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우드 클리닉 아이들 마음이 자라는 나무 30
테레사 토튼 지음, 김충규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가 초등학생이었을 때 중고등학생 학부모, 심지어 대학생을 둔 학부모를 보며 부럽다고 하자 차라리 어렸을 때가 훨씬 마음 편한 것이라는 얘기를 했었다. 당시는 설마했는데, 이제 우리 아이들이 청소년이 되고 보니 그게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간다. 그러면서 초등학생 자녀를 둔 사람들이 나보고 다 키워서 부럽다는 이야기를 하면 나도 모르게 예전에 내가 들었던 그 말을 하면서 거기다 한마디 덧붙인다. 고민의 깊이와 무게가 다르다고.

 

  이런저런 일도 많았고 중요한 결정을 할 일이 많아서 유난히 정신없었던 방학을 보내고 나자 남편이 그런다. 만약 우리가 아이를 키우지 않는다면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무엇을 하며 살까라고. 글쎄, 아이가 없다면 고민의 종류가 달라졌거나 양이 줄어들었을지 모르지만 남편이나 나나 동의하는 부분이 있으니, 그건 바로 아이를 키우면서 우리도 성장한다는 점이다. 심지어 나는 사람들과 이야기 나눌 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이렇게 말한다. 아이 키우면서 사람 됐다고.

 

  흔히들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부모가 어디 있겠느냐고 이야기하지만, 간혹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물론 마음이야 안 그렇겠지만 어쨌든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말이 그런 생각을 하게끔 한다. 비록 소설이지만 이 책의 대니의 아빠도 그런 사람이 아닐런지. 아니 어쩌면 대니의 아빠는 적어도 자식이 잘 하길 바라는 욕심이라도 있지, 스크래치의 엄마는 도무지 이해가 안 간다. 어떻게 자신의 딸에게 몹쓸 짓을 한 사람을 남편으로 계속 인정하며 살 수 있을까. 게다가 스크래치가 정신병원에서 없어지자 소송을 하겠다고 길길이 날뛰는 새아빠의 행동은 인간이기를 포기한 사람의 행동이라고밖에 설명할 수가 없다.

 

  동생인 켈리에게 집착하는 대니나, 켈리 이야기만 나오면 뭔가 어색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케빈과 스크래치를 보며 켈리에게 뭔가 비밀이 있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었다. 동생의 죽음이 자신 탓이라고 생각하고, 아니 직접적인 관련은 없더라도 자신이 받았던 관심을 동생이 받을까봐 동생을 시기했던 자신을 용서하지 못하는 대니는 점점 더 현실에서 도피하려고 한다.(이처럼 가족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괴로워하는 이야기가 청소년 소설에는 꽤 있다. 엄마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계속 방황하다가 결국 엄마의 무덤을 찾아가는 이야기인 <두 개의 달 위를 걷다>와 아빠의 죽음을 인정하지 못하는 <내 이름은 망고>가 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사실이라 읽으면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난다. 이 소설들은 주인공이 방황하는 이유가 죽음인데 반해 <리버우드 클리닉 아이들>에서 죽음은 하나의 단서일 뿐이다.) 켈리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는 모습을 보며 혹시 아빠가 학대했던 것도 대니의 상상 속에서 일어났던 일이라고 생각했으나(아니 그렇게 믿고 싶었으나) 그건 아니라는 사실을 알고 더 착잡했다. 간혹 밖에서는 훌륭한 사람이라고 칭찬받는 사람이지만 가족에게는 폭력을 휘두르는 사람 이야기를 듣긴 했지만 직접 본 적이 없어서 여전히 믿기지 않는다.

 

  그래도 사람은 나름대로 자기치유 능력을 갖고 있어서인지 대니는 엄마와 새로운 출발을 준비하고 스크래치는 원래의 이름을 되찾는다. 이름을 되찾는 게 별 것 아닌 일 같지만 아주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는 자신을 괴롭히지 않고 열심히 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니까. 케빈은, 남의 이야기라서 그런지 부모가 너무 했다는 생각이 든다. 본인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성 정체성을 병인 것처럼 취급하니 얼마나 괴로웠을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들이 서로 자신의 길을 찾게 되었다는 점이다. 비슷한 상황에 처했거나 다른 고민이지만 힘들어 하는 현실의 청소년들도 이처럼 자신의 길을 찾게되었으면 좋겠다. 부디.

 

  수상이력을 줄줄이 달고 있는 책 뒤표지를 보며 처음에는 의미에 초점을 두었다고 생각했다. 원래 현실고발적인 작품이나 시대의 문제를 드러내는 작품이 호응을 얻곤 하니까. 그러나 문학에 대해 잘 모르므로 작품성이 있는지 없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책을 잡고 한번에 읽을 수밖에 없었던 사실을 감안하면 재미 또한 갖추고 있지 않았나 싶다. 재미와 의미를 갖춘 책이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