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사는 게 뭐예요? 철학하는 어린이 (상수리 What 시리즈) 2
오스카 브르니피에 지음, 이효숙 옮김, 프레데릭 베나글리아 그림 / 상수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는 아무도 없는 산속에서 혼자 살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누구나 그렇겠지만 주변의 잡다한 일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때면 도피하고 싶은 마음이 들곤 한다. 그러다 실제로 산속에서 한 가족이 혹은 혼자 사는 사람을 볼 때면 과연 무슨 재미로 살까, 내지는 왜 그런 곳에서 사는 걸까 의아한 생각마저 든다. 즉 가끔 속세를 떠나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만 실제로 그러고 싶지는 않다는 얘기다.

 

  어차피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면 스트레스를 덜 받고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내가 어렸을 때는 적어도 지금처럼 삭막하지는 않았던 듯하다. 시골이라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었던 이유도 있었겠지만 기본적으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꽤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러나 요즘은 생활환경과 가정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데 초점을 맞추기보다 개인이 성공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됨으로써 타인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가 더 심해졌다,고 생각한다. 특히 요즘의 어린이들을 보면-물론 양육자가 그렇게 키워서 그렇겠지만-상당히 이기적인 경우가 많다. 하긴 어른들조차 이기적이고 역지사지를 못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들이 꾸려가는 가정의 아이들이 이기적인 것은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이런 세태를 푸념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내 아이부터 제대로 키우는 것이 대안이 되지 않을까. 그렇다면 어떻게? 그건 바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이유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들에 대해 알려주는 것이다. 막연하게 알고 있더라도 조금 더 깊이있게 생각하고 이야기 나누다 보면 뭔가 조금씩 감이 잡히지 않을까 싶다. 원래 철학이라는 것이 뜬금없어 보이는 문제에 대해 계속 생각하다 보면 의외로 쉽게 풀리기도 하니 말이다. 함께 살아가기 위해 법이 필요하고 때로는 자유가 구속되기도 하지만 규칙을 따를 때와 저항할 때를 가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의 답답한 현실 때문인지 유독 그 문제가 눈에 쏙 들어온다.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규칙이 필요할까요?'라는 의문을 갖는 이유가 '언제 복종할 것인지 언제 저항할 것인지를 알기 위해서'라는 글귀 말이다. 또 '책임감 있는 시민이 되기 위해서'라는 이유도. 더 나아가 '깨어있는 시민'이 많아야 나라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일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