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펫에 숨겨진 비밀 쪽지 마음이 자라는 나무 33
조르디 시에라 이 파브라 지음, 배상희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한창 문학 고전을 읽던 중에 잠깐 틈을 내서 이 책을 읽었다. 마침 다양한 국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읽던 참에 이 책 또한 인도라는, 어린이 문학작품에서 만나기 쉽지 않은 나라를 배경으로 하는 책이라서 읽으면서도 내가 지금 고전을 읽고 있는 건지 어린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인지 잠시 헷갈렸다. 게다가 고전도 사회적 모순을 신랄하게 꼬집는 책이었는데 이 책마저 그러니 헷갈릴 수밖에.

 

  어렴풋이 이크발이라는 이름을 들은 기억이 난다. 여기서는 이크발이 카펫에 도움을 요청하는 쪽지를 숨겼고, 그것을 발견하면서 노예 노동에 처한 아이들을 구출하는 이야기가 펼쳐진다. 물론 그것은 작가가 설정한 것이겠지만 충분히 그럴 수도 있겠다. 커다란 가게를 운영하며 카펫과 기타 관광용품을 팔고 있는 곳 한켠에서는 어린 아이들이 하루 종일 카펫을 만든다고 누가 생각이나 할까. 기자이면서 다양한 비정부기구에 기금을 내는 알베르토가 쪽지의 존재를 알게 되자 그냥 넘기지 못하고 혼자 아이들을 구출하러 간다. 현실에서도 이런 게 가능하면 얼마나 좋을까. 어린이 노예노동의 현실을 고발하는 활동을 하는 이크발을 버젓이 총으로 암살하는 현실에서 알베르토 같은 사람이 구출하는데 성공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인도 사람들이 아동인권을 몰라서가 아니라 관심을 갖지 않아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 게다. 관심을 갖고 있다손 치더라도 사회적 정치적으로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뒷거래가 가능하기에 이런 일이 근절되지 않는다.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어처구니 없지만 그들로서는 별로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일 테니 답답하다. 더구나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아이들을 강제로 데려가는 것이 아니라 부모들이 자기의 아이를 판다고 하니 이 얼마나 기가 막힌가 말이다. 그들 중에는 알면서도 사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아이를 파는 경우도 있지만 돈을 벌게 해준다니까 별다른 의심없이 보내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시작이야 어찌됐든 불쌍한 건 어린이들이다.

 

  어린이 노동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기억한다. 그동안 이것을 소재로 하는 책도 몇 권 읽었지만 내가 주변에서 맞닥뜨리는 문제가 아니니 읽을 때 뿐, 금방 잊어버린다. 축구공이 어린이가 만든 것이라고 해서 문제가 되었다가 지금은 어느 정도 해겨된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내가 모르는 곳에서 여전히 어린이들이 만들고 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국제축구연맹에서 그런 축구공을 사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문제는 개인적으로 이루어지는 어린이 노동에 대해서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어보인다는 점이다. 이 책에서처럼 카펫을 만드는 어린이들을 보호 혹은 구제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만든 카펫을 사지 않으면 될까. 그렇게 간단한 문제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책을 읽으면 더 답답해지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특별한 대책이 없다는 것. 그래도 아예 모르고 있는 것보다 현실이 어떤지 알고 있으면 언젠가는 바뀔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라고 위안 삼는 것으로 답답한 마음을 달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