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철학하는 어린이 (상수리 What 시리즈) 9
오스카 브르니피에 지음, 파스칼 르메트르 그림, 박광신 옮김 / 상수리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올해부터 '좋은 질문왕'이라는 상이 생겼다. 질문을 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알기 때문에, 더 알고 싶은 욕구를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질문을 한다는 자체가 큰 의미를 지닌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말도 안 되거나 터무니 없는 질문을 무턱대고 하는 것까지 포함하진 않는다.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알고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발전가능성이 있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의미에서 더 알기 위해 질문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해 본다.

 

  간혹 어떤 하나의 생각이 자꾸 가지를 쳐서 나중에는 처음의 것과 상관없어 보이는 곳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바로 브레인스토밍 기법으로 터무니 없어 보이지만 잘 생각해 보면 모종의 관계를 연결시킬 수도 있고, 그래서 새로운 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한다. 갑자기 이 책을 읽다 보니 브레인스토밍이 생각났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어떤 이야기가 나오고 그에 대한 다양한 생각들을 계속 쏟아내는 방식을 보자 불현듯 그것이 생각난 듯하다.

 

  특히 이번 주제는 아이들이 공부하기 싫을 때마다 생각해 본 문제가 아닐까 싶다. 공부를 꼭 해야만 하는지, 학교에는 꼭 가야 하는지, 모든 것을 알아야만 하는지 등 아이들이 직접 당면한 문제가 아니던가. 어떤 것을 맨 처음에 어떻게 알았을까를 곰곰 생각하다 보면 결론에 가까이 가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질문만 반복하는 경험을 하곤 하는데 첫 번째 질문이 바로 그런 식이다. 우주가 있다는 것을 처음에 어떻게 알았을까, 학자나 부모님은 어떻게 알았을까부터 시작해서 앎 자체에까지 질문을 던진다. 사실 결론이 명확하지 않은 질문이지만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법한 문제다. 특히 어린이들이 질문을 하면 대답의 수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대답하기 더 곤란한 경우도 있다. 그럴 때 이런 책을 부모와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눈다면 근사한 대화가 될 뿐만 아니라 아이의 사고폭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너무 어렵게 볼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얕잡아 보아서도 안 되는 철학적 문제를, 쉬우면서도 핵심을 제대로 짚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