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꼭지연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최재숙 글, 김홍모 그림 / 보림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때 연을 그다지 많이 날리지 못해서 연 날릴 때의 '맛'을 잘 모른다. 다만 예전에 모임에서 방패연을 만드는데 대충 만드는 게 아니라 상당히 정교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던 기억이 난다. 게다가 그때 만들었던 방패연이 상당히 유명한 분이 만든 것이라서 비율이 꼭 맞았다지, 아마. 여하튼 그냥 네모난 모양에 가운데 구멍-이걸 방구멍이라고 한단다. 바람에 찢어지지 말라고 뚫는 것으로 과학적인 장치란다.-이 있는 연이라고만 생각했는데 길이를 맞춰야 한다고 해서 만드는데 꽤 오래 걸렸었다. 그렇게 만든 연을 시골에서 직접 날려봤는데 날리는 재미가 쏠쏠했다. 줄을 풀었다 감았다 하는 시점을 잘 잡아야지 안 그러면 연이 곤두박질치고 만다. 생각 같아서는 마냥 풀기만 하면 잘 올라갈 것 같은데 실제 해보니까 그렇지가 않더라는 얘기다.

 

  솔거나라에서 이번에는 연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간다. 나처럼 방패연이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이걸 보고 그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학교 들어가기 전까지 할아버지 집에서 지낸 현이가 입학하면서 드디어 엄마와 함께 살게 되었다. 현이는 엄마랑 살게 되어 기쁘겠지만 할아버지는 얼마나 쓸쓸할까. 모르긴 해도 현이는 지금이야 엄마 생각으로 기쁘지만 곧 할아버지가 그리울 게다.

 

  여하튼 할아버지는 애타게 엄마를 기다리는 현이를 위해 연을 만들어주기로 한다. 그런데 할아버지의 연 만드는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내가 만들어봐서 아는데' 그냥 대충 만들어서 되는 게 아니다. 대접을 엎어서 방구멍을 만들고 눈대중으로 살을 붙이는 것으로 봐서 보통 할아버지가 아니다. 방에 걸려있는 다양한 연을 봐도 그렇고.

 

  방패연의 구멍으로 오려낸 동그라미를 위에 붙이면 그게 바로 꼭지연이 된단다. 그리고 아래쪽을 어떻게 칠하느냐에 따라 이름을 붙이고 옆에 갈기처럼 붙이면 다른 이름이 붙는다니, 이름짓기 참 쉽다. 현이는 꼭지에 엄마를 그려서 엄마꼬지연이 되었다. 원래 연이란 소원을 빌며 날리는 의미가 있으므로 현이도 연을 날리며 엄마가 그걸 보고 빨리 데리러 오기를 바란다. 연을 날리는 동안에는 비록 잊더라도 가장 즐거운 순간이 지나면 문득문득 엄마가 생각날 것이다. 뒷표지를 보면 결국 엄마가 와서 반갑게 뛰어가는 현이를 만날 수 있다.

 

  연을 만들면서 두런두런 이야기 나누는 할아버지와 손자. 그 푸근함 속에서 독자는 방패연과 각종 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처음에는 글이 약간 길게 느껴졌으나 연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를 느끼다 보니 길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학교에서도 아이들이 연을 날린다. 하지만 문방구에서 사다가 꼬리만 붙여서 날리는 가오리연이 대부분이다. 여건이 된다면 조금 어렵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방패연을 만들어 보는 것도 괜찮을 듯하다. 원래 노력하지 않고 얻어지는 법은 없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