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꽃밭 한락궁이 우리 설화 (우리나라 그림책) 6
김춘옥 글, 한태희 그림 / 봄봄출판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옛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라지 못해서인지, 옛이야기를 즐길 줄 몰랐고 아는 이야기는 더더욱 없었기에 우리 아이들에게도 옛이야기를 해줘야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그러다 어린이 책 모임에 나가면서 옛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생각이 바뀌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전히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일은 자신이 없었다. 간신히 생각해 낸 방법이 먼저 내가 읽어서 기억한 후 잠자기 전에 얼른 들려주는 것이었다. 옛이야기는 책으로 읽는 것보다 귀로 듣는 것이 훨씬 좋고 그것이 진짜라는 이야기를 기억하며.

  그러나 여전히 옛이야기, 특히 우리 신화는 잘 모르겠다. 그렇다고 외국의 신화는 잘 아느냐면 그것도 아니다. 비현실적인 것이나 객관적으로 검증 가능하지 않은 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 성격 탓도 있을 것이다. 그러다 신화라는 것이 단순히 현실과는 상관없는 과장된 이야기가 아니라 사실을 바탕으로 한 사람들의 욕구가 들어있다는 것을 알고 난 후 신화를 대하는 내 마음의 태도가 달라졌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신화의 의도는 알겠는데 다양한 신화를 제대로 알지 못하니 이야기를 읽으면 그땐 알겠는데 돌아서면 잊어버리고 다른 이야기를 읽으면 전에 읽었던 이야기와 섞인다는 문제가 생긴다. 체계가 잡히지 않다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 게다. 이 책에도 옛이야기에서 나타나는 세 번의 기회와 조력자, 그리고 한 가지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 삼 년을 일하게 하는 등 기본 구조가 비슷하다. 이러니 헷갈리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라고 위안을 해본다. 

  이 책을 읽다 보니 머리속에서 여러 이야기가 떠다닌다. 바리데기도 생각나고 뜬금없이 여우누이도 생각난다. 위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제대로 알지 못하니 그동안 읽고 들었던 이야기가 모두 중첩되어 버린 것이다. 서천서역국, 즉 서천꽃밭은 모든 생명을 관장하는(?) 곳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곳에 있는 꽃이 한 생명과 같다고나 할까. 바리데기에서도 나중에 뼈살이꽃, 피살이꽃 등을 가지고 가서 이미 죽은 아버지를 살리지 않던가 말이다. 그러한 구조는 여기서도 동일하다. 오래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의 뼈를 수습해서 뼈와 살을 붙이고 피를 돌게하고 숨이 트이게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웃음꽃과 울음꽃, 수레멸망악심꽃도 있었구나. 그러니까 서천꽃밭에는 인간 세상에 나타날 수 있는 모든 꽃이 있는 셈이다. 아무나 갈 수 없는 곳이고 잘 지켜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처럼 인간 생명을 관장하는 꽃을 강하게 나타내고자 아크릴 물감을 사용했다는데 그림이 어찌나 화사한지 책표지를 본 아이들이 관심을 갖는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읽어 주려 했으나 글이 많아서 접었다. 아무래도 책 읽어 줄 때 글이 많으면 나중에 분위기가 흐트러져서 집중이 안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