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 - 즐거운 과학 나는 알아요! 4
피에르 원터스 글, 엘린 반 린덴후이젠 그림, 최재숙 옮김, 신동훈 감수 / 사파리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어렸을 때 꼭 찾는 책 중 하나가 우리 몸과 관련된 책이다. 인간으로서 자신의 몸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한 이치이므로 그것을 충족시켜 주지 않을 수가 없다. 각 기관별로 비교적 자세하게 다루는 책이 있는가 하면 이 책처럼 몸의 전반적인 부분을 설명하는 책도 있다. 이제 아이가 커서 훨씬 자세한 정보가 들어가 있는 책을 읽다 보니 이 책이 아주 쉬워보이지만 유아에게는 이 정도의 책이 딱이다. 원래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하는 법이다.

 

  처음부터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등장시켜 물놀이 하자고 하면서 자연스럽게 남자와 여자의 다른 점을 보여준다. 아직 어린 아이라서 눈에 띄게 다른 점은 없지만 모양이 다른 수영복 입은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시킨다. 또한 사람의 얼굴은 모두 다르다는 점을 이야기하면서 표정으로 그 사람의 기분을 알 수 있다는 점도 알려준다. 사실 아이들은 어려서부터 본능적으로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을 줄 알지만 어디까지나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만을 염두에 두지 다른 사람의 기분을 읽고 배려하지는 못한다. 그런 것은 초등학생이 되어야 가능하지 않으려나.

 

  눈을 사물을 보고 코로는 냄새를 맡으며 입으로는 먹는 것과 말을 한다는, 아주 기본적인 정보를 알려주는데 아기자기하게 감성적으로 알려준다. 즉 딱딱한 지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읽을 수 있다고나 할까. 따스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우리 몸의 기능에 대해 저절로 알게 되는 식이다. 그러고 보면 어렸을 때 아이들이 툭하면 하는 놀이인 병원놀이가 참 대단한 놀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프다는 것을 인지하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을 수도 있으며 몸의 기능에 대해서도 알 수 있으니 말이다.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역할 놀이를 하는 걸 보면 신기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