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 한 알로 정승 사위가 된 총각 방방곡곡 구석구석 옛이야기 16
배서연 엮음, 전갑배 그림, 권혁래 감수, 박영만 원작 / 사파리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어린이 책 모임에 나갔을 때 이 이야기를 가지고 그림자극 공연을 하는 걸 보았다. 물론 비슷한 이야기의 다른 판본이다. 워낙 옛이야기는 같은 이야기라도 여러 판본이 전해지기 때문에 똑같은지 아닌지를 따지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 이처럼 여러 판본이 존재하는 이유가, 이야기를 전달하는 사람이 잊어버리면 그 고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그래서 옛이야기가 재미있는 법이다. 똑같은 이야기라도 듣는 사람의 반응에 따라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기억이 안 나면 살짝 바꿔도 듣는 이는 알지 못하니 부담도 없다. 예전에는 이런 걸 미처 몰랐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사파리 출판사에서는 박영만 원작의 옛이야기를 꾸준히 펴내고 있는데 요 시리즈가 은근히 재미있다. 이미 알고 있는 것도 많고 이미 동일한 이야기가 다른 유명한 책으로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이들이 좋아한다. 딱히 그림이 멋지다거나 새로운 시도를 했다거나 그런 것도 아닌데 좋아한다. 지난 번에는 2학년들을 대상으로 1분기 동안 읽어준 책 중 가장 재미있었던 걸 뽑으라고 했는데 이 시리즈의 하나인 <붙어라 떨어져라>가 압도적인 1위였다. 그냥 사람한테 붙는 게 재미있고 똥을 쌌다는 게 웃긴 것이겠지만 책의 재미라는 게 뭐 별건가. 강하게 기억나는 부분이 있는데 그게 재미있으면 전부 재미있다고 느끼는 거지. 아직 이 책은 읽어주지 않았는데 이건 약간 강렬한 부분이 없긴 해도 좁쌀 한 알이 개가 되고 말이 되고 소가 되는 점층법이 재미를 더하지 않을까 싶다. 원래 아이들은 반복되는 걸 좋아하니까.

 

  좁쌀 한 알이면 웬만해서는 눈에 보이지도 않는데, 그걸 갖고 과거를 보러 가는 총각이나 그걸 맡아 주는 주막집 주인이나 특이하긴 하다. 그래야 이야기가 되니 일단 넘어가자. 다음 날 좁쌀 한 알이 남아있을 리가 없다. 쥐가 물어가지 않았더라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한 줌도 아니고 한 알이라니. 총각은 언제나 패기있고 당당하다. 나중에 정승이 총각의 소를 잡아갔다고 해도 굽신거리지 않고 당당하게 자기의 소를 내놓으라고 하니 꼿꼿한 성품의 총각인가 보다. 또 그걸 알아보는 정승도 보통 인물은 아니다. 여하튼 '그래서 이렇게 되었대요'의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다음에 어떻게 될지 대충 짐작이 가는데도 계속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즉, 옛이야기는 은근 중독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