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네 미술관 - 아름다운 우리 그림 우리 문화 상상의집 지식마당 6
강효미 글, 강화경 그림 / 상상의집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부터 우리 옛그림이 마냥 좋아지기 시작했다. 외국의 거대하고 섬세한 그림을 보며 감탄하는 것과는 별개로 우리 그림은 편안하고 정겹다. 그것이 바로 문화라는 것이겠지. 그런 문화 속에서 자랐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정이 가는 어떤 것.

 

  며칠 전에 간송에 관한 책을 읽으며 흠뻑 빠져 읽었던 기억이 난다. 이 책을 펼치면 나오는 <몽유도원도>를 보니 간송이 그 그림을 놓친 게 어찌나 안타까운지 모르겠다. 간송이라면 분명 그 그림의 가치를 모르지 않았을 텐데, 어떤 피치 못할 사정에 의해 현재 일본에 있는 안견의 그림, <몽유도원도>.

 

  이 책은 그렇게 다른 그림을 보기도 전에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본다. <황묘농접도>에 나오는 고양이와 제비나비가 밖으로 나와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그림을 보여주는데, 고양이가 어찌나 귀여운지 모르겠다. 원래의 그림과는 별개로 이야기가 있는 부분에 옛 그림속 인물들이 고양이에게 물을 주거나 반대로 다른 사람을 훔쳐보다가 고양이에게 혼나는 장면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대표적인 그림들을 모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작품이 낯설지 않다. 게다가 그러한 그림들은 여러 책에서 자세한 이야기까지 다루고 있어서 그런 책을 읽었던 사람이라면 여기에 있는 간략한 설명이 흡족하지는 않을 듯하다. 그러나 처음 접하는 이라면 충분히 재미를 느낄 만한 요소가 많이 있다. 특히 고양이와 나비가 직접 돌아다니며 그림 속 인물들과 대화하는 부분은 혼자 감상만 하는 게 아니라 대화하는 느낌마저 든다.

 

  창문을 열고 그 안에 있는 그림을 보는 것 같은 표지 그림과 은은한 바탕 종이, 그리고 고양이가 돌아다니며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구성에 빠져 나도 모르게 책장을 넘기고 있었다. 헌데 겉표지를 열면 나오는 속지 그림이 어딘가 이상하다. 처음엔 마치 미술관에서 그림을 관람하듯 가만히 보고 있는데 그제야 그 이상함의 정체가 무엇인지 깨달았다. 그건 바로 옛그림의 액자가 어색하다는 점이었다. 원래 우리 그림은 표구를 이런 식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림 작가가 의도적으로 미술관에서 그림을 관람하듯 느껴지도록 일부러 이런 액자로 그렸는지는 모르겠으나 어쩐지 안에 있는 그림과는 어울리지 않는 듯하다. 나만의 고정관념인지는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