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 용의 나라 우리 문화 속 수수께끼 4
박윤규 지음, 정승희 그림 / 사파리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 책을 읽다 보면 용을 바라보는 동양과 서양의 시각이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용을 신성하고 영험한 동물로 대한다. 그래서 임금을 용으로 표현하고 전설 속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어디 그 뿐인가. 큰 인물이 된 사람은 어떤 방식으로든 자신과 용을 결부시켜 비범함을 나타내고자 한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물리쳐야할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래서 공주를 납치해간 용을 물리쳐야만 공주와 결혼하거나 왕이 될 수 있으며 영웅이 되기 위해 싸우는 상대 또한 용이다. 용은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생긴 모습을 묘사하는 것이야 당연히 다르겠지만 이처럼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이 전혀 다르다니 신기할 따름이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용이 물을 다스린다고 했다. 그래서 비가 안 오면 기우제를 지내고 바다에 나가기 전에 용을 달래기 위해 제를 지냈다. 내가 어렸을 때 한동안 비가 오지 않자 동네 아주머니들이 돌아다니며 무슨 기원을 했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거의 사라진 풍습이라 우리 아이들은 그러한 모습을 볼 기회가 없어 보인다. 그래서 이렇게 책으로나마 만날 수 있다는 사실에 위안을 삼는다. 

   주변에서 용과 관련된 지명이나 전설을 찾기는 아주 쉽다. 그만큼 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용을 한 곳에 모아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게 바로 이 책이다. 용에 대한 전설을 들려주고 그에 대한 풀이를 해 놓았으며 실제적인 정보도 알려준다. 예를 들면 왕건의 출생과 관련된 전설을 옛이야기 형태로 들려주고 정보면에서는 그 밖에 용과 관련 있는 왕을 이야기하며 왜 그런지도 들려준다. 그리고 왕의 얼굴을 용안이라고 하거나 옷을 용포라고 부르는 것에서 용은 곧 임금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아이들은 옛이야기 같은 것을 더 좋아할지 모르겠으나 나 같은 사람은 정보를 보며 몰랐던 것을 알거나 기억하지 못했던 사실을 새롭게 떠올리는 부분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