄부를 주겠냐 말이다. 돌이켜 보면 우리 아빠는 당신 먹고 싶어도 안 먹고 우리에게 주셨는데 남편은 안 그렇다. 말로는 애들 먹으라고 잘 못 먹었다는데 자기가 진짜 좋아하는 음식이라면 양보하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 그런 면에서 준이 아빠는 보통의 아빠 모습이라고 해야 하는 것인지. 어쨌든 무인도에서 원시적인 생활을 하는 동안 둘은 서로 상대의 마음을 알게 되고 그동안 서먹했던 벽이 허물어지기 시작한다.

 

  이런 책은 아이가 읽는 것보다 아빠들이 읽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내가 동화를 읽으며 아이들을 많이 이해하게 되었듯이 다른 어른들도 그런다면 얼마나 좋을까. 한 가족이 같은 책을 읽고 직접 이야기 나누지는 않더라도 무언가 공감대가 형성된다면 가족끼리 이해의 폭이 훨씬 넓어질 것이다. 말하지 않아도 안다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경험할 수 있을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